식물

가상국가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4일 (일) 11:39 판
진핵생물역(Eukaryota)
동물계 (Animalia)
균계 (Fungi)
식물계 (Plantae)
원생생물 (Protista)[A]
[A] 과거에 균계, 식물계, 동물계에 속하지 않는 진핵생물을 총칭하던 말이지만 생물학적으로 올바른 분류가 아니며, 현재는 진핵생물의 분류에 대해 많은 논쟁이 있다.
식물
植物 | Plant
100%
학명 Plantae
(Haeckel, 1866)
분류
진핵생물역Eukaryota
계통군 쌍편모생물군 Bikonta
식물 + HC + SAR 대형군 Diaphoretickes
원시색소체생물 Archaeplastid
식물계Plantae

개요

"식물들은 열대림처럼 좋은 환경에서도 살지만, 그 외에도 얼어붙은 바위나 북극의 자갈밭, 그리고 사막의 뜨거운 모래밭에서도 살고 있습니다. 식물들은 불이나 태풍 속에서도 살아남는 법을 알고 있습니다. 또한 각종 동물들의 공격도 극복하며 때로는 반대로 동물을 잡아먹기도 합니다.
다큐멘터리 <식물의 사생활>을 마치며[1]

植物 / Plant 식물이란, 진핵생물셀룰로스로 이루어진 세포벽이 있으며 엽록소 a와 b를 가지고 있고, 다만 이 부분은 혼재되는 경우가 있다. 기생식물 중에서는 엽록소가 완전히 퇴화하여 광합성을 전혀 하지 않는 식물들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색소체(plastid)가 2개의 막으로 덮여있는 다세포 생물들을 분류하는 생물계를 일컫는다. 남세균규조류, 홍조류, 갈조류광합성을 하는 다른 생물들과 함께 태양 에너지를 사용할수 있게 하는 원천으로, 전 세계의 대부분의 생태계 심해에서는 광합성 대신 열수구 등 다른 화학반응을 통해 생활하고 있어서 예외다.와 인간 문명을 지탱하는 생물군이다.

식물의 정의

과거에는 동물이 아닌 것을 모두 가리키는 의미로 불리었지만 균류원생동물 등의 생물이 식물과 같지 않다는 점을 알게 되어 그 범위가 줄어들어 현재는 녹색식물(Viridiplantae)에 속하는 단세포-다세포 생물과 육상식물만을 포함하는 분류군이 대세이다.# 다만 이 분류는 학자에 따라 기준이 달라, 어디까지가 식물인지는 아래의 3가지의 분류로 나뉠 수 있다.

  • Sensu Strictssimo: 엽록소를 지녀 광합성을 하며 육상생활에 적응한 생물(유배식물). 식물을 분류하는 기준 중 가장 엄격한 기준으로, 우산이끼문, 뿔이끼류, 이끼류와 유관속 식물만을 포함한다.
  • Sensu Stricto: 엽록체를 지니고 광합성을 하는 생물(녹색식물). 식물을 분류하는 기준 중 현재 학계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기준으로, 녹조류(Green Algae)를 포함한다. 다만 이는 녹조류가 측계통적 분류임을 전재로 하여, 아직도 학계에서 분류 중에 있다.
  • Sensu Lato: 색소체(엽록체, 유색체, 백색체)를 지닌 생물(원시색소체생물). 식물을 분류하는 기준 중 가장 폭넓은 기준으로, 녹조류 외에 홍조류(Rhodophyta)와 회청조류(Glaucocystophyta)도 포함한다. 이 두 조류들은 다른 식물들과 같이 엽록체를 보유하고 있으나, 홍조녹말(Floridean starch)을 색소체 바깥 세포질에 저장한다.
  • Sensu Amplo: 움직이지 않는 생물(동물의 여집합). 식물을 분류한다기보다는 움직이지 않는 생물들을 전부 식물로 본 고전시대의 분류방법이다. 이 분류식은 갈조류나 규조류 같은 광합성을 하는 SAR 상군(대롱편모조식물)은 물론, 균류박테리아 등도 몽땅 식물에 포함한다. 당연히 현대에 와서는 쓰이지 않는 분류법이다.

  1. * 한글번역은 KBS더빙, 다큐멘터리에서는 중간에 '퀸스랜드의 작은 열대림도 마찬가지죠'라는 말이 들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