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나무

가상국가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4일 (일) 12:03 판
은행나무 (행자목)
Ginkgo, maidenhair tree
100%
학명 Ginkgo biloba
(Linnaeus, 1771)
분류
식물계Plantae
분류군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은행나무문Ginkgophyta
은행나무강Ginkgoopsida
은행나무목Ginkgoales
은행나무과Ginkgoaceae
은행나무속Ginkgo
은행나무G. biloba

개요

은행(銀杏)은 동아시아 원산의 나무로, 암꽃과 수꽃이 각각 다른 그루에 있는 자웅이주(雌雄異株)이다. 가을이 되면 낙엽이 지기 전에 잎사귀가 샛노랗게 물들어 아름답고, 병해충에 강한 특징 등 다른 여러 장점이 있어 가로수로 많이 심는다.

은행은 침엽수활엽수도 아닌 독자 계통군을 형성하는 식물로 분류된다. 침엽수는 별도로 구과식물문(Pinophyta)이라는 계통군으로 분류되는데, 예전에는 은행나무를 구과식물문의 하위 육질의 가종피가 있어서 주목과 가깝다고 보았다로 분류했으나 구과식물문에는 없는 정자를 생산한다는 특징 때문에 현재는 은행나무문(Ginkgophyta)라는 독자 계통군으로 분류하는 게 정설이다. 마찬가지로 겉씨식물소철 역시 편모를 지닌 정자를 발견하여 소철문(Cycadophyta)이라는 독자 문(Division)을 형성하여 대부분의 침엽수(Pinophyta)와는 구분된다.

살아있는 화석

1문 1강 1목 1과 1속 1종만이 현존하는 식물로, 지질학상 고생대 페름기부터 자랐고, 당시 현존하던 생물종의 96%를 날려버린 페름기 대멸종을 버티고 꿋꿋하게 현대까지 살아남은 근성있는 나무다. 7속 수십 종이 있었다고 추측되고 있으나 초기 쥐라기부터 점점 줄기 시작하여서 신생대 팔레오세에 와서는 북반구에만 남았었고 플라이오세 말기에 거의 멸종해서 현재에는 동아시아에 1종만이 남아 있다. 그러니까 우리가 흔히 접할 수 있는 은행나무 한 종(Ginkgo biloba)을 제외한 이 통째로 증발한 것이다. 사실 은행나무문도 다른 종들이 많았지만 급격히 그 숫자가 줄어들었기 때문에 현재 '은행나무문'은 식물계 하위의 10여개 문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종의 수가 적다. 2번째로 종의 수가 적은 마황, 네타, 웰위치아가 속한 마황문 하위종에도 70종 정도는 남아 있고, 그 다음인 소철문의 하위종도 160개 정도는 된다는 걸 생각했을 때 단 1종만 남아 있는 경우는 경이로울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