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곰

가상국가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2월 24일 (일) 21:36 판 (→‎특징)
북극곰 (백곰)
北極熊 | Polar bear
북극곰 가족.webp
학명 Ursus maritimus
(Phipps, 1774)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아목 개아목Caniformia
곰과Ursidae
큰곰속Ursus
북극곰Ursus maritimus

개요

북극 지방에 서식하는 . 현존하는 곰 중에서 가장 큰 곰이자 식육목 포유류 중에서 제일 크다. 한때 홀로세 빙하기 시대에 이베리아와 스페인을 포함한 유럽에도 살았으나 현재는 멸종했다. 중세 유럽의 기록을 보면 1251년 영국의 헨리 3세가 진귀한 흰 곰을 선물로 받았다는 기록이 있다. 왕은 이 곰을 런던 시에 맡겨 키우도록 했다. 문제는 곰은 덩치만큼 사료값이 많이 나오는터라 당시 런던 시가 이 곰을 키울만큼 재정이 풍부하지 않았기에 시 당국의 관리비 지원이 지나치게 인색해서 사육사가 템즈강에서 낚시를 해서 곰을 먹여 살렸다. 나중에 잘 길들여진 곰이 사육사를 따라 같이 고기를 잡으러 가기도 했다고한다.

원래는 영국 · 아일랜드 지역에 살던 유라시아불곰 내지는 그의 친척뻘이 북극의 기후에 맞게 진화하기 시작하여 플라이스토세 말기인 약 150,000년 전에 변이체가 나타나는데 이게 북극곰이다. 이게 진화적 시간으로는 비교적 최근에 갈라진 탓에 여전히 불곰들과 멀쩡하게 혼혈이 가능하며 신체 및 생식적으로 건강한 후손들을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는 이미 300,000년 전에 다른 속에서 갈라져 나왔으니 북극곰은 진화론적으로 아주 최근에 나온 종이다. 덤으로 의 경우 2018년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금으로부터 68,000년전에서 150,000년전 사이에 늑대 또는 둘의 공통 조상으로부터 유전적 변화가 나타났다고 한다. 출처 이렇듯 늑대와 개가 갈라진 시기가 북극곰과 불곰이 갈라진 시기보다 좀 늦거나 엇비슷한 편이다.

특징

다 자란 수컷은 300 ~ 650kg 정도며, 825kg에 이르는 거대한 개체들도 있다고 전해지지만 야생에서 700kg 이상의 개체는 에너지 소비량이 커 섭취해야 되는 열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딱히 신빙성이 있는 얘기는 아니다. 그러나 역대 최대 북극곰은 1960년 알래스카에서 잡힌 북극곰으로 1,002kg였다는 기록이 있다. 다만 동물원 사육 시에는 야생과는 다르게 먹이가 무진장 공급되다 보니 1t에 육박하기도 한다고 한다. 암컷의 몸무게는 150 ~ 500kg이다. 갓 태어난 북극곰의 새끼는 놀랍게도 900g 미만으로 인간보다 훨씬 작다.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어서 헤엄도 기가 막히게 잘 친다. 헤엄치는 지구력도 엄청나서 한번 물에 들어가면 100km는 거뜬히 헤엄친다. 물론 근본은 육지동물이기 때문에 지구온난화 현상 때문에 올라갈 빙하가 없어져서 발 디딜 곳을 못 찾아 그 이상 계속 가다간 탈진해서 익사하는 경우도 있다.

색깔

하얀 눈에 가까운 색으로 보이지만, 북극곰의 털은 하얀색이 아니라 투명하다. 푹신푹신해 보이는 인상과는 달리, 털은 매우 빳빳하여 거의 바늘에 가까운 수준이라고 한다. 드러난 코 부분을 보면 나타나듯, 털 속의 피부는 검은색이다. 이 검은색 피부가 열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고 한다.

속은 검고 겉은 투명한 털이 하얗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 때문이다. 털의 움푹 들어간 내부 표면이 빛을 여러 방향으로 산란시키기 때문에 희게 보이는 것이다. 북극곰의 털은 마치 빨대 같은 구조라서 털 내부에 온기를 품어 체온을 유지시킨다고 한다. 이와 관련된 예로, 동물원에 사는 북극곰의 털이 초록빛을 띄는 것이 단순히 녹조류가 털들 사이에 끼어서 그런 줄로만 알아 목욕을 시켰지만 잘 지워지지 않았는데, 알고 보니 녹조류가 보호털 가닥 속에 들어가서 살고 있었기 때문에 지워지지 않은 것이었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이러한 특이 구조의 털은 자외선을 곰의 피부에 전달하는 작용을 하며, 여름의 태양은 곰의 총 에너지 요구량의 25%까지 제공한다. 때문에 북극곰이 극지의 추운 온도에서도 활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 열 전달 체계가 매우 효율적이라, 피부는 따뜻하지만 털의 외부층은 주위 기온과 거의 같은 온도로 유지된다. 따라서 열 손실도 적은 편. 털이 2중 구조로 되어 있어서 외부의 거친 털과 내부의 부드러운 털로 되어 있어 보온 역할을 한다는 연구도 있다. 아무튼 보온을 위한 수단을 여러 개 갖추고 있다. 육구 사이 사이의 털이 아이젠 역할을 하기 때문에 잘 미끄러지지도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