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 Korean red pine | ||
---|---|---|
학명 |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 |
분류 | ||
계 | 식물계Plantae | |
분류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
겉씨식물군Gymnospermae | ||
문 | 구과식물문Pinophyta | |
강 | 구과식물강Pinopsida | |
목 | 구과목Pinales | |
과 | 소나무과Pinaceae | |
속 | 소나무속Pinus | |
종 | 소나무P. densiflora |
개요
소나무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성 겉씨식물. 좁은 의미로 쓰일 때는 동아시아와 러시아 동부 지역에서 자생하는 적송(학명: Pinus densiflora pinus는 라틴어로 '산에서 나는 나무'라는 뜻이며, 종소명 densiflora는 '빽빽하게 돋아나는 꽃'을 의미한다.)만을 가리킨다. 넓은 의미로 쓰일 때는 아시아 뿐만이 아니라 북미, 유럽 등 북반구 온대~아한대 지역에 걸쳐 자생하는 소나무속(Pinus)의 여러 종들을 가리킨다. 대표적인 침엽수이다.
명칭
솔방울, 솔잎에서도 알 수 있듯이, 순수 한국어로 소나무는 원래 '솔'로 불리었다. 이 밖에 솔나무·소오리나무라고도 한다. 소나무란 말은 '솔', '나무'가 합성될 때 따님, 부삽같이 'ㄹ'이 탈락되어 생긴 말이다. '솔'의 뜻은 명확하지 않으나, 삼국시대 때의 고대 한국어 관련 기록에서는 초성에 ㅂ이 첨가된 어형으로 풀이할 수 있는 사례들이 존재하며, 따라서 'ᄡᆞᆯ'로 시작되는 단어였을 가능성이 있다. 일부 학자들은 나무 중에 우두머리란 뜻인 수리(독수리할 때의 그 '수리')에서 시작되어, 이후 →술→솔로 변형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한자는 松(소나무 송)을 쓰는데, 뜻 '木(나무)'와 소리 '公(공)'을 합친 형성자다. 그러나 일부 사람들은 나무 중에서도 최고의 작위(公: 공작)을 가진 나무(木)라는 뜻으로 만든 회의자로 해석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