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스테딕 4공화국 제16대 국회의원 총선거 | |||||||||
2023년 12월 16일 ~ 2023년 12월 17일 제15대 국회의원 총선거 |
→ | 2023년 1월 14일 ~ 2023년 1월 15일 제14대 국회의원 총선거 |
→ | 2023년 12월 15일 ~ 2023년 12월 17일 제17대 국회의원 총선거 | |||||
투표율 | 15.5% | ||||||||
선거 결과 | |||||||||
정당별 확보 의석 | ||||
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총합 | 비율 |
자유선진당 | ?석 | 비례대표 미실시 | ?석 | ?% |
자유공화당 | ?석 | 비례대표 미실시 | ?석 | ?% |
?석 | 비례대표 미실시 | ?석 | ?% | |
?석 | 비례대표 미실시 | ?석 | ?% |
개요
선거 성격
변수
단일화 변수
투표권
선거 일정
토론회
선거 방송
방송 연설
후보
평천
곡례
진안
양해•해정
영평
해외영토 선거구
여론조사
선거구
평천
곡례
진안
양해•해정
영평
해외영토 선거구
비례대표 (미실시)
여론조사 정확도
출구조사
출구조사 정확도
투표 결과
투표율
개표 결과
정당별 결과
지역구
정당별 지역구 득표율 | ||
정당 | 득표수 | 의석 |
득표율 | ||
자유선진당 | ? | ?석 |
?% | ||
자유공화당 | ? | ?석 |
?% | ||
? | ?석 | |
?% | ||
18 | ?석 | |
?% |
비례대표 (미실시)
지역별 결과
평천
평천 평천특별시 일원 , 중산도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카랴 | 16 | 1위 |
{{틀:자유선진당 (익스테딕)}} | 51.61% | 당선 | |
2 | 은하예 | 14 | 2위 |
{{틀:정의실현 (익스테딕 4공화국)}} | 45.16 | 낙선 | |
3 | 영 | 1 | 3위 |
{{틀:무소속}} | 3.2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1 | 투표율 50.00% |
본투표 수 | 25 | ||
부재자투표수 | 6 |
곡례
곡례 곡례광역시 일원 , 양읍시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프컨 | 12 | 1위 |
{{틀:자유선진당 (익스테딕)}} | 50.00% | 당선 | |
2 | 막장 | 11 | 2위 |
{{틀:참여당 (익스테딕)}} | 45.83% | 낙선 | |
3 | 유민 | 1 | 3위 |
{{틀:더불어민주당 (익스테딕 4공화국)}} | 4.1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4 | 투표율 38.71% |
본투표 수 | 18 | ||
부재자투표수 | 6 |
진안
진안 진안시 일원, 북산도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엥스 | 13 | 1위 |
{{틀:자유선진당 (익스테딕)}} | 54.17% | 당선 | |
2 | 이강현 | 11 | 2위 |
{{틀:민주신당 (익스테딕 4공화국)}} | 45.8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4 | 투표율 38.71% |
본투표 수 | 18 | ||
부재자투표수 | 6 |
양해•해정
양해•해정 양해시 일원, 해정시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신검 | 8 | 2위 |
{{틀:자유선진당 (익스테딕)}} | 36.36% | 낙선 | |
2 | UDAR | 10 | 1위 |
{{틀:자유공화당 (익스테딕 4공화국)}} | 45.45% | 당선 | |
3 | 레고 | 4 | 3위 |
{{틀:참여당 (익스테딕)}} | 18.18%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2 | 투표율 35.48% |
본투표 수 | 16 | ||
부재자투표수 | 6 |
영평
영평 영평시 일원, 남천도 일원, 동평도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완전비행 | 14 | 1위 |
{{틀:자유선진당 (익스테딕)}} | 56.00% | 당선 | |
2 | 브레드 | 10 | 2위 |
{{틀:시민참여당 (익스테딕)}} | 40.00%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5 | 투표율 40.32% |
본투표 수 | 18 | ||
부재자투표수 | 7 |
해정
해정 해정시 일원, 북양도 일원, 남도시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솔로부대 | 11 | 1위 |
{{틀:자유선진당 (익스테딕)}} | 35.48% | 당선 | |
2 | 이강현 | 5 | 3위 |
{{틀:통합민주당 (익스테딕)}} | 16.13% | 낙선 | |
3 | fouro | 3 | 4위 |
{{틀:전진하는 익스테딕}} | 9.68% | 낙선 | |
7 | 레고 | 10 | 2위 |
{{틀:참여당 (익스테딕)}} | 32.26% | 낙선 | |
16 | 동매기 | 2 | 5위 |
{{틀:신개발회의 (익스테딕)}} | 6.4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81 | 투표율 38.27% |
본투표 수 | 28 | ||
부재자투표수 | 3 |
앞 지역구가 이변이었다면, 이 지역구는 이변의 이변이다. 자유선진당 솔로부대 후보가 초반부터 앞서나갔는데 선거 종료 직전에 레고 후보에게 표가 붙으며 레고 후보가 역전했다. 이렇게 되면 당원 수가 2명인 정당이 총선에서 승리하는 대서사를 써내게 될 확률이 높았다. 그리고 당원이 두 번째로 많은 정당이 총선 지역구에서 전멸하는 대참사가 발생할 확률이 높았다. 그리고 선거 종료 약 10초 전, 표가 뒤바뀌며 자유선진당 솔로부대 후보가 극적 당선되었다. 이로써 자유선진당은 지역구 1곳을 이긴 것에 만족해야 했으며, 참여당은 많이 아쉬운 결과가 나오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자유선진당 솔로부대 후보가 35.48%라는 낮은 득표율로 당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