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바라기

원주율사회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6월 10일 (월) 14:47 판
나무위키.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나무위키해바라기 r356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역사)

틀:과일

🌻 꽃
[ 펼치기ㆍ접기 ]
가락지나물 · 개나리 · 개망초 · 개양귀비 · 거베라 · 게발선인장 · 겨자 · 구근베고니아 · 국화 · 구절초 · 군자란 · 금강초롱꽃 · 금낭화 · 금어초 · 금잔화 · 김일성화 · 꽃며느리밥풀
나팔꽃 · 난초 · 눈풀꽃 · 능소화
달래 · 달리아 · 달맞이꽃 · 닭의장풀 · 데이지 · 델피니움 · 도라지 · 동백꽃 · 들국화
라넌큘러스 · 라벤더 · 라일락 · 라차프륵 · 라플레시아 · 락교 · 로벨리아 · 로즈마리 · 리시안사스
마거릿 · 만수국 · 망초 · 매발톱 · 매실꽃 · 맨드라미 · 메꽃 · 모란 · 목련 · 목서 · 목화꽃 · 무궁화 · 무화과 · 문주란 · 물망초 · 미나리아재비 · 미선꽃 · 민감초 · 민들레
배초향 · 백일홍 · 백합 · 벚꽃 · 베고니아 · 별꽃 · 별봄맞이꽃 · 복수초 · 봉선화 · 부용 · 붓꽃 · 브로콜리 ·블루벨
사프란 · 산수유 · 상사화 · 샐비어 · 생강나무 · 석곡 · 석산 · 쇠채아재비 · 수국 · 수레국화 · 수련 · 수선화 · 스위트피 · 시클라멘
아네모네 · 아델라이데 · 아르메리아 · 아마릴리스 · 아스포델 · 아카시아 · 아티초크 · 안개꽃 · 앵초 · 양귀비 · 양골담초 · 엉겅퀴 · 오히아 레후아 · 에델바이스 · 에리카 · 연꽃 · 영산홍 · 영춘화 · 용담 · 우담바라 · 원추리 · 월계화 · 월하향 · 유채 · 윤노리꽃 · 은방울꽃 · 은방울수선화 · 잇꽃
작약 · 장미 · 재스민 · 접시꽃 · 제라늄 · 제비꽃 · 제충국 · 제피란테스 · 진달래 · 찔레꽃
차바 · 참나리 · 참파 · 채송화 · 천수국 · 철쭉
카네이션 · 카틀레야 · 칸나 · 코스모스 · 크로커스
투구꽃 · 튤립
패랭이꽃 · 팬지 · 페튜니아 · 포인세티아 · 프리지어
함박꽃 · 할미꽃 · 해당화 · 해바라기 · 히아신스
해바라기
sunflower
100%
학명 Helianthus annuus
분류
식물계Plantae
속씨식물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Magnoliopsida
국화목Asterales
국화과Asteraceae
해바라기속Helianthus
해바라기H. annuus

개요

해바라기는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인 한해살이풀로, 일자로 뻗은 줄기 제일 위에 해를 닮은 노란 꽃이 상당히 인상적인 식물이다.

덩치에 비해 큰 꽃을 피울 수 있는 것은 사실 해바라기가 한 개의 꽃이 아니라 작은 꽃들이 모여 이룬 커다란 꽃무리이기 때문이다. 바깥쪽의 길쭉한 노란색 꽃잎은 제각각 암술을 따로 가진 작은 꽃이고, 나중에 중앙부의 씨앗이 맺히는 갈색 부분 역시 작은 꽃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세

해바라기는 국화나 구절초와 같은 국화과(科) 식물로,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탐험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후 16세기에 유럽에 소개되면서 태양의 꽃으로 불리게 됐다. 유럽에 처음 들어왔을 때는 그 압도적인 자태로 돌풍을 일으켰지만 씨앗을 워낙 많이 품는 데다 어디서든 잘 자라기 때문에 금방 평범해졌다.

그 이유는 해를 닮은 모양 때문이기도 하지만, '해를 따라 움직이는 꽃'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다만, 정확히 말하면 꽃을 활짝 피우기 전인 '성장기'(보통 봄·여름인 3~8월)에만 해를 향하는 꽃이다. 어린 해바라기 줄기는 해가 뜨면 동쪽으로 구부러졌다가 해가 지면 서쪽으로 구부러지는데, 그럴 때 꽃봉오리는 마치 해를 따라 고개를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어린 해바라기 줄기가 태양을 향해 굽어지는 이유는 식물에 있는 '옥신'이라는 성장 호르몬 때문인데, 옥신은 빛을 아주 싫어해서 최대한 빛을 덜 받는 쪽으로 많이 분비된다. 그 결과 태양 반대편 줄기의 한쪽 성장만 빨라져서 줄기가 마치 태양을 향해 굽어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이러면 햇볕을 받는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광합성에 유리하다. 그러나 꽃봉우리에서 꽃이 활짝 피고 나면은 번식을 위해 곤충을 유인하는 게 더 중요하다. 그래서 완전히 성장을 마치고 만개한 해바라기는 더 이상 해를 따라다니지 않는다. 만개한 해바라기는 일반적으로 동쪽을 바라보고 있는데, 아침에 온도를 높여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비목질 식물임에도 키가 상당히 큰 편이며 원산지인 중앙아메리카나, 토질이 비옥한 우크라이나, 러시아 흑토지대에서는 기본 4~8미터, 최고 기록은 12m나 된다. 꽃의 지름 또한 80cm까지 커지는 경우도 있다고. 기후 조건이 안 맞는 한국에서는 거의 2~3m 정도로 자라고 조건에 따라 키도 4m 가까이, 꽃의 지름도 60cm까지 자라는 경우도 간혹 있다. 씨앗도 기름을 짜거나 식용으로 기르는 품종의 해바라기 씨앗은 크기가 500원짜리 동전에 가까운 매우 거대한 씨앗을 자랑한다.

키가 커지면 익어가다 머리가 너무 무거워져 목이 부러져 죽고 만다. 이 시들어가는 모습이 싫어서 조기에 뽑아 버리는 사람도 있는 모양이다. 씨는 원 바깥쪽부터 익는데 어지간히 영양상태가 좋지 않거나 한 그루만 심어 자가수분을 할 경우 속빈 씨가 꽤 많이 나온다고 한다.

심어 놓고 가만히 냅두면 참새동박새 등이 날아와서 거덜내 버린다. 얄밉게도 잘 익은 씨만 골라서 껍질까지 벗겨서 먹는다. 설치류도 굉장히 좋아하기 때문에 수확해도 잘못 보관하면 에게 털릴 수 있다.

비슷한 식물로는 단풍잎 돼지풀과 뚱딴지가 있다. 특히 뚱딴지는 해바라기속에 속하고 꽃마저 '작은 해바라기'라고 할 정도로 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