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철도 환경 문서 | |||
![]() | |||
월본 |
파일:월본의 고속철도.PNG |
신쾌선 |
파일:월본의 침대열차.PNG |
설양선 야간 특급 |
파일:월본의 지하철.PNG |
수도권 지하철 중앙선 히라가와역 |
개요
월본이라는 가상섬을 기반으로한 인프라에 구축중인 철도 환경에 대한 문서이다. 가장 이상적인 철도공간을 꾸미고 구축하는 것이 목적이다. 철도강국인 일본을 주로 베이스삼고 있으며 한국적인 요소도 첨가하여 동양권의 철도환경을 만들어가면서도 월본만의 특징아닌 특징을 만들어가고 있다. 철도노선 초판부터 10여회차까지 개편된 이유로도 모티브된 한국, 일본 어느 한쪽에 강한 색이 묻어났기 때문이다. 이전세대의 가상계 철도와는 다르게 사용자 입맛에 맞게 제작이 가능한 3D모델링과 운전시뮬레이션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아마도 전례없는 가상계 최대의 철도시장이 구축되었다. 철도 구현을 통해 '가상 국가 사회'의 미시적인 접근으로 세세한 구현이 성공을 거두었다. 월본의 철도는 관심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기여가 가능하다.
역사
1875년 우시로역과 도가와역 간의 주단선 현재의 사이수초선이다. 근대 개항한 사이수초항과 수도를 잇기 위해서 건설된 철도이다.의 개통을 시작으로 1800년대말 석탄수송을 중심으로 여러 재래선이 지어졌으며 이후 민간에서의 개발과 투자가 이어지고 국철과 사철의 경쟁으로 철도가 발전되었다. 1985년 기존 국철을 민영화하여 전국적으로 자유로운 철도개발이 이루어진다.
현황
궤간
철도산업의 시작에 있어 영국과 일본을 참고하여 1,067mm의 협궤로 인프라가 갖추어진다.
전철화
2018년 5월 기준으로 98% 가량 전철화가 이루어졌다. 전력공급체계로는 교류 25,000V, 60Hz, 직류 1,500V를 사용한다. 전철화 구간 중 지하철구간을 제외하면 거의 교류를 사용하며 좌측통행을 한다. 고속선은 표준궤인 1,435mm, 재래선은 협궤 1,067mm를 이용한다.
운영
운영 개요
크게 월본철도공사(WR), 사철, 지하철, 제3섹터로 나뉜다.
- 월본철도공사
- 사철
- 지하철
- 공기업으로 운영되며 각 도시내에서 운영된다. 도시 밖 다른 도시로 연결되면 광역철도로 분류된다.
- 제3섹터
- 타 회사의 노선이나 열차를 이용하여 운영되는 기업이다. 따라서 다른 노선에 직결운행되거나 다른 노선위에서 운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때로는 중고열차를 사용하기도 한다.
여객 철도 운임
각 지역별, 운영회사별 요금이 모두 다르다.
- 대도시 근교 구간
- (자세한 내용은 해당문서 참조) 수도권, 유힌, 신설-도본, 서월 근교구간내 지역에는 대도시 근교 구간 전용 운임표를 통해 최단거리의 운임으로 이용가능하다.
- 전차 특정 구간
- (자세한 내용은 해당문서 참조) 수도권, 유힌 지역에 한하여 해당 구간의 간선운임의 5~10% 할인되는 운임으로 이용가능하다.
- 특정 도, 구내 특례
- (자세한 내용은 해당문서 참조) 특정한 도시간 이동시 발-착역에 관계없이 중심역간 운임으로 이용할수있는 제도이다.
- 경로특정구간 : 발착역이 서로 같지만 중간 경로가 다른 특정 노선의 경우 거리가 짧은 노선의 운임으로 이용가능하다.
- 특정구간운임 : 철도 운영사가 특정구간에 한하여 실제운임보다 할인된 운임을 적용하여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특수제도이다.
지역별 철도 노선과 특색
관본
조번ㆍ수도권
파일:Joubeon railroad company.png
3천만의 수도권 인구가 조번 근교에서 출퇴근하고 근교 관광지를 연결하는등 철도교통은 매우 중요해졌다. 도심에는 블럭당 하나의 노선이 들어갈정도로 빽빽하게 들어차있으며 도심과 근교, 지방과 연결되는 노선이 뻗어있다. 관본의 중추간선인 주단선,그 밖에도 신의선, 중앙선, 도하선, 설양선 등의 주요 간선노선이 조번 중심에서부터 뻗어지고, 사이쿄시내에는 사이쿄철도의 간판인 순환선 도선사보선이 있다. 이 간선망을 중심으로 수도권 근교로 연결되는 통근열차와 특급열차가 운행중이다.
사이쿄 수도권 등지에만 10개의 사철이 각각의 노선망을 갖추어 운행중이다. 대도시와 그 근교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사이쿄와 서번을 연결하는 도번전철과 지산과 사이쿄를 연결하는 도유급행전철, 서우부에서 사이쿄, 서번을 연결하는 세이우전철, 다사에서 사이쿄를 연결하는 서부전철주식회사, 주후와 서번을 연결하는 주후전철, 소쿄항만일대를 연결하는 조번임해철도, 진산에서 사이쿄를 연결하는 케이선전철, 군계와 사이쿄를 연결하는 도선전기철도, 서번 산요 · 주과 한국으로 치면 인천(차이나타운)과 같은 역할로 청해촌이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에서 서번도심을 연결하는 서번고속전차가 있다. 위 사철들은 사이쿄의 터미널역을 중심으로 방사형 노선망을 구축하고 있고 지하철 노선과 활발한 상호 직통운행을 실시하고 있다. 가장 많은 수의 직통운전은 서번미라이선↔신수선↔부도심선↔신린선 4계통 세이반철도가 남량리 인근부터 직통노선을 계획중이므로 5자직통이 성사될것으로 보인다. 직통운전이다. 참고로 한 회사아래의 가장 많은 직통운전은 월본철도공사의 조번메가루프선(노선계통)이다. 해당항목 참조
조번 시내의 지하철은 조번메트로, 도유도시철도이 있다. 서번에는 서번 시영 지하철의 두 노선이 있다. 이 외에도 경전철 도베이와 모노레일 조요모노레일 등이 있다.
주요 철도역으로 조번역, 우시로역, 선정역, 남량리역, 마치역, 시부사역, 신수역, 서번역, 군소역 등이 있다.
동부(관주)
북부(소보, 관북)
유힌(유전ㆍ청하)
월본왕국시대 수도로서 청하는 현재까지도 월본 제2의 도시로서 수도권 못지 않게 복잡한 철도망을 갖추고 있다. WR 서월본의 주요 운영지역으로 주단선, 청하선이 지나며, 청하순환선, 유전서부선, 경약선, 조시선, 가교선 등의 노선이 이 지역을 중심으로 운영중이다. 인접지역으로 교모부에서 청하-유전으로 이어지는 쿄유지역은 많은 사철의 노선들이 경쟁하고 있다.
주요 철도역으로 청하역, 우치역, 단조역, 교모역, 자교역, 에하역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