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훈특별시(TH)

제3지구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0월 29일 (화) 13:20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우수르공화국국기.png 우수르 공화국의 특별시
타이훈특별시 휘장.png 타이훈특별시
타이훈特別市
Taihun Metropolitan Government
타이훈특별시 전경.jpg
국가
우수르공화국국기.png 우수르 공화국
시청 소재지
중구 시청로 110
하위 행정구역
26구
면적
905.2㎢
인구
164,532,428명
인구 밀도
85,767.11명/㎢
시장
우수르독립당 단우세르
교육감
민주당 야지루스 (재선)
시의회 우수르독립당 121석
민주당 132석
국가당 1석
번족당 1석
무소속 2석
국회의원 우수르독립당 40석
민주당 7석
무소속 2석
구청장 우수르독립당 23석
민주당 1석
무소속 1석
시화
벛꽃
시목
참나무
시조
우수르새
지역번호
58
IATA 도시 코드
TAI
ISO 3166-2
TH-16

개요

타이훈특별시(TH)는 우수르 공화국의 수도이다.

타이훈특별시의 하위행정구역.png

상징

타이훈 상징은 위에 시기를 보고 참고할 것

역사

우제시대(우수르-제번 분리시대)

우수르족과 제번족의 갈등으로 우수르는 타이훈 방향으로 향했다. 그리고 타이훈지역을 점령한 뒤 '터서르'라는 도시를 세웠다.

소노자키 일가 영지 시대

제국 연합 시대

당시 타이훈 시민들은 제국연합에 합병당하는 것에 반대했다. 이유는 잘 알 수는 없으나 '제국시민본'에서 북쪽지방 사람들이 불만을 품고 있었다고 했다.(그런데 지금 타이훈 시민들은 찬성해도 상관 없을 것 같았다고...)

번겜공화정 시대

번겜제국 시대

이때부터 타이훈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고 수도인 훈다부 다음으로 거대한 신도시가 되었다. 다양한 전쟁으로 많은 피해를 보기도 했다. 번겜제국 후반기에 근대화 운동이 일어났지만 실패하고 인노의 식민지가 되면서 번겜제국의 끝을 맺게 되었다.

인노령 번겜자유민국 시대

이 시기부터 근대화가 시작되었다. 인노에게 식민지 상태일 때 인노 출신의 다숴양(당시타이훈부장)은 타이훈을 집중적으로 키우기 위해 다양한 대형매점과 7호선 철도까지 제작했다. 이 때부터 훈다부(수도)와 경제 비교가 되었다.

번겜자유민국 시대

번보전쟁 이전

번겜 자유 운동이후 메이타루가 자유민국을 건설하자고 했다. 그래서 인노에게 독립 후 번겜자유민국이라는 국가가 탄생했다. 그러나 몇 년뒤 옆나라 보라국이 보라제국을 건설한 후 주변 국가들을 위협하자 타이훈 군사들을 보라제국 국경선 근처에 배치했다. 최초의 무선 전화기가 번겜자유민국 타이훈에서 발명되었다.

번보전쟁

번보1차전쟁

보라제국 힘이 급격히 커지자 번겜제국은 불안감에 떨어야 했다. 특히 막 발전이 되어가고 있던 타이훈은 더욱 그랬다. 결국 1918년 보라제국은 번겜자유민국을 공격했다. 훈다지방을 제외하고 보라제국에게 빼앗겼다. 타이훈은 보라제국의 중심도시가 되었고 타이훈타워를 건설하고 앞에 보라제국 국기를 꽂았다.

번보2차전쟁

보라제국이 번겜자유민국을 공격할 때 타이훈의 상황은 안좋았다. 타이훈 군사들(대부분 번겜자유민국 출신)이 번겜자유민국을 공격해야 했기 때문이다. 번겜자유민국은 보라제국에게 항복하고 1945년까지 보라제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독립 후

1945년 번겜자유민국이 보라제국에서 독립을 하고 타이훈에서 새로운 국가를 새울려는데 두가지 의견이 충돌하게 된다. 바로 민주주의와 공산주의. 결국 동서로 나누어지었고 서쪽에는 번겜민국, 동쪽에는 번겜인민공화국을 세웠다. 타이훈은 광역시로 바뀌었고 훈다특별시와 인구가 비슷해졌다. 참고로 타이훈은 번겜민국 안에 있었다. 그리고 몇년 뒤 평화협정을 맺고 동서통일을 하게 되었다.

근현대

타이훈의 인구는 급격히 증가했고 GDP도 번겜민국의 8분의 1을 차지한 만큼 부유해지기 시작했다.

현대

1980년대 IMF위기가 오자 타이훈이 수도로 이전되었고 타이훈이라는 이름이 세계에 크게 알려졌다. 그렇게 타이훈특별시의 활기가 뛰고 있었지만 2020년대 후반 우수르 독립당이 총선에서 승리하고 서쪽에 우수르 공화국을 건설한다. 타이훈이 우수르쪽으로 가게 되자 약 4년간 경제가 위태로웠다가 현재 다시 활기를 띠는 세계도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