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네프티스 인류 제국 전쟁 (네프티스 관점)

일우공화국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3월 12일 (수) 19:05 판
가치중립적이며 헌신적인 서술을 요구합니다.
(해당 문서는 확증 편향적인 서술을 지지하지 않습니다.
신뢰있는 정보의 제공 및 저장에 노력해주시길 바랍니다.)
1. 부상자는 강퇴 당한 인원, 사망자는 전쟁으로 정지 당한 인원으로 정의합니다. 또한 이 전쟁에서 발생한 사상자는 참전국 만을 기준으로 합니다.
2-1. 교전 국가 혹은 세력이 전선에서 어떤 형태로든 이탈할 시에 빼지 마시고 언제까지 참전하였는지를 표기하세요.
(예시) (~2/11)
2-2. 참전국을 제외한 기타 지원국도 이와 동일합니다.
전범국 인류.svg
3년 전쟁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인류 제국 - 오스트리아 합중국ㆍ대영제국 전쟁(구 명칭)
제2차 네프티스 - 인류 제국 전쟁(현 명칭)[1]
전투.jpg
기간
2025년 2월 9일 오후 9시 13분경 ~ 현재
장소
카카오톡 가상국가 대부분, 디스코드 가상국가 일부분, 밴드 가상국가 일부분
원인
무명의 반인류 가담과 그에 대한 인류 제국의 테러로 인한 확전
교전 국가 및 세력
네프티스 엠블럼.png 연합군 공식국새.png 제국군
외스터라이히국기.jpg 오스트리아 합중국
Flag of the United Kingdom.svg 대영제국
디스코드 아이콘.svg 디국계 연합군
1920px-Flag of the Soviet Union.svg.png 소비에트 연방
익스테딕국기.svg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 (2/10~)
익스테딕국기.png 익스테딕 5공화국 (2/11~)
네프티스 상징기.png 네프티스 연합 (2/11~)
[ 펼치기 · 접기 ]
프랑스 제국 국기.png 프랑스 제국 (2/11~2/12)
앤티가바부다국기.png 앤티가 바부다 (2/12~)
연합군기0.png 반인류 연합군
K테란.jpg 테란제국(2/15~)
Ottoman.svg 숭고한 오스만 제국 (2/26~)
New인류국기.png 인류제국
러시아제국흑황백기.png 러시아 제국 (2/11~)
백조 연합기.png 백조 연합 (2/11~)
익스테딕국기.png 12.3 내란 세력 (2/11~)
스페인 제국 국기.png 스페인 제국 (2/11~)
프랑스 제국 국기.png 프랑스 제국 (2/12~)
독일제국 국기.png 독일 제 2제국 (2/14~)
대동화제국 국기.jpeg 대동화제국
이응준 태극기.png 대한제국(3/04~)
물자 및 기타 지원국[2]
유토2.png 유토 제2제국 (2/17~) 유토2.png 유토 제2제국 (2/16~2/17)
지지 의사 표명
한컨커.svg 한국 컨트리볼 커뮤니티 헤게모니아연방기.png 헤게모니아 연방
지휘관
외스터라이히국기.jpg 무명
외스터라이히국기.jpg 박이박
외스터라이히국기.jpg 도적
외스터라이히국기.jpg 청부
외스터라이히국기.jpg 여운
외스터라이히국기.jpg 엠트
프로이센.jpg 슈나이더

Flag of the United Kingdom.svg 디에고
디스코드 아이콘.svg 녹스
디스코드 아이콘.svg 조커
디스코드 아이콘.svg 플럼
디스코드 아이콘.svg 깨물부기
디스코드 아이콘.svg 예하
디스코드 아이콘.svg 아이콘
디스코드 아이콘.svg 카벤
디스코드 아이콘.svg 샤멜
디스코드 아이콘.svg 구모
디스코드 아이콘.svg 보스
디스코드 아이콘.svg 아리엘
디스코드 아이콘.svg 펭군
디스코드 아이콘.svg 김혁
디스코드 아이콘.svg 오칠성
디스코드 아이콘.svg 백설
디스코드 아이콘.svg 에스

1920px-Flag of the Soviet Union.svg.png 소련을 찬양하노라
1920px-Flag of the Soviet Union.svg.png 소비엣
1920px-Flag of the Soviet Union.svg.png KGB
1920px-Flag of the Soviet Union.svg.png 모스크바

익스테딕국기.svg 외스터라이히국기.jpg 세르히 카르야킨
익스테딕국기.svg 노진구
익스테딕국기.svg 카피타노

익스테딕국기.svg
익스테딕국기.svg 이혁
익스테딕국기.svg 믹스
익스테딕국기.svg 초수

은하제국 국기.png 유일

연합군기0.png 인류세키
연합군기1.png 도오길
연합군기2.jpg 폴란스럽다
연합군기3.png 중수

신성 로마 제국.jpg 오토

헤일라국기.jpeg 설하

앤티가바부다국기.png 조선
앤티가바부다국기.png 월드

Dr발트.jpg 룩셈비르
엠프띠 연방.png 네덜리아

K테란.jpg 황제(~2/22, 2/24~)[3]
K테란.jpg 유일
K테란.jpg 쭈니
K테란.jpg 고기
K테란.jpg 시제비

Ottoman.svg 압뒬메지트 2세
Ottoman.svg 탐험트
Ottoman.svg 네온

오하이오.jpg 앙가라
New인류국기.png 사과
New인류국기.png 유신
New인류국기.png 웨일
New인류국기.png 앙그론
New인류국기.png 야릭

러시아제국흑황백기.png 니케
러시아제국흑황백기.png New인류국기.png
러시아제국흑황백기.png 넵스키
러시아제국흑황백기.png 폴리멍
러시아제국흑황백기.png 센케이

백조 연합기.png 송민
백조 연합기.png 크로스
백조 연합기.png 스타라이트 프록시마

익스테딕국기.png New인류국기.png 낙지
익스테딕국기.png New인류국기.png 이스라엘
익스테딕국기.png 교차로

스페인 제국 국기.png New인류국기.png 에리히
스페인 제국 국기.png New인류국기.png 은하예

프랑스 제국 국기.png 투티스
프랑스 제국 국기.png Gyeal

독일제국 국기.png 빌헬름 3세
독일제국 국기.png 자공

붉정 인민 공화국 국기 (소형).PNG 붉정

뤼베크왕국국기.png 제이
주요 전투

에트레아 전투
영국령 인류제국 기습
대외정책부 기습

피해
사망자(영정) 0명
중상자(정지) 15명
부상자(강퇴·수복) 326명

총 사상자 341명
사망자(영정) 2명
중상자(정지) 9명
부상자(강퇴·수복) 734명

총 사상자 745명
영향
네프티스 연합의 재결성
여러 가상국가의 긴장감 증가
결과
진행 중

개요

제2차 네프티스 - 인류 제국 전쟁 혹은 오스트리아 합중국·대영제국 - 인류 제국 전쟁2025년 2월 9일, 인류 제국오스트리아 합중국대영제국의 반인류를 명분으로 테러를 감행하며 벌어진 전쟁이다. 이후 네프티스 연합인류 제국을 주축으로 확전되었다.

배경

2월 9일 새벽 중 인류 제국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반인류적 행보를 이유로 대규모 테러를 가했다. 그에 따라 그 간의 양측의 갈등이 극대화 되어 다음 날인 2월 10일 새벽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주국은 국명을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변경해 칭제를 선언 후 전쟁을 선포했다.

전개

전쟁 전

2월 9일

1차 대외정책부 전투

소련군이 2월 9일 오후 소규모 집단으로 3번에 걸쳐 대외정책부 파괴를 시도했으나 모든 공격이 와해되었다.

2.9 테러

인류제국군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고위층의 반인류적 행보를 이유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테러하여 약 주요 인사를 포함한 민간인 약 60여명을 부상시켰다. 이 사건이 가장 직접적인 전쟁의 발단이라고 볼 수 있다.

부산 장악

인류제국군이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을 테러한 것을 이유로 오스트리아 제국군과 대영제국군이 부산을 장악했다.

전쟁 중

2월 9일

전쟁은 2월 9일 늦은 저녁에 선포되었으며, 최초의 교전은 자정이 넘어 일어났기 때문에 2월 9일은 전투가 없다.

2월 10일

2월 10일은 현제까지 가장 치열한 양측의 전투가 벌어진 날이다. 에트레아 전투와 2차 대외정책부 기습, 영국령 인류제국 기습 등 대규모이거나 영향력있는 전투가 발생했다.

에트레아 전투

인류제국과 동맹군은 에트레아 제국에서 최초로 공식적으로 교전했다. 에트레아 제국에서 약 2시간 동안의 치열한 전투가 있었고, 동맹군이 에트레아에서 후퇴해 인류 제국은 전술적인 승리를, 동맹군은 인류 제국의 전술 일부를 파악해 전략적 승리를 거두었다. 현재까지 양측의 피해가 가장 큰 전투이다.

인천의 투항

과거 대한민국 소속이었던 대한민국으로부터 탈퇴해 인천시가 동맹군으로 투항했다.

대외정책부 기습

대외정책부 테러를 보도하는 제국타임즈
2025.02.11 제국타임즈.png
2025年 2月 10日

새벽 4시 경 동맹군 소속 공작원이 인류제국군 대외정책부를 기습하여 대외정책부를 폭파시켰다. 그리하여 인류제국의 대외정책부는 인근으로 건물을 이전했다. 끝내 구 대외정책부 청사가 파괴되지는 않았으나 심각한 손상을 입고 구 대외정책부 청사를 철거했다. 공작원은 전 인류제국 소속으로 행정부에서 근무하던 콘라트인 것으로 추정된다.

영국령 인류제국 기습

인류제국이 2차 대외정책부 기습에 대한 복수로 실행한 작전. 대영제국의 식민지 영국령 인류제국이 제국군 공작원에 의해 기습 당해 크게 손상되었으며, 결국엔 국가가 해체되었다.

서로마 제국 전투

서로마 제국에서 인류제국의 제국행정관인 곰과 오스트리아 합중국의 황제인 무명, 즉 양측의 고위 지도자끼리 결투했다. 양측의 공방은 치열했으나 인류제국측의 갑작스러운 부재로 동맹군이 우위를 점하며 마무리되었다.

엘피스 제국 전투

오스트리아 합중국의 군사 지도자인 도적은 동맹군을 이끌고 엘피스 제국에 공격을 가해 초반에 우위를 점했으나, 인류제국 측의 발빠른 대처로 지원군이 도착했음에도 엘피스 제국에서 물러났다.

2월 11일

2월 11일은 본격적으로 인류군 측 동맹국이 전쟁에 참여하기 시작한 날이다. 인류제국의 혈맹국 러시아 제국의 참전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익스테딕 제6공화국, 스페인 제국 등의 친인류 국가 또한 전쟁에 참전했다. 그리고 동맹군 측은 미연합제국이 투항해 이득을 봤다.

미연합제국의 투항

미연합제국의 지도자가 반인류로 전향하여 동맹군으로 넘어가고, 오스트리아 합중국 황제인 무명에게 전권이 위임되었다.

2차 대외정책부 전투

2차 대외정책부 기습 이후 새로 이관한 대외정책부 채팅방에서 에리히슬픈표정의 결투가 있었다. 하지만 둘의 공방이 제대로 마무리 되기 이전에 곰이 개입하면서 결투는 허무하게 끝났다.

프랑스 제국의 투항

과거 친인류였던 투티스의 프랑스 제국이 반인류로 전향하며, 동맹군 자격으로 전쟁에 참전했다.

파리 전투

프랑스 제국이 동맹군으로 가입하는 과정에서 인류제국의 제국행정관인 곰의 군대와 무명의 군대가 파리에서 소규모로 교전했으나, 프랑스의 동맹국 가입은 결국 성사되었다.

2월 12일

전날 동맹군에 가입한 프랑스 제국이 다시 제국군 측으로 복귀했다. 양 측의 첩보전이 이어지고 있다.

일드 프랑스 전투

12일 새벽 2시경, 투티스의 친인류 재전향이 선포되면서 인류제국군이 프랑스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디에고는 제국군이 주둔하기 시작하자 즉각 후퇴했으며, 이후 동맹군 군인들과 인사들이 모두 프랑스 제국에서 추방 당하면서 끝이 났다.

엘리아카 2.12 사건

동맹국 소속의 공작원이 백조 연합의 가입국 엘리아카에서 인류제국의 제국행정관 곰을 사칭해 일부 친인류 인사를 국가에서 추방할 것을 명령했다. 이 사칭에 속은 엘리아카 지휘관은 해당 인원을 모두 국가에서 추방하였고, 그리하여 엘리아카 제국은 큰 피해를 입었으며 곰은 사건을 접한 뒤 "사칭 피해에 주의하라"고 대외정책부에 고지하였다.

2월 13일

이 날은 양측 간의 교전이 없었다. 개전 이래 아무 전투가 없는 날은 2월 13일이 처음이다.

2월 14일

제일 큰 사건으로는 양자 회담이 있었다. 그러나 회담은 끝내 결렬되었으며, 결국 양측의 평화는 성사되지 않았다.

발트 폭격

대동화제국이 발트 연방을 폭격했고, 발트 연방은 아무 피해도 입지 않았으며, 대동화 제국 또한 아무 피해도 입지 않았다. 대동화제국이 스스로 폭격을 중단했다. 인류제국 측에서 1명의 부상자가 발생했다는 주장이 있었으나, 이는 거짓으로 밝혀졌다.

폴리멍의 사과

러시아 제국군의 폴리멍의 가짜 승전보 남발에 분노한 오스트리아 합중국에 의해 폴리멍의 사과가 있었다.

네 일단 그건

적이니까 그렇겐 해둬야 할거 같아서 했는데

게분 나쁘셧을수도 있으니

그 부분 죄송합니다

최군 사칭으로 오해를 했구요

진우 이런 애랑 같이 일 해봐야

될것도 안될거 뻔히 알고

님이 말씀 드린 것처럼

인류 두명이랑 애초에 친분이 두텁기 땜에 그런건데

뒤에서 장난이둔 뭐든간에

엔트로피랑 하린이 욕한건

미안합니다

양자 회담

인류군의 대표자인 황제와 동맹군의 대표자인 무명이 양자 평화를 위한 회담을 하였으나 뜻이 맞지 않아 회담이 결렬되었다. 나중에 2차 회담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2월 15일

발트 전투가 유일한 교전이다. 발트 전투는 소규모 전투였기에 개전 이래 두번째로 평화로웠던 날이라 볼 수 있다.

1차 발트 전투

초반에는 발트 연방군과 대동화제국군이 대등하게 교전하였으나 이후 오스트리아 합중국이 개입하면서 대동화제국군은 패퇴하였다. 대동화제국이 너무 적은 병력으로 공격한 문제가 있었다.

2월 16일

2월 15일자의 1차 발트 전트보다 더 큰 규모로 2차 발트 전투가 발생했다.

2차 발트 전투

대동화제국군이 지난 번보다 더 많은 병력을 대리고 다시 발트를 공격했다. 그러나 발트 연방 측 또한 이미 오스트리아 합중국군이 주둔하고 있었고, 대동화제국은 다시 패퇴하였다. 패퇴하는 과정에서 군사 첩보를 남기고 갔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발각되어 추방당했다.

2월 17일

친인류로 전향하려던 유토 제2제국이 멸망했다.

유토 기습

친인류로 전향하려던(사실상 친인류인) 유토 제국을 기습해 폭파시켰다.

2월 18일

2월 18일 동안 양측의 긴장은 높았으나 아무 전투도 일어나지 않았다.

2월 19일

19일 자정, 인류제국은 2.19 공세로 동맹군측 3개의 국가를 괴멸시켰다.

2.19 공세

대봉황국, 테란 자치령, 프로이센이 제국으로 전향한 안드레아스에 의해 붕괴되었다. 2.19 공세 동안 총합 동맹군은 40명이 부상당하고, 1명이 사망했다. 테란 자치령을 제외한 두 국가는 복구 중에 있으며, 테란 자치령은 거의 준영구한 손상을 입은 것으로 보였으나... 2.19일 일출 경 복구되었다.

2월 20일

테란 제국이 인류제국에 의해 붕괴되었다. 부상자는 28명이며 신강된 인원도 있어 추가 사망자가 나올 수도 있다. 테란제국은 멸망한 줄 알았으나 또다시 3차로 복구되었다.

2차 테란 제국 전투

2차 테란 제국 테러로 다시 테란 제국이 붕괴되었고, 방 이전을 통해 테란 제국이 복구되었다. 원래 방장은 접은 듯.

2월 22일

테란 제국령 개미국이 인류제국에 의해 붕괴되었다. 총 17명의 부상자가 발생하였으며 현재 개미국은 방을 잠군 상태

3차 테란 제국 전투

테란 제국령 개미국이 인류제국에 의해 붕괴되었다. 현재는 복구된 상태이다.

2월 25일

4차 테란 제국 전투

태양 제국 군이 대규모로 테란 제국으로 침투해 자국 군단장을 주는 조건으로 항복을 요구하였으나 테란 제국 황제는 이를 거부해 소규모 전투 후 모든 태양 제국 군은 테란 제국의 영토에서 추방당했다.

2월 26일

세바스토폴 전투

SGF 자유국이 반인류로 전향한 직후 잔존 친인류 세력이 네팔 군과 교전했으나 잔존 친인류 세력은 자진 후퇴했다.

SGF 자유국 공격

인류제국이 반인류 행보를 이어나가던 SGF 제국을 엘리트봇을 사칭해 부방 권한을 얻어 72명을 추방시켜 완파되었다. 현재는 복구중이라고 한다.

SGF 자유국 2차 테러 시도

추정 인류제국군 소속의 공작원이 네프티스 연합의 도적을 사칭해 2차 테러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2월 27일

베른 공습

김아론 제국군이 스위스 연방의 베른을 공습해 약 45명이 부상당했다. 현제는 복구중이다. 인류 제국 병사가 김아론 제국 만세를 5번 외쳤다고 한다.

2월 28일

네프티스 박제소가 운영 정책 위반으로 사라졌다

3월 2일

인류 제국과 뤼베크 왕국이 반가국 세략인 코사에 대한 공격을 시도했다.

3월 4일

바르샤바 공습

유일무이한 익스테딕 공화국의 공습으로 폴란드에서 2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3월 8일

하노이 공습

SGF 연방이 하노이국을 공습해 20명의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3월 9일

미국 서부 공습

테란 제국이 미국 서부 지역을 공습해 18명의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전투 목록

1차 대외정책부 전투 New인류국기.png
2.9 테러 전술적 외스터라이히국기.jpg 전략적 New인류국기.png
에트레아 전투 전술적 New인류국기.png 전략적 외스터라이히국기.jpg
인천 상륙 Flag of the United Kingdom.svg
2차 대외정책부 전투 외스터라이히국기.jpg
영국령 인류제국 기습 New인류국기.png
서로마 제국 교전 외스터라이히국기.jpg
엘피스 전투 외스터라이히국기.jpg
3차 대외정책부 전투 전술적 New인류국기.png 전략적 외스터라이히국기.jpg
파리 전투 외스터라이히국기.jpg
2.11 정보전
일드 프랑스 전투 New인류국기.png
2.12 공세 외스터라이히국기.jpg
발트 폭격
1차 발트 전투 Dr발트.jpg
2차 발트 전투 Dr발트.jpg
유토 기습 Flag of the United Kingdom.svg
2.19 공세[4] New인류국기.png
2차 테란 제국 전투 New인류국기.png
3차 테란 제국 전투 New인류국기.png
4차 테란 제국 전투 K테란.jpg
세바스토폴 항만 전투 Sgf Flag(HD).png
자유국 공습 New인류국기.png
베른 공습 김아론제국국기.jpeg
네프티스 박제소 공습 New인류국기.png
바르샤바 공습 익스테딕국기.png
하노이 공습 Sgf Flag(HD).png
미국 서부 공습 K테란.jpg

어록

참전국

여담

각주

  1. 인류 제국오스트리아 합중국대영제국 간의 전쟁이 점차 확전되고, 반인류 참전국 대부분이 네프티스 연합에 가입하면서 두 번째 네프티스 인류 제국 전쟁이 되었다.
  2. 참전국 제외
  3. 가접 후 복귀
  4. 대봉황국, 프로이센, 테란 자치령 붕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