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키 키요코

Kim jae in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8월 4일 (일) 20:22 판 (→‎기타)
이 문서는 아라시아 공화국에 대한 공식문서입니다.

무단 복제 및 수정 시 처벌 될 수 있습니다.
아라시아 공화국 국장.png
아라시아 공화국의 대통령
제2공화국
6대 이와키 코자부로
재임기간: 1991.8.26 ~ 2017.4.25
7대 이와키 키요코
재임기간: 2017.4.27 ~
(현직)
이와키 키요코
Iwaki Kiyoko/岩城 喜世子
270x320px
이와키 키요코 서명.png
아라시아 공화국제7대 대통령
임기 2017년 4월 27일 ~
국무총리 소고 카츠요시
전임: 이와키 코자부로(제6대)
후임: 미정(제8대)

|-
신상정보
국적 Arasia.png 아라시아 공화국
출생일 2002년 8월 15일(2002-08-15) (21세)
출생지 대경도 깃발.png 다이쿄도 아키카와시(昭川市) 주오구(中央區) 타이쿄종합대학부속병원
거주지 대경도 깃발.png 다이쿄도 아키카와시(昭川市) 주오구(中央區) 대통령궁
학력 아키카와 국립소학교 (졸업)
타이쿄종합대학 심리학 명예학사(2018)
아라시아국립대학 심리학 명예학사(2019)[1]
정당 당적 없음
부모 이와키 코자부로, 母 이와키 요시에
종교 가톨릭(세례명:헬레나)
서훈 무궁화대훈장.png 아라시아 국민대훈장.png

이와키 키요코(Iwaki Kiyoko/岩城 喜世子)은 아라시아 공화국의 최연소 정치인이다. 더불어 전세계 최연소 국가원수이다. 아라시아 공화국의 대원수 직함도 겸하고 있다.

6대 대통령이였던 이와키 코자부로와 영부인 이와키 요시에의 무남독녀로 이와키 코자부로 대통령의 급사로 인해 대통령직을 세습하여 2017년 4월 27일 아라시아 국회 의사당 광장에서 "As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Arasia, I am sworn to respect and protect the rights and freedoms of the people, to defend the sovereignty, independence, safety and integrity of the nation and to serve the people faithfully in accordance with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Arasia."라고 취임선서를 하며 7대 대통령으로서의 공식적인 업무를 시작했다.[2]

이름

喜世子라는 이름은 아버지인 코자부로 대통령이 직접 지었다고 하는데 "세상을 기쁘게 하는 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여자아이에게 위화감 없는 이름에다가 일반인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어서 그런지, 키요코가 태어난 다음 해에 새로 태어난 여자아이의 이름으로 "키요코"가 많이 늘었다고 한다.

가족관계

부모인 이와키 코자부로, 이와키 요시에가 모두 사망하면서 현재 이와키 키요코의 유일한 가족은 이복동생인 이와키 키요쿠니 밖에 없다. 그 만큼 이와키 키요쿠니에게 집착한다고 하는데 그 정도가 연인들간의 집착보다 더 심하다고 한다. 하지만 이와키 키요쿠니 입장에서는 이복누나의 집착이 그렇게 나쁘게 느껴지지는 않는 모양. 참고로 같이 있으면 키요코 쪽이 동생으로 보인다고 한다.

생애

2002년 8월 15일 아라시아 공화국 타이쿄타이쿄종합대학부속병원에서 이와키 코자부로 대통령의 무남독녀로 태어났다. 이와키 코자부로 내외가 결혼하고 몇 십년만에 어렵게 얻은 소중한 아이였기 때문에 이례적으로 태어나자마자 후계자로 결정되었으며 부모의 사랑과 언론의 주목을 한 몸에 받고 자랐다.

몇 십년만에 어렵게 태어난 후계자였기 때문에 어릴적부터 언론에 자주 노출되었는데, 매번 생글생글 웃는 밝은 모습을 보여 아라시아 공화국 국민들의 귀여움을 한 몸에 받았으며 이때부터 청소년층과 중장년층까지 다양하게 팬층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형성되었다.

어머니였던 이와키 요시에의 성격을 물려받아 소학교 시절 급우관계도 상당히 좋았으며 서글서글한 성격에 인기가 많아 두루두루 친했다고 한다. 그리고 코자부로 전 대통령의 영향으로 심리학에 관한 책을 많이 접해서 그런지 심리학에 관심이 많고 흥미가 있다고 한다. 본인은 중학교 진학을 원했으나 코자부로 대통령의 지시에 중학교에는 진학하지 못하고 대통령궁에서 후계자수업으로 하며 중학교 과정을 대체하였다. 이때를 본인은 자신을 새장속에 갇혀버린 새라고 표현한 바 있다.

2017년 4월 25일 아버지 이와키 코자부로 대통령이 과로가 겹친 심장마비로 사망하게 되자 관련 법률 따라 2일 뒤인 27일 국회의사당 광장에서 취임식을 하며 아라시아의 대통령으로 공식적으로 취임했다.

2019년 3월 22일 한국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트위터에 문재인 대통령을 "President Moon, the coolest gentleman in the world!"(세상에서 가장 멋진 신사 문 대통령)이라고 언급하며 "Getting ready to leave for South Korea and meeting with president Moon, the coolest gentleman in the world! so happy and honored. Hope that day comes soon."라는 트윗을 남겼다. 주로 영어로 글을 올리지만 간간히 서툰 한국어로 트윗을 올리기도 한다.

한국을 공식방문하면서 한국의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을 수여받았다. 2005년 노무현 전 대통령으로부터 무궁화대훈장을 수훈한 코자부로 대통령에 이어 아라시아 공화국의 두 번째 무궁화대훈장 수훈자이고 부녀가 나란히 무궁화대훈장 수훈자가 되었다. 보좌관에 따르면 그 뒤 호텔에 돌아가서는 무궁화대훈장을 끌어안고 펑펑 울었다고 한다.

2019년 7월 1일에는 "일본의 어이없고 불합리한 경제제재에 대해 아라시아 공화국은 어떤 일이 있더라도 한국편을 들겠다."라고 발언했다. 이 발언에 대해서는 일반 국민들은 대체로 찬성하는 분위기였지만 소고 카츠요시 국무총리와 여당인 아라시아 민주당마저 무리수라며 항의했다고 한다. 심지어 아라시아 민주당의 비주류계파인 긴시로 파벌[3]은 이와키 키요코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했다.

이야깃거리

성품

할아버지인 카즈타카 전 대통령, 아버지 코자부로 전 대통령과 달리 휘하의 모든 장관들과 비서관들에게 존칭을 쓴다고 한다.

기본적으로 자기주관이 뚜렷하고 감정표현을 확실히 하는 스타일이나 보통 정치인들보다 상당히 어려서 그런지 국가원수가 맞나 싶을 정도로 정치적 요령이 없다.

영어실력

이와키 키요코의 영어실력이 본격적으로 드러난 시점은 국회 광장에서 취임선서를 할 때였는데 이때 취임선서와 취임사를 말하면서 상당한 영어실력을 보여주게 되어 전세계적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었다.

인기

단순히 정치적 지지를 넘어선 이와키 키요코 개인에 대한 '인기'가 많다. 그리고 이러한 대중적 인기를 바탕으로 대통령 취임 이후 열성적인 지지를 받으며, 여느 정치인들의 팬클럽을 뛰어넘는 강력하고 탄탄한 '팬덤'을 자랑한다.

기타

아버지인 이와키 코자부로가 즐겨읽던 심리학 서적을 어릴 때부터 접하게 된 영향인지 심리학에 굉장히 관심이 많다고 한다. 현재까지도 항상 시간 날 때마다 틈틈히 국내외 유명 심리학자들의 심리학 서적을 즐겨 읽는다고 한다.

2018년 아라시아 공화국 정부의 공식 유튜브 채널인 <ARASIA365>에서 대통령궁 내부를 공개했는데 책장에 가득한 심리학 관련 서적들과 대통령 집무실 책상에 어렵고 복잡하다고 소문난 아라시아국립대학 심리학 심화과정 교재가 펼쳐진 상태로 포착되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거기에다가 심리학 교재에는 필기가 빼곡하게 되어있었다고 한다. 일각에서는 이와키 키요코 대통령의 심리학 지식은 심리학 전공교수들과 동급이 아니냐는 소리도 심심치 않게 나오고 있다.

현재 35대 국회에서 아라시아 공화국 대통령이라는 직함을 황제로 바꿔 입헌군주정으로 국체를 변경하자는 목소리들이 높아지는 가운데 이와키 키요코는 "아라시아 공화국은 세습 대통령은 내 뒤로는 없을 것"이라며 일단 대통령 직선제를 암시하기도 했다. 다만 세습 대통령이라고 했기 때문에 해석에 따라 직선제를 암시하는 것이 아닌 입헌군주정으로의 국체 전환이라고 해석되고 있다.

각주

  1. 명예학사의 경우 아라시아 공화국 최연소 기록이다. 다만 아라시아국립대학의 경우 원래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하려고 했으나 본인이 "심리학을 공부하는 대학생들에게 민폐다."라고 거부해서 두단계 낮춰서 명예학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2. 원래 취임선서는 관례상 일본어로 하는게 맞으나 이와키 키요코 같은 경우 2000년대 이후 출생자이기 때문에 일본어를 잘 하지 못한다.
  3. 아라시아 민주당 내부에서 이와키 코자부로의 동생인 이와키 긴시로를 지지하는 파벌. 현재 아라시아 민주당 계파 중에서 가장 규모가 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