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경제국 황제 大敬帝國 皇帝 Emperor of Korea Empire | ||||||||||||||
1대 | 2대 | 3대 | 4대 | 5대 | 6대(재위중) | |||||||||
안종 태황제 (1890 ~ 1918) | 순종 성황제 (1918 ~ 1932) | 영종 문황제 (1932 ~ 1935) | 의종 대황제 (1935 ~ 1961 1987~1988) | 청의태상황 이유수 (1988 ~ 2017) | 전황제 이원 (2017 ~ 현재) |
이강
李强 | |
![]() | |
![]() 1936년 2월 10일 제정 | |
대경제국 황제 폐하 | |
재위 | 1936년 2월 5일 ~ 1961년 5월 18일 1987년 9월 30일~1988년 11월 3일 |
---|---|
대관식 | 1936년 2월 5일 |
전임자 | 영종 문황제 이은 |
후임자 | 청의태상황 이유수 |
총리 | |
제1제국군의 총통수권자 | |
재위 | 1936년 2월 5일 ~ 1961년 5월 18일 |
대경제국 제1제국의 황태자 전하 | |
재위 | 1935년 6월 21일~1936년 2월 5일 |
대경제국 제1제국의 친왕 전하 | |
재위 | 1910년 4월 10일~1935년 6월 20일 |
별칭 | |
휘(諱) | 이강 (李强) |
별호 | 혼희 (琿熙) |
연호 | 의 (義) |
묘호 | 의종 |
존호 | 덕건성무제인명정만사성국흥강 황제(悳建成撫悌人明政萬事省國興絳 皇帝) |
시호 | 영평상원경교송안제찰정규호경명행수도광양회평성효대황제(永平相援敬敎頌安悌察政規護經明行修韜光養晦平晟孝大皇帝) |
능호 | 개황릉(開皇陵) |
신상정보 | |
출생일 | 1910년 5월 27일 |
출생지 | 대경제국 제1제국 청경자유시 |
사망일 | 1988년 11월 3일 |
사망지 | 대경제국 청경특별자유시 경복궁 강녕전 |
매장지 | 대경제국 광주시 황릉리 |
왕조 | 대경제국 황실 |
가문 | 전주 이씨 |
부친 | 순종 성황제 이척 |
모친 | 정경황후 연씨 |
배우자 | 승경황후->기경태황태후 김화 |
자녀 | 청의태상황 이유수 전황제 이원 정양친왕 이고 성미내친왕 이요양 준정친왕 이봉 |
기타 친인척 | 영종 문황제 이은, 성명대군, 이연대군, 숙정내친왕 이혜 |
종교 | 카톨릭(세례명: 대건 안드레아) |
서훈 | 대훈위 금척대수장, 대훈위 서성대수장, 대훈위 이화대수장, 황태자 가례 기념장, 문화장, 황제 폐하 즉위 기념장, 순종 황제 폐하 즉위 5주년 기념장, 영종 황제 폐하 즉위 1주년 자응장 |
군사 경력 | |
복무 | 대경제국 제1제국군 |
복무기간 | 1929년 4월 10일~1931년 1월 10일 |
소속 | 대경제국 제1제국군 |
최종계급 | 중령 |
지휘 | 대경제국 제1제국군 제11 사단 |
근무 | 육사 |
참전 | 제2차 경일전쟁(복무후) |
개요
생애
청소년기
본격적인 황제(皇弟)의 생활
갑작스러운 난리와 황제 즉위
전후 혼란
6.25 내전
혼탁한 내정
제정 폐지
스위스 망명 생활
복벽
붕어
개인 사생활
정치적 행보
평가
가족 관계
어록
기타
- 이 시기에 의종 대황제는 국휘를 사실상 금지시키면서 국휘는 사문화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