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미합중국군 United States Armed Forces | ||||
![]() | ![]() | ![]() | ![]() | ![]() |
미합중국 육군 | 미합중국 해군 | 미합중국 공군 | 미합중국 해병대 | 미합중국 해안경비대 |
개요
마미군 수뇌부 지휘관
미군통수권자는 마미국 대통령이며, 군인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전역 후 5년 이상이 지나지 않으면 국방장관에 임명될 수 없다. 과거 7년이었으나 5년으로 개정되었다. 정확히는 현역 기준. 예비역이면 상관없다.5년간 민간인 신분 이어야 임명되고, 그 밑에 육/해/공군부가 따로 존재한다. 옛날 수립 당시에는 전쟁부가 있었으나 2017년부터 폐지되었고 국방부로 바뀌였다.
의전에서 국방부는 장관(Secretary)-차관(Deputy Secretary)-육해공 3군 장관-합참의장-차관(Under Secretary, 5인)-합참차장-각 군 최선임(육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 주방위군총감)-해안경비대사령관 해안경비대사령관 해안경비대사령관은 국방부가 아니라 국토안보부의 지휘를 받지만 국방부와 합동으로 의전을 매길 경우 이 자리에 들어간다.-통합전투사령관(9인)의 순이다. 미국의 경우 부장관과 각 군 장관들이 합참의장보다 앞이며 차관들이 합참의장을 제외한 나머지 제복군인보다 서열이 높은 구성을 하고 있다. 차관보(Assistant Secretary)도 의전상 5성장군급의 대우를 받는다.
![]() | ![]() | ![]() | ![]() | ![]() | ![]() | |
대통령 | 국방부장관 | 국방부 차관 | 최고경영관리자 | 육군장관 | 해군장관 | 공군장관 |
김호준 | 편상욱 | 클라라 18.10.29 임명. | 아삼 | 니시즈미 미호 3대 장관 18.12.13 임명. | 레이제이 마코 3대 장관 18.12.13 임명. | 헬리 제임스 |
육해공 각 장관은 장관이라고 부르나 사실상 지휘위치는 장관보급으로 대우받는다. 단 니시즈미 미호는 업무능력 향상과 특별 니시즈미류에 속해있어 최고급 지휘를 맡아야 하기때문에, 장관보급 보단 국무총리급으로 승격됬다.
차관
![]() | ![]() | ![]() | ![]() | ![]() | ![]() |
군수차관 | 연구 및 공학차관 | 정책차관 | 재무차관 | 인사차관 | 정보차관 |
나카지마 / 나카지마 사토코 (ナカジマ / 中嶋 悟子) | 루크리리 (ルクリリ) | 스즈키 (スズキ) | 호시노 (ホシノ) | 츠치야 (ツチヤ) | 모모가 (ももがー) |
통합전투사령부
![]() | ![]() | ![]() | ![]() | ![]() |
마미국사령관 | 해외남부지방사령관 | 오시리카지방사령관 및 오리시카연합군 최고사령관 | 북부지방사령관 및 항공우주방위사령관 | 태평양사령관 |
안초비 육군원수 | 타케베 사오리 육군대장 | 이스즈 하나 육군대장 | 아키야마 유카리 공군대장 | 케이 해군대장 |
![]() | ![]() | ![]() | ![]() | ![]() |
국내남부사령관 | 특수작전사령관 | 전략사령관 및 넷상성지부사령관 | 수송사령관 | 사이버사령관 |
카도타니 안즈 해군대장 | 코야마 유즈 육군대장 | 카와시마 모모 공군대장 | 이소베 노리코 공군대장 | 콘도 타에코 육군대장 |
각각 사령관들은 차관보급으로 대우를 받는다.
UN본부 수뇌사령부
총사령관 주코미군사령관 겸임 | 부사령관 | 참모장 |
![]() | ![]() | ![]() |
시마다 아리스 육군대장 (마미국) | 메구미 해군중장 (마미국) | 루미 공군소장(케이조쿠) |
사령관은 세계평화관리를 위해 부총리 급으로 둔다. 유일하게 여러 대통령을 혼내줄수 있는 자리다! 아무리 대통령이라도 대형사고라도 치면 UN총사령관이 와서 질타받는다. 작은사고는 봐주는 정도지만 큰 사고를 치면 바로 질타받고 징계를 준다. 크게가면 바로 임기정지에 이어 탄핵할수 있는 막강한 권한이 가지고 있다. 겉으로는 대통령보다 아래에 있지만 실제로는 대통령보다 위에있는 자리다. 그래서 대통령도 함부로 손댈수도 없고 무섭게 어긴다.
주임원사단
![]() | ![]() | ![]() | ![]() |
합참주임원사 | 육군주임원사 | 해군주임원사 | 공군주임원사 |
사와 아즈사육군 | 야마고 아유미 | 네코냐 / 네코타 | 나오미 |
![]() | ![]() | ![]() | ![]() |
해병대주임원사 | 주방위군주임원사 | 해안경비대주임원사 | 넷상성 및 우주방위주임원사 |
아리사 | 피요땅육군 | 우츠기 유키 | 사카구치 카리나 |
각 주임원사단들은 고공단 가 급으로 대우를 받는다.
육군지휘부
대통령 | 국방부장관 | 육군장관 | 육군참모총장 | 육군주임원사 |
![]() | ![]() | ![]() | ![]() | |
김호준 | 편상욱 | 니시즈미 미호 | 니나 원수 | 야마고 아유미 원사 |
Kim Ho-Jun | Wook Pyeon | Nishizumi Miho | Nina | Yamagou Ayumi |
해군지휘부
대통령 | 국방부장관 | 해군장관 | 해군참모총장 | 해군주임원사 |
![]() | ![]() | ![]() | ![]() | |
김호준 | 편상욱 | 레이제이 마코 | 페퍼로니 원수 | 네코냐 / 네코타 원사 |
Kim Ho-Jun | Wook Pyeon | Reizei Mako | Pepperoni |
해병대 지휘부
국방부 소속의 해군장관 지휘를 따른다.
대통령 | 국방부장관 | 해군장관 | 해병대사령관 | 해병대주임원사 |
![]() | ![]() | ![]() | ![]() | |
김호준 | 편상욱 | 레이제이 마코 | 후쿠다 중장 | 호소미 원사 |
Kim Ho-Jun | Wook Pyeon | Reizei Mako | Fukuda | Hosomi |
공군지휘부
대통령 | 국방부장관 | 공군장관 | 공군참모총장 | 공군주임원사 |
![]() | ![]() | ![]() | ![]() | |
김호준 | 편상욱 | 헬리 제임스 | 논나 원수 | 나오미 원사 |
Kim Ho-Jun | Wook Pyeon | Hle James | Nonna | Naomi |
미군 수뇌부
![]() | ![]() | ![]() | ![]() | ![]() | |
대통령 | 국방부장관 | 합동참모의장 | 육군참모총장 | 해군참모총장 | 공군참모총장 |
김호준 | 편상욱 | 카츄샤 육군대원수 | 니나(ニーナ) 원수 | 페퍼로니 원수 | 논나 원수 |
![]() | ![]() | ![]() | ![]() | ![]() | ![]() |
코미연합군 부사령관 | 제1야전군사령관 | 제2작전사령관 | 제3야전군사령관 | 국방부 차관 | 주방위군총감 |
니시 키누요 대장 | 아카보시 코우메 대장 | 이츠미 에리카 원수 | 니시즈미 마호 원수 | 클라라 | 오노 아야 대장 |
![]() | ![]() | ![]() | |||
해안경비대사령관 전시에만 권한부여된다. | 합동참모차장 | 교정본부사령관 | 미합중국 우주사령관 | ||
마루야마 사키 대장 | 소노 미도리코 해군대장 | 밋코 공군중장 | 공석 | ||
2018년 12월 기준 |
계급중 4성 대장계급은 차관급에 해당되며 5성 원수계급부터는 장관대우를 받는다. 마지막 계급인 대원수계급부터는 유일하게 부총리 급으로 대우를 받으며 이때부터는 정무직 공무원에 해당되며 정치적 관여는 할수 있다.
다만 장관급 계급인 원수는 정무직에 해당되지 못하므로 정치적에 관여는 할수없다. 군관련 정치사고가 많기 때문에.
차관보급인 유일한 계급은 중장계급에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