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합의 및 중요판례

Saddam Hussein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월 29일 (수) 18:05 판 (새 문서: == '''법안 개정 절차중 거부권 행사로 인한 집행 혼란에 대한 기준''' == '''작성자''' : 비바루터 '''작성부서''' : 행정중재재판소 '''작성...)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법안 개정 절차중 거부권 행사로 인한 집행 혼란에 대한 기준

작성자 : 비바루터 작성부서 : 행정중재재판소 작성일자 : 2020년 1월 24일


(가) 거부권이 적법인가 아닌가에 대한 논란이 있거나 행중위에서 검토중에 있는 경우 제가 행정중재를 진행할때의 상황이었습니다. 거부권이 적법하게 행사되었는가에 대한 부분에서 논란이 있었으므로, 해당기관이 통과된 법률을 거부권이 무효화된것으로 판단하여 새로운 법률울 집행할지, 아니면 거부권이 실질적으로 발표되어 집행하지 않을지에 대한 판단을 하고, 기관의 판단대로 공고하여 집행하면 합법이라는 판결이었습니다. (실질적인 집행과 상관없이 말입니다.) 만약 공고하지 않고 아무 생각없이 기존 법률이던, 새로운 법률이던간에 공고없이 집행한 경우 이는 법안이 확정된 이후 결과에 따라 불법이 될 수 있으므로 추가 재판이나 집행번복의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참고) 만약 거부권이 행중위에 의해 적법하게 선언되었음이 확인되어 의장이 법안의 폐기를 확정할 이후, 담당기관이 행중위 거부권 심사도중에 “적법하게 선언되었음”을 이유로 들어 폐기된 법률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월권"이 됩니다. 법안의 폐지와 승인등은 총회의 권한이기 때문입니다. 이 판례는 “애매한 상황에서의 기관의 선택" 을 강조하는 판례입니다. 실질적인 시행 이후 이를 무효화하거나 추후에 생길수 있는 추가적인 분란을 방지하고자 강조하였습니다.


(나) 거부권이 적법하게 행사되었을 경우 거부권이 적법하게 행사되었는가에 대한 논란이 없을 정도라면, 거부권이 적법하므로 의장이 이를 확인하지 않을수 있으나 적법한 거부권의 행사를 의장이 거부한채 최종 확정해버리면 이는 월권이 됩니다. 다시말해, 적법한 거부권이 행사된 경우, 원칙적으로는 통과된 법안의 폐기가 선언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법안 확정 및 최종 통과선언" (거부권이 행사되지 않은 경우에는 굳이 필요 없는 절차입니다) 이 불가능합니다. 결국 이러한 경우에는 법안의 통과와 거부에 대한 모든 선언등은 모두 의장국과 총회의 권한이므로 법안이 붕 뜨게 되며, 통과된 법안 자체는 합법적 거부권의 행사와 동시에 "집행이 보류"되어 집행 자체가 불가능하게 됩니다

18일 내에 거부권이 행사된경우 카페법전에 붙여져있는 법안에 [보류]를 붙인다. (입법부법 참조)

이 경우 담당기관이 거부권이 적법하게 사용되었으므로 본래대로 시행한다는 것만 확인하여 공고해주신후 실질적으로 집행하면 애매한 기간 동안에는 합법입니다. 또한 사법서사회의 자체 결정으로 사법서사법을 집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유는 (다)에서 후술합니다.


(다) 사법서사법 시시비비를 가려보면 이렇습니다.

  1. 사법서사법 폐지안이 통과되었음을 의장이 선언했고
  2. 상임이사국에 의해 적법한 거부권이 선언되었으며
  3. 사법서사법 폐지안이 거부권 선언 함께 시행보류가 됨 공고 : [보류]를 붙임(시행이 보류된다는 말)
  4. 의장이 통과이후 적법한 거부권의 확인을 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 사법서사법 폐지안은 적법한 거부권 행사에 의해 집행이 보류되었으나 의장에 의해 거부가 최종적으로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사법서사법 폐지안에 의해 기존의 사법서사법이 폐기되었느냐 아니냐에 대한 논란이 가타부타 있을 수 있음. (쉽게 말하자면 폐지안이 적법하게 통과된 것이 의장국에 의해 확인되었고, 그 이후 적법하게 거부권이 행사되어 페지안의 시행이 보류된 상황이므로, 기존의 사법서사법을 폐기하고 “사법서사법 폐지안"으로 대체된채로 시행이 보류되었는가, 아니면 사법서사법을 폐기를 실행하는 것이 보류되었냐의 문제.)
  5. 논란과 관련해, 관련기관이 확실히 기존 법률을 집행할 것인지, 아니면 결론이 나올때까지 가만히 기다릴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으며, 관련기관은 전자를 선택할 경우 기존 법안의 합법적인 집행이 가능. 단, 기존 법률의 비법적인 집행은 공고없이 시행될 수 있으나. 공고없이 진행된 기존 법안의 집행은 나중에 최종 결론이 나는 것에 따라 법적인 절차를 밟힐 수 있으니 주의. (기존 법안이 존치되는 경우 괜찮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 법적인 절차를 밟힐 수 있다는 것)
  6. 거부권이 합법인지 아닌지 논란이 있는 경우에는 (가)번의 경우처럼 처리하면 됨


(라) 일반적으로 거부권 없이 통과한 경우 의장이 선언하기 전에도 관련 기관이 통과되었음을 확인하여 공고한 뒤 시행할 수는 있으나, 원칙적으로는 의장의 통과선언 이후에 시행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마) 결론 즉 법안이 애매한 상황에 놓여있다고 해당 기관이 판단할 때, 새로운 안이던 이전의 법안이던, 거부권이 적법한지, 아니면 논란중에 있는지만 확인한뒤, 절차에 따라 해당 기관이 이 기간동안 무엇을 집행할지를 결정한 후 공고하면 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