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GROUP

MINJONG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6월 21일 (일) 16:28 판
PF GROUP
CEO MINJONG
창업일(UVN기준) 2020.02.01
창업일(설정상) 1985.09.02


역사

1980년 트럭한대를 가지고 MINJONG은 운송 사업에 뛰어든다 저유가 시대를 맞이하여 운송이 빠르게 커지면서 7년만인 1987년 세계적인 운송사가 되는것으로 회사 모토를 정하고 선박을 도입하여 PFShipping 설립과 비슷한 무렵 긴급화물용 헬기로 PF Airways가 설립된다. 해운과 항공사업을 확장시키다가 비행기 구매 옵션으로 받은 토잉카로 PFGround가 설립되는데 그 직후 세계 경제위기가 찾아와서 자본이 유출되고 이로 인해 회사가 흔들리면서 항공정비부분에서 사업철수를 하기로 결정했었다. 2000년대가 되어서 MINJONG회장은 운송에서 끝내는게 아닌 관광으로 연계해야한다고 말한다. 이로써 기내에서의 경험이라는걸 강조하며 기내식제공과 기내 어매니티 등 여러가지에 집중하고 이때 항공정비부분에 다시 재진출하여 자체 항공기정비를 시작한다. 관광사업에 집중하게 된건 원래 2005년에 시작하려 했다가 준비가 부족해 미루게됬는데 2008년 브라더스사태로 2010년쯤이 되었다. 운송으로 쌓은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관광버스, 관광택시로 시작하게되었다.

계열사

PF AIRWAYS

PFAIRWAYS.png
PF AIRWAYS
분류 MCC (middle cost carrier)
사업종류 PAX&CARGO (여객&화물)
주력기종 A321NEO, A350-900
운영노선
  1. PF AIRWAYS/노선망
콜사인부호 PEACE (여객편) & FREE (화물편)
IATA PF (해외지사별코드 추후추가)
ICAO PFA (해외지사별코드 추후추가)
BCC P4
항공권식별번호 902
자회사 PF GROUND, PF AVIATION TECH

PF AIRWAYS CARGO

PF항공의 화물운송용 브랜드(사실 이게 먼저 생겼다) 현재로썬 여객비중이 화물비중을 역전해버렸고 여객기에도 화물은 실을 수 있어서 화물기의 비중도 같이 줄어들었다. 허나 PF항공화물의 누적물류량이 엄청나다는걸 깐깐하고 체계적인 규칙으로 보유준다. PF의 규정이 국제항공연맹에서 권고한 위험물 관리체계에 영향을 주었다고도 한다.

상품 및 화물 위탁 규정

1. General CARGO (일반화물) 특수화물도 아닌 긴급화물도 아닌경우 또한 계약에 의해 지속적으로 운송을 할 경우

2. Express&Heavy (긴급화물) EXPRESS: 화물 운송요청으로부터 24시간 이내 운송이 필요시 제공하는 서비스, 일반보다 가격이 높지만 가장 빠른 우선순위를 제공 HEAVY: 긴급화물 중 무게가 나가는 경우, 48시간 내에 운송이 가능

3. 특수 화물 운송서비스

위험물 운송 서비스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 위험하여 특수한 처리가 필요시(예, 페인트(발화성), 드라이아이스, 방사능 물질 등등), 해당 서비스는 여객기에는 물건을 탑재하지 않음

신선화물 운송 서비스 온도유지가 필요시 (예, 아이스크림, 육류 등등), 냉장/냉동이 필요시 (예, 꽃, 과일 등등), 상온유지가 필요시 (예, 채소,일부 해산물 등등), 해당서비스는 상품을 온도조절컨테이너에 보관하고 공항에 마련된 온도유지 시설에 보관되며 화물의 우선적처리도 이루어짐

귀중품 운송 서비스 고가의 물품에 적용(귀금속이거나 예술품 혹은 의료장비), 도난 방지 컨테이너를 이용, 귀중품전용운송창고를 사용할수 있고 귀중품화물전용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 소형귀중품일시 조종석에 조종사 관할에 배송함

생명체 운송 서비스 돼지(분료냄새), 뱀(혐오감)은 괄호내 사유로 여객기 운송불가(같은 사유에 해당될수 있는 생명체도) 생명체 운송 규정 1. 설치류: 쥐,햄스터 등등 2. 기본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모든 동물 3. 멸종위기종 4. 케이지의 6면중 철창으로 5면이상 이루어진 경우 5. 동물이 탈출하지 못하게 하는 하드케이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차량류 운송 서비스 대상 바퀴가 달린 모든것(자전거.오토바이,자동차)

의약품 운송 서비스 온도유지가 필요시(예, 혈액), 저온상태필요시 (예, 인슐린), 자체 냉매가 필요시, 온도조절 창고보관 컨테이너 이용이 이루어지며 일반화물보다 우선권 제공

자회사 PF GROUND

지상조업 전문회사이다. 기내식 제공, 항공화물 지상운송 등등을 담당한다

자회사 PF AVIATION TECH

항공기 정비,도색 전문회사이다. MRO(항공 중정비)를 진행할수 있을정도로 중요회사이다.

PF SHIPPINGS

PF SHIPPINGS
업종명 외항화물운송업, 내항화물운송업
자매사 PF WATERWAYS

PF계열사 중엔 2개의 해상운송을 담당하는 회사가 있는데 이중 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운영되는 회사이다. PF SHIPPINGS는 화물해상운송을 담당하며 현재 벌크선사업부, 컨테이너선 사업부, 유조선사업부, 가스선사업부, 자동차운반선사업부, 항만 운영사업부, 창고물류관리부 7개로 나뉘어 있다. 특히 컨테이너선 사업부는 이중 가장 크고 많은 화물을 컨트롤한다.


PF WATERWAYS

PFWATERWAYS.png
PF SHIPPINGS
업종명 외항여객운송업, 내항여객운송업
자매사 PF SHIPPINGS

PF계열사 중엔 2개의 해상운송을 담당하는 회사가 있는데 이중 더 짧은 역사를 가지고 운영되는 회사이다. PF WATERWAYS는 여객해상운송을 담당하며 현재 크루즈사업부, 페리사업부, 항만터미널 관리부 3개부서로 나뉘어 운영된다.

PF LOGISTICS

PFLOGISTIC.png

PF사의 병크중 하나, 철도회사까지 분업한 상황에서 처음부터 있던 택배회사가 아직도 분리 안하고 통합물류기업으로 처리되어있다. 웬만하면 PF택배라는 이름으로 분리하려 했지만 아직도 안됬다.(허나 택배차량엔 PF택배,PF TRANSPORT라고 적혀있다) 사실상 분리하지 못한 가장 큰 이유는 택배규모가 상당히 크다. P2P(개인간 운송), B2P(기업에서 개인으로), B2B(기업간) 3가지를 모두 하고 있고 우스개 소리로 전세계에 있는 모든 물류창고를 모으면 이름모를 섬나라 하나쯤 크기는 된다고 전해진다. 또한 해운과 항공, 철도까지 모두 연계시켜주는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역사에 비해(1985년 정식개업) 병크가 많다고 전해지는데 위에서 서술한 것 말고도 의류전용화물터미널이 존재한다. 그 외에도 전용,전문 타이틀을 달고 있는 터미널이 몇개 있다. 전용,전문 터미널 덕분인지 몇가지 품목은 해외배송시 PF의 계열사로만 배송이 올수도 있다. 배송속도는 매우 빠르다 자체항공망과 해운망을 가지고 있으니 어쩔수 없는 결과이기도 하다.(관련 일화로 호주에서 뉴질랜드로 가는 화물이 당일배송된적이 있다.) 또한 통합 배송추적시스템을 구축하여서 택배의 위치를 너무 세세히 알려준다.('태평양위-현재 해상이동중'이라고 뜬다.)


PF HOTEL

운송업이 아닌 부분에 대한 첫번째 계열사이자 고급호텔과 일반호텔의 중간에 있는 애매한 포지션이다. 물론 이 포지션으로 성공한 PF AIRWAYS 처럼 서로 많은 부분 유사하다. 호텔의 프로모션이 다양한 편으로써 항공,해운 이용객대상 할인과 관광택시 이용고객등 다양한 할인이 있고 외부 기업과의 협업도 언제나 받을 준비가 되어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