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리치아-로도메리아 공화국/군사설정

소련과 전쟁을 치르고 나서 독자적으로 공산화된 국가라는 특이성 때문에, 소련 무기와 미국 무기 둘 모두 사용하기 힘든 딜레마를 겪어, 대부분의 무기를 제3세계에서 수입했다.
특히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인해 남아공에 미국의 제재가 가해질 당시, 남아공 무기를 수입하여 미국의 제재를 방해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현재 남녀 상관없이 12개월 징병제를 시행 중이며, 군 내 가혹행위는 존재는 하나 심하지 않은 편이다.

육군 편제 종류

보병사단
지원연대 (공병, 통신, 야전병원, 대공)
제1연대 (보병대대*2, 포병대대)
제2연대 (보병대대*2, 포병대대)
예비연대 (보병대대*3)
총 9600명

기갑사단
지원연대 (차량화수색, 병참, 정비, 통신, 대공)
제1연대 (기갑대대*2, 기계화대대*2)
제2연대 (기갑대대*2, 기계화대대*2)
예비연대 (기계화대대*2)
총 11500명

보병사단 4개, 기갑사단 1개로 총 40700명의 육군 상비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1500명의 공군 상비군과 합쳐 42200명의 상비군을 완성한다.

다음은 사용하는 장비이다.[1]

소화기류

권총: 벡터 SP1 (남아공제)
기관단총: 밀코르 BXP (남아공제)
돌격소총: CR-21 (남아공제)
저격소총: Bor (국산)
기관총: UKM-2000 (국산)
총류탄: Pallad 유탄발사기

기갑장비류[2]

전차: 알-칼리드 1 (파키스탄산) 200대
보병전투장갑차: 라텔 (남아공산) 120대
병력수송장갑차: 알 탈라 (파키스탄산) 200대

화포류

견인포: G7 (남아공산) 1152문
대공포: 보포스 40mm (시라비시카산) 180문

항공기

전투기: 아틀라스 치타 (남아공산) 25기
공격기: HESA 아자라크쉬 (이란산) 10기
훈련기: PZL I-22 (국산) 5기

각주

  1. 임시적인 설정이며, 해당 무기의 판권을 보유한 국가의 요구 시 교체 가능
  2. 이하의 장비는 보유수량을 기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