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연방 공화국 (아세안세계관)

Gmt2948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2월 18일 (금) 13:03 판
ပြည်ထောင်စု သမ္မတ မြန်မာနိုင်ငံတော်
미얀마연방공화국
9640b0e4da2630f41d8371f99bab881a44b047d0732dbae7f5734b4ddc022646dde5bbf1c58cbe34ff5767674594953bc49bec67fcad7c2e0d25d2d62e80ac409cc7ea1e760b2e91dfb2fa5ec58f8f0718c52a05a60d291b4b4b4c680f3449fc (2).png 100px
국기 국장
표어자유와 질서
300px
수도 네피도 특별시
최대 도시양곤시
정치
집권여당그란민주당
대통령윈민
국가고문아웅산수지
 
지리
면적676,578 km² (40위)
시간대CET (UTC+1)
인문
공용어미얀마어
인구
2020년 어림(54,527,113명)
경제
 • 전체707억1590만 (세계72위)
통화 ([[ISO 4217 |MMK]])
기타
도메인.mm

미얀마연방공화국(미얀마어: ပြည်ထောင်စု သမ္မတ မြန်မာနိုင်ငံတော်‌ )은 동남아시아 대륙에 있는 공화국이다. 남쪽으로는 태국이, 동쪽으로는 라오스가 있으며, 북쪽으로는 중국가 있다. 수도는 네피도특별시이며, 국기는 미얀마연방공화국국기, 국가는 세상이 끝날 때까지, 공용어는 미얀마어이다.

상징

국호

미얀마연방공화국 헌법에 따라 공식 국호는 미얀마 연방 공화국이며, 미얀마어으로는 ပြည်ထောင်စု သမ္မတ မြန်မာနိုင်ငံတော်‌라 한다. 통상적으로 국내에서는 '미얀마연방'과 '미얀마연방공화국'을 병용한다

국기

국가

국화

국장

역사

자연환경

영토

지형

생태

자원

인문환경

인구

언어

종교

교통

행정구역

미얀마연방공화국의 전 지역은 7개의 관구와 7개의 주로 구성 되어 있다

정치

정당

행정

국제관계

경제

GDP대비 공공부채 비율 44.32%
실업률1.71%
독립 이래 60여년간 이어지던 독재와 쇄국정책 등으로 인해 유엔 공인 최빈국으로 악명을 떨쳤으나, 민주화로 진입하면서 많은 성장 가능성을 가진 국가로 주목받고 있다. 미얀마는 천연자원에 상당히 의지하는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다. 다량의 천연가스가 수출품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농산물이 그 다음을 차지한다. 하지만 나머지 산업이 전무한 것은 아니어서 건설재료와 의류 산업, 어업 등이 존재하고 빈공간을 채우고 있다. 미얀마는 주요 산업이 농업이지만 2001년 기준으로 경작지의 14.8%만을 농지로 이용하고 있다. 의외로 2016년 기준 최대의 대두 생산국이다.

미얀마는 1988년부터 경제개혁을 시작하였으며 이후 10%~7%대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성장률이 급격히 높아진 것은 천연가스 개발이 주요 원인이다. 천연가스는 지금도 미얀마 경제의 핵심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과 인도는 미얀마의 천연자원을 자국이 독점할 수 있도록 여러가지 지원과 조치를 취하는 중이다

수출구조

석유관련산업43%
농업17%
건설자재8.1%

사회

교육

문화

군사

단위

법정 연호

시간대

관련 문서

같이 보기

각주

둘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