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태국 문학은 태국어를 통해 태국의 사상과 감정, 정서 등 가치 있는 경험을 토대로 형상화한 문학을 일컫는다. 태국 문학사의 구분은 크게 고전 문학 계열과 근대 문학 계열, 그리고 현대 문학 계열, 이 세 가지로 구분한다.
갈래의 구분
문학계에서 갈래의 구분에 대한 방법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과 해석이 존재한다. 기존에는 서양의 3구분법(서정, 서사, 극)이 사용되었으나, 태국 문학과는 실질적으로 거리가 먼 구분법이었기에, 그 대체로 현재 널리 인정하고 있는 구분법은 『시암문학사』의 3구분법을 따른다. '3구분법'의 핵심은 개인의 '의식'과 '사회'의 관계를 토대로 구분하는 것이며, 현재 교육 과정 및 문학사 교육에서도 통용되고 있다. '3구분법'에서는 개인의 '의식'이 '사회'의 개입 없이 개인의 사상, 감정, 정서 등을 표현하는 문학 갈래를 '서정'이라고 본다. 개인의 '의식'이 '사회'에 개입함으로 개인의 경험을 사회에 통용시키려는 것, 즉 의식의 사회화를 '교술'이라고 본다. 한편 개인의 '의식'과 '사회'가 상호 대립하는 구도를 가진 것을 '서사'라고 구분지었다.
위 갈래의 하위 장르는 다음과 같다.
- 서정 : 시, 고전시
- 교술 : 찬시, 선시, 수필
- 서사 : 소설, 희곡
현대 문학 계열
시대 구분 논쟁
태국 문학계에서는 근대 문학과 현대 문학을 시대적으로 구분하고자 다양한 구분법을 제시하였으나,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시대적인 구분으로 최초의 입헌군주제가 시행된 1920년대를 기준점으로 삼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