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연방 공화국 ပြည်ထောင်စု သမ္မတ မြန်မာနိုင်ငံတော် Pyidaunzu Thanmăda Myăma Nainngandaw Republic of the Union of Myanmar | |||||
[[파일:|국기_그림= 9640b0e4da2630f41d8371f99bab881a44b047d0732dbae7f5734b4ddc022646dde5bbf1c58cbe34ff5767674594953bc49bec67fcad7c2e0d25d2d62e80ac409cc7ea1e760b2e91dfb2fa5ec58f8f0718c52a05a60d291b4b4b4c680f3449fc_(2).png.svg|width=65%]] | |||||
국기 | 국장 | ||||
국가 정보 | |||||
면적 | 676,578 / 세계 40위 | ||||
인구 | 54,706,358명(2021년) | 세계 27위 | ||||
수도 | 네피도 2006년까지는 양곤 | ||||
최대 도시 | 양곤 | ||||
접경국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방글라데시, 파일:인도 국기.svg인도, | ||||
정치 체제 | 연방제, 대통령제(간접 선출) 군정SAC|의회민주주의CRPH | ||||
민주주의 지수 | 167개국 중 135위 3.04점 출처: 이코노미스트(2019년 조사한 문서). 2020년. | ||||
대통령 | 윈 민 2021년 미얀마 쿠데타로 인해 현재 구금 중이나 CPRH는 2023년 3월까지 직무를 수행한다고 보고 있다. | ||||
부통령 | 민 슈웨대통령 권한대행 CRPH는 2021년 3월 17일부로 쿠데타 가담자를 파면했다. 두와 라시 라 CRPH는 자체적으로 임명하면서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하기 전까지 그 직무를 대행한다고 선언했다. | ||||
국무총리 현행 미얀마 헌법에는 존재하지 않으나 CRPH가 헌법의 폐지를 선언하며 만든 임시 헌장으로 인해 신설되었다. | 만 윈 까잉 탄 쿠데타 발발 전 민족회의(상원) 의장 | ||||
최고사령관 | 민 아웅 흘라잉국가행정위원회 의장 | ||||
국가고문 | 아웅 산 수 치 현재 구금 중이나 CRPH는 2026년까지 직무를 수행한다고 보고 있다. | ||||
GDP | $707억(2018년) / 세계 72위 | ||||
GDP PPP | $3,348억(2017년) / 세계 53위 | ||||
1인당 GDP | $1,338(2018년) / 세계 156위 | ||||
1인당 GDP PPP | $6,139(2017년) / 세계 126위 | ||||
국부 | $1,800억 / 세계 72위(2020년) | ||||
통화 | 짯(ကျပ်, K) | ||||
공용어 | 미얀마어 | ||||
종교 | 불교 87.9%, 기독교 6.2%, 이슬람교 4.3% 등 월드 | ||||
민족 구성 | 버마족 68%, 샨족 9%, 카렌족 7%, 라카인족 4%, 몬족 2%, 기타 10% | ||||
HDI | 0.556(2015) | ||||
국제 전화 | +95 | ||||
도메인 | .mm | ||||
무비자 입국 | 한국인→미얀마: 30일 미얀마인→한국: 비자필요 | ||||
주한 대사관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대로28길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