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김홍장 (재선) | |||
시의회 | {{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6석 | ||
{{틀:국민의힘/행정구역}} 6석 | |||
{{틀:무소속/행정구역}} 1석 | |||
도의원 | {{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2석 | ||
국회의원 | {{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어기구 (재선) | ||
상징 | 시화 | 진달래 | |
시목 | 소나무 | ||
시조 | 학 | ||
마스코트 | width=60% 당학이 | ||
브랜드 | width=100% | ||
지역전화 | 041 041-350~363 | ||
홈페이지 | [1] | ||
SNS | [[파일:페이스북 [[파일:트위터 [[파일:네이버 |
width=100% | |
솔뫼성지(우강면) | |
width=100% | |
현대제철 | |
width=100% | |
당진시청 사진 | |
충청남도 당진시 시청1로 1 (수청동) 이 사진만 보면 괜찮은데 실제로는 시청 정면에 떡하니 큼지막한 무인모텔이 자리잡아서 시청을 가리고 있다. 개인 사유지이고 요건을 갖춘 이상 허가를 안내줄 수가 없다고 하긴 하는데 매우 볼썽사나울 뿐. 그 |
개요
충청남도 내포지방에 위치한 시. 시의 이름은 과거 신라 시대에 당나라와 교역하던 항구였던 데서 유래했다. 일본 큐슈 지방 사가현에도 똑같은 한자의 '카라츠시(唐津)'이라는 이름을 가진 항구도시가 있다. 또한 윗동네에도 같은 이유로 지어진 지명이 있었는데, 현재의 화성시 남양읍을 중심으로 한 옛 행정구역인 남양군의 옛 이름 '당항(唐項, '당나라로 가는 길목')'. 간척사업을 통해 지금 이 순간에도 조금씩 늘려가고 있다. 참조된 구글지도 상의 옛 당진시 영역과 실제 관측되는 육지면적을 비교하면 옛날에 비해 얼마나 간척사업이 이루어졌는지 대략 짐작 가능하다. 허나 해역은 윗 동네인 평택에게 상당 부분 잠식되어 있다는 사실. 동쪽으로 경기도 평택시 서해안고속도로로 연결, 동남방향으로 아산시, 예산군, 서쪽으로 서산시, 남쪽으로 홍성군, 북쪽으로 경기도 화성시 장고항-국화도 여객선으로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국화리와 연결와 접한다.
2012년 시 승격 이후에도 꾸준히 인구가 늘어나던 중 관련 사업체들의 부진으로 현재는 인구 증가세가 정체기를 맞고 있는 상황이다.
역사
파일:당진군 CI(2000-2012).svg 당진군 시절의 로고
백제 혜군(槥郡)이었고 신라 경덕왕 때 혜성군(槥城郡, 면천면) 휘하 속현으로 당진현(唐津縣, 옛 당진읍, 동지역), 신평현(新平縣, 신평면), 여읍현(餘邑縣, 서산시 운산면) 셋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