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dth=100% | |
노선 번호 | |
12번 | |
기점 | |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무안공항IC | |
종점 | |
광주광역시 광산구 운수동 운수IC | |
연장 | |
41.35km | |
개통 | |
2007. 11. 8. | 무안공항 - 나주 |
2008. 5. 28. | 나주 - 운수 단 서광산IC 제외 |
2009. 9. 29. | 서광산 |
관리 | |
width=200 | |
왕복 차로 수 | |
4차로 | 전구간 |
구조 | |
나들목 7개소 무안공항IC, 북무안IC, 동함평IC, 문평IC, 나주IC, 서광산IC, 운수IC, 분기점 1개소 함평분기점(서해안고속도로) 터널 9개소 보평터널, 함평나비터널, 문평1~5터널, 노안터널, 어등산호남대터널 최장터널: 어등산호남대터널(양방향 1,486m) 터널을 워낙 신나게 뚫어대서 터널 구경하다가 고속도로가 끝이 날 정도., 휴게소 2개소 상행선 1개소, 하행선 1개소(함평나비휴게소) | |
주요 경유지 | |
무안 ↔ 나주 ↔ 광주 |
[clearfix]
개요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국제공항과 광주광역시를 잇는 고속도로. 노선번호는 12번.
역사
- 2002년 12월 5일 : 88올림픽고속도로 연장 지정
- 2002년 12월 : 1~4공구 착공
- 2005년 : 5공구 구간 노선 변경 및 착공
- 2007년 11월 9일 : 무안공항IC ~ 나주IC 구간 개통#
- 2008년 1월 3일 : 전 구간 88올림픽고속도로에서 분할 및 무안광주고속도로로 지정
- 2008년 5월 28일 : 서광산IC를 제외한 잔여구간 나주IC ~ 운수IC 구간 개통#
- 2009년 9월 29일 : 서광산IC 개통
88올림픽고속도로 시절의 광주대구고속도로와 달리 전 구간 왕복 4차로이다. 최근에 지어진 고속도로답게 도로 선형도 상당히 좋다. 노선번호는 12번으로 광주대구고속도로와 같지만 직접 연결되는 것은 아니고, 광주 시내의 고속화도로를 중간에 경유하여야 한다. 하지만 처음 고속도로 노선명이 정해질 당시 구 88올림픽고속도로의 일부분으로 지정되었던 과거가 있다. 이 부분은 2008년 1월 대통령령에 의해 노선명이 분리되었다.
역할
교통량이 많은 광주광역시 - 목포시 구간 1번 국도의 교통량을 분산시키고, 무안국제공항의 연결성을 증대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하지만 개항 초기부터 2018년 초까지 무안국제공항은 안습 그 자체였지만, 앞으로의 기대를 기다려보자... 물론 아직은 운항스케줄이 띄엄띄엄 있기 때문에 무안공항 나들목 - 북무안 나들목까지는 아우토반 그 자체다.
사실 이 고속도로 개통으로 가장 이익을 얻은 지역은 무안국제공항보다 목포시와 무안군, 함평군이다. 전남 서부지역을 지나는 서해안고속도로는 개통 초기만 해도 호남 내에서 서로 연결되는 고속도로가 없어 존재감이 적었다. 그런데 고창담양고속도로 개통으로 접근성이 점점 좋아지더니 이 고속도로 개통으로 전남 서남부권 목포시, 무안군, 함평군, 해남군 일부지역(산이, 화원, 문내), 영암군(삼호), 진도군 - 광주광역시 간 접근성이 크게 상승하는데 큰 공로를 했다. 덕분에 광주 ↔️ 목포 시외버스는 무진대로 - 무안광주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경로로 날아다닌다. 참고로 함평 분기점에서 서해안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덕분에 교통량은 함평 분기점 - 운수 나들목에 사실상 몰빵 되어 있는 상태고, 북무안 나들목까지는 매우 소수의 차들만 지나다니며 이후 공항까지는 광활한 아우토반이 된다(...)
특징
광주공항과 무안국제공항 연결 떡밥?
파일:Attachment/1297673798 12 MK 002.jpg
이처럼 고속도로 계획 당시 공항더비 광주공항과 무안국제공항을 잇는 시도도 있었던 모양이나..기사
파일:Attachment/1297673798 12 MK 001.jpg
나주 나들목을 지난 후에 선형이 급격히 틀어져 광주공항으로 직결되지 않는다. 여길 직선으로 만들어서 광주송정역이나 광주공항 근처에 고속도로 종점 및 나들목을 설치했다가는 헬게이트를 소환할 여지가 다분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조치인 듯. (애써 소환하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이, 이 동네는 평동산단 진입도로 완전 개통 전까지만 해도 호남에서 손꼽히는 상습정체구역이었다. 지금은 그나마 많이 나아진 상태일 것 같지만 무진대로 교통량이 폭증하면서 헬게이트는 여전하다.)
광주공항과 무안국제공항이 서로 으르렁거리는 지금을 생각해보면, 얘네들 직통 연결하지 않은 게 다행일지도.
상술했듯이 이 고속도로로 가장 이득을 많이 본 사람들은 바로 목포시, 무안군, 함평군 사람들이다. 보다시피 목포가 기점인 현재 정확히는 무안군이 기점인 상태다. 서해안고속도로는 광주를 지나지 않아서 의외로 도내에서 찐따 취급받는데, 무안광주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2개의 고속도로를 이용해 목포에서 광주로 가는 직행 루트가 뚫렸다. 금호고속 시외버스를 타도 50분 내외로 (심지어 40분 만에 터미널까지 찍는 경우도 있다.) 짧은 시간 안에 도달 가능하며, 자가용으로는 많이 밟으면 30분도 안 걸려 목포 - 광주에 발도장을 찍을 수 있다. 무안국제공항 방면으로 함평 분기점에서 거의 모든 차들이 목포 방면으로 우르르 빠진다. 이후 구간은 아우토반이나 다름없다. 몇 안 되는 차량도 북무안 나들목에서 나가면 정말로 무서울 정도... 함평은 기존 40분에서 15~20분이면 광주여대 부근까지 올 수 있을 정도. 무안은 함평에서 5~10분 정도 더 걸린다.
광주대구고속도로 미연결
같은 노선번호를 공유하는 광주대구고속도로와 이어지지 못하고 끊겨 있다. 나중에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가 개통된다면 광주대구고속도로와 연결되는데, 광주외곽순환고속도로의 3구간인 진원~대덕 구간은 고창담양고속도로와 중첩될 예정이다. 그리고 해당 구간 내에 광주대구고속도로와 분기하는 담양 분기점이 있으므로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두 고속도로를 오가는 방법은 서→동 기준으로 운수 나들목에서 직결되는 무진대로로 진행한 다음 유덕 나들목에서 광주제2순환도로로 진입, 산월 나들목에서 호남고속도로 순천 방향으로 진입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무진대로를 계속 이용하여 버들교 하부 계수교차로에서 빛고을대로 진입 후 동림 나들목에서 호남고속도로 순천방향으로 진입하여 쭉 진행하다가 고서 분기점에서 진출하면 된다.
어등산터널? 호남대터널?
동광산요금소와 운수 나들목 사이에 있는 터널에 대하여 개통이래 몇 년간 이름 없는 터널로 있었던 때가 있었다. 광산구가 주장한대로 원래대로 하면 산 이름이나 그 주위의 지명을 따서 붙여서 어등산터널로 지정하는 것이 맞는데, 호남대학교가 자기 땅을 지나간다는 이유로 호남대터널로 명칭을 지정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 고속도로 때문에 호남대학교 캠퍼스가 반토막났다. 지도를 보면 알 수 있다. 학교명을 터널 이름으로 지정한 사례가 없었기 때문에 더욱 논란이 많았는데 광주에서 바로 예를 찾을 수 있다. 광주제2순환도로 지산터널이 바로 그것인데, 이 터널이 조선대 일부를 거치는데 조선대터널이라고 하지 않는다, 수많은 논란 끝에 결국 2011년 8월 어등산-호남대 터널(Eodeungsan(Mt.)-Honam Univ. Tunnel)이라는 명칭으로 확정되었다. 요즘은 이름 나란히 붙이기가 유행인가보다
구간
무안군 - 함평군 - 나주시 - 광주광역시를 연결한다.
소재지 | 번호 | 이름 | 접속 노선 | 비고 | |
전남 | 무안군 | 1 | 무안공항IC | {{틀:노선번호/국도| n=77}} | |
2 | 북무안IC | {{틀:노선번호/지방도| n=60}} | |||
TG | 무안공항TG | ||||
함평군 | 3 | 함평JC | height=25 | ||
SA | 함평나비 | 양방향 | |||
4 | 동함평IC | {{틀:노선번호/국도| n=24}} | |||
나주시 | 5 | 문평IC | {{틀:노선번호/지방도| n=825}} | ||
6 | 나주IC | {{틀:노선번호/지방도| n=831}} | |||
광주광역시 | 광산구 | 7 | 서광산IC | {{틀:노선번호/지방도| n=49}} | |
TG | 동광산TG | ||||
8 | 운수IC | height=20 |
교통량
운수 나들목 - 함평 분기점 구간을 주행해보면 광주 - 목포간 교통량이 상당하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주로 출퇴근 시간대와 주말 교통량이 많다. 특히 금요일 저녁 등 퇴근 시간에는 전남 서부권에서 광주로 들어오는 차량들로 인해, 광주 방향으로 지ㆍ정체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주로 동광산 요금소 - 운수 나들목 구간 여기는 무진대로와 직결되는 특성으로 인해 무진대로 정체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는다.이 상습 지정체 구간이며, 정체 구간이 길면 서광산 나들목까지 이어진다.
토요일과 공휴일에는 나들이 차량까지 겹쳐 오전부터 이른 오후까지 무안공항 방향은 운수 나들목부터 동광산 요금소까지 상습 정체가 발생되고 있다. 역시 반대로 오후부터 저녁때는 광주 방향으로 정체가 발생한다. 전반적으로 일요일보다 토요일 교통량이 더 많은 편이며, 본선 일부 구간에서도 갑자기 속도 저하가 발생하는 구간이 꽤 있어 주의해야 한다. 일요일에는 주말을 마치고 광주를 빠져나가는 차량들로 인해 공항 방면 교통량이 많은 편이다.
그러다가 명절과 함평나비축제 기간이 된다? 평소 주말보다 정체 구간이 훨씬 길어지게 된다. 헬게이트
여담으로 엄청난 광주 방향 교통량으로 인해 서해안고속도로에서 정체가 발생할 정도다. 함평 분기점 ~ 무안 나들목 구간에서 정체가 꽤 잦은데, 이 역시 함평 분기점 광주 방향 진입 차량들로 인한 정체…
주말 교통상황 | |
width=100% | width=100% |
서광산 구간 | 문평 구간 |
우회도로
그런거 없다. 원래부터 본 목적이 무안국제공항과 광주광역시를 잇는 최단 경로고, 개통 후에는 서해안고속도로 경유해서 목포시와 광주광역시를 빠르게 연결해주는 역할로 더 절찬리에 쓰이고 있다. 원래 목포, 함평, 무안을 가려면 1번 국도를 이용했다. 고속도로를 이용하지 않으면 1번 국도로 나주, 함평, 무안을 거쳐 목포까지 이어진다. 이 구간 국도는 곳곳에 신호등이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참고로 광주에서 나주가는데 보통 1번 국도나 13번 국도를 이용하지 고속도로 이용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다만 광주와 전남 남부권을 오가는 금호고속 직통 노선들은 진월동을 경유하지 않고, 운수 나들목 - 서광산 나들목까지 고속도로를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