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영 사회주의 연방/정치

대영 사회주의 연방의 정치를 다루는 문서

총선

6년에 한 번씩 총선이 진행되며, 총선에서 승리한 당이 새 내각을 출범하게 된다. 총선에서 승리한 당의 당수가 국가 수상 및 평의회 의장이 된다. 대영연방은 사실상 양당제나 다름없기에 총선에서 승리하지 못한 당은 자연스레 제 1 야당이 된다.

섬네일을 만드는 중 오류 발생: 12.5 MP 이상의 파일 용량

삼권분립

입법, 사법, 행정의 삼권분립은 꽤 잘 이루어져 있는 편이다.

입법부는 국회(Parliament)로, 입법부의 수장은 국회의장이다. 타 국가의 입법부와 크게 다르지 않다.

행정부는 고등 평의회(High Council)와 그 아래 중앙행정위원회로 이루어져 있다. 평의회는 12명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지며, 행정부의 수반이다. 국가 수상이 평의회 의장을 겸하며, 제 1 야당의 대표는 평의회 부의장의 자리를 겸한다. 타 국가의 대통령, 총리 등이 행정부 수반으로써 가지는 권리는 모두 고등 평의회의 권리이다. 다만 예외적으로 군 통수권은 유사 시 신속한 대처를 위해 평의회 의장, 즉 국가 수상에게 있다. 물론 명목상으로는 군 통수권도 고등 평의회의 고유 권리이다. 1990년대 후반쯤에 이르러서 부터는 몇 가지 경우에 한해서 평의회 의장 단독으로 법률을 승인, 공포하거나 명령을 제정하는 등의 사례도 존재한다. 평의회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대영 사회주의 연방/고등 평의회 문서로.

사법부는 각 법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최고 법원(Supreme Court)의 수석 법관이 사법부의 수장이다. 대영연방의 사법부가 가지는 권리는 타 국가의 일반적인 사법부의 권리와 크게 다르지 않다.

정당

대영연방에는 두 개의 정당이 있다. 하나는 현 집권당이자 사회주의 혁명 이후로 계속 총선에서 우세했던 노동당이다. 다른 하나는 혁명공산당이다. ​

노동당은 혁명공산당에 비해서는 비교적 온건하고, 사회주의 혁명 이후 100년 가까운 시간이 지나면서 많이 희석되어 사회민주주의에 가까운 성격을 띄고 있다. 물론 강경한 사회주의자들도 꽤 존재한다. 노동당은 20세기 중후반~21세기에 들어서 경제 발전을 위해 자본주의적 요소도 일부분 도입하는 등의 행보를 보여주었다. 노동당의 현 당수이자 국가 수상은 보리스 존슨이다. 노동당에 대한 지지는 앞으로도 한동안은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혁명공산당은 노동당에 비하면 비교적 강경한 사회주의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선에서 승리한 경험이 몇 차례 되지 않는다. 전통적으로 웨일스 지역 일부와 아일랜드 전역에서 우세했으며, 요즘 들어서는 노동당의 강세에 밀려 비교적 위축되어 있는 모습이다. 현 혁명공산당의 당수는 키어 스타머이다.

지방자치

대영연방의 지방자치는 연방제 국가인 만큼 구성국들의 자치가 비교적 잘 보장되어 있다. 다만 사실 연방제 국가 치고는 중앙 정부, 즉 평의회의 권력이 상당히 강한 편이다. 다만 최근 약 20년~30년 동안은 평의회가 지방 자치를 상당한 수준 보장해 주고 있기에 실질적으로는 지방 자치가 잘 활성화 되어 있다.

연방의 구성국은 아래와 같다.
※괄호는 탈퇴한 구성국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캐나다)

-(키프로스)

-(북아프리카 자유국, 현 북아프리카 공화국)

-(뉴질랜드)

-(그 외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제외한 과거 대영제국의 지배 하에 있던 지역들 대다수)

여담

대영연방은 관습법의 나라이며, 성문헌법이 존재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