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어
家庭
주거를 기반으로 의식주 생활을 공유하는 생활 공동체, 혹은 공동 생활이 이루어지는 공간을 말하며 이 공동체의 구성원은 가족이라 불린다. 기본적으로는 사회 생활을 해 나감으로써 사회적인 문화를 습득하는 사회화의 시초가 되는 장소이자 정서적인 안정을 주는 마음의 안식처 역할을 한다. 과거에는 혈연관계로 이루어진 집단이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현재는 입양 가정이 늘어나고 가정에 대한 사고가 변함에 따라 혈연관계로 이루어지지 않은 집단도 포괄하는 개념이 되었는데, 대표적인 예시가 서로 초면인 사람끼리도 한 방에서 같이 거주하는 주거 형태인 공동주택이다.
家政
교과목 중의 하나. 초등학교에서는 실과라고 부르고, 예전 중고등학교에서는 가사(家事)라고도 불렸으며, 오늘날은 주로 기술·가정이라고 한다. 대학에서는 가사과, 가정학과, 가정대학을 거쳐 오늘날에는 주로 생활과학대학이라고 부른다.
假定
assumption.
발생하지 않은 사건을 임시로 인정하거나 어떠한 명제를 사실이라 추론하는 행위. 증명을 통해 이것의 참과 거짓을 판단할 수 있다.
수학에서 집합과 함께 다루는 명제와 관련해서는 두 조건 [math(p, q)]에 대하여 '[math(p)]이면 [math(q)]이다' 꼴의 문장에서의 [math(p)]'를 만족시키는 조건을 말할 때에도 쓰인다. 한편 이때 [math(q)]를 만족시키는건 결론이 되는셈.
경제학의 학문적 바탕이기도 하며, 개그 소재로도 이용된다. 경제학을 뜻하는 영단어 Economics의 어원은 참고로 위 1번 항목의 가정을 뜻하는 그리스어인 Oikos다.
苛政
가혹한 정치를 이르는 말. 관련 속담으로는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라는 뜻의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와 가혹하게 세이을 거두거나 백성의 재산을 억지로 빼앗는 것을 일컫는 말인 가렴주구(苛斂誅求) 등이 있다. 두 속담 모두 춘추시대 노나라 조정의 실세인 대부 계손자의 가혹한 정치에서 유래된 말로 공자와 연관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