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위주의 국가의 도시화와 여론

이곳은 정대성의 학술적 일기입니다. 학술적인 근거는 없습니다
정대성/노트로 돌아가기

가끔씩 중국 뿐만 아니라 어떤 나라의 중산층이라도, 자신의 체제에 깊은 일체감 또는 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반감을 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을려나 의구심이 듭니다. 예를 들자면, 한국의 중산층이 한국이라는 나라 자체를 부정하진 않지만, 한국 정부의 정책에 대해서는 반감을 가지는 것처럼 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도와, 월드컵같은 사안에서는 전 국민이 여론 주도층의 의견에 따라 분개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권위주의 연구의 경우에도 이러한 중산층의 방관자와 동조자가 뒤섞인, 애매한 성격이 권위주의 정권을 근본적으로 취약하게 만든다 이야기합니다.

그러니 중국 지식인의 여론을 이야기하는데 여론 주도층이 아닌 사전적 의미로서의 "지식인"이나, 통상적인 중도층의 여론을 이야기하는건 큰 의미가 없지 않나 생각을 합니다. 사실 우리나라만 봐도, 외교적 사안이나, 정치적 사안에 열내는 사람이 대졸자 열명을 랜덤으로 뽑아본다면 몇명이나 되겠습니까?

또한, 비정치적 도시화인구 뿐만이 아니라 비도시화 인구의 성향이 국가의 행동이나 고정관념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현저히 적은 것 같습니다.

어찌보면 "침묵하고 있는 비도시화 인구"의 정치적 성향을 읽을 수 없는 것은 개발도상국이나 권위주의 국가를 공부할때 겪는 딜레마라고 생각합니다. 마치 일본이나 선진국들이 1970-1990년대까지도 한국의 반일감정을 나이브하게만 생각하고 인식하지 못했듯이 말입니다. (그래서 한국에게 저자세로 나가면서 한국을 설득하려 하거나, 한국에게 우호적으로 지원하거나, 또는 한일 재수교시나 외교 부분에서 한국을 향해 망발을 하기도 한 것이죠)

이러한 권위주의 국가들의 특징이 베트남의 경우처럼 정부와 공기관들에 의해 여론이 조장되고 왜곡된다는 점인데 이는 도시화가 진행되고 중산층이 늘어나면서 여론의 변화를 통제할 수 없다는 점이죠 (오늘날 한국이 수면 위로 올라오는, 당이 통제할 수 없는 베트남의 강한 민족주의 감정을 이제서야 인식하는 것처럼요)

이런면에서 중국의 민간 여론주도층이 검열을 피해가지 못한다고 해서 그게 과연 그들의 "대표성"을 신뢰하지 말아야 하나로 귀결되어야 하나 싶습니다. 도시화 인구는(도농갈등등의 이익관계부분을 제외하면) 그 지역의 숨겨진 정치 성향을 수면 위로 올리는 효과가 있고, 오늘날 중국의 당이나, 민간엘리트는 이 도시화 인구의 다양한 요구들과 성향을 대표하고 관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중공당의 애국주의 강조 역시도, 당이 표면 위로 드러나는 중국의 민족주의 성향에 부응하고자 떠밀리는 경우가 있는 반면, 당이 이러한 트랜드를 따라 도시화 인구들의 성향을 이용하려 하는 부분도 있다고 봅니다.중국이 중산층, 도시화 인구를 통제 또는 이용하려 하면 할 수록, 중국 정부의 입장이 점점 적극적으로 도시화 인구의 여론을 대변하고 있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그렇게 되지 않았으면, 중국 체제는 가변적인 도시화인구의 중산층을 관리하며 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을까? 저는 아니라고 보는 것이죠

결론적으로, 중국에서 당의 의견에 종국적으로 반대는 못하겠지만, 중국이 정보화인구를 상대로 필터링을 한다고 해서, 일정 부분이상은 명분없는 필터링이 되지도 않을 것입니다. 더 나아가 관영매체나 일반 SNS들이 검열이 된다고 해서 그것이 여론을 주도하거나 대표하지 않는다고 말하기도 힘들지 않을까요?

당이 함구령을 내린 부분이나, 당의 결론에 반대하는 의견이 위챗등, 개인 대화 선에서 끝나는 부분도 있겠지만, 오늘 중국 정부와 오피니언 리더들의 관계가 "탑다운"만 존재하는 것인지는 의문점이 많이 들고, 이들이 중국의 도시화인구 중산층 내에서 (중산층의 가변성을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정치에 적극적인 여론 주도층"을 대표하고 있다는 점에는 거의 (내심) 확신하는 단계에 있습니다.그런면에서 저는 중국 정부의 대표성을 사안별로 일일히 따져봐야 하지 않나. 생각하고, 홍콩의 부분에서는 중국 오피니언 리더나, 중국 정부의 반응이 충분히 여론 주도층을 대표하고 있었다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