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개별적인 사례들로부터 일반적인 명제를 도출하는 논증 방법이다.
예시
사례 1. 1년전에 보았던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사례 2. 몇달전에 보았던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 . . 사례 n. 어제 보았던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결론: 까마귀는 검정색이다. |
귀납의 문제
데이비드 흄은 논증의 방법으로서의 귀납법이 오류를 지닌다고 하였다. 이에 따르면, 귀납법이 유효하기 위해서는 과거와 미래의 세계가 그 운동 원리 등에 있어 한결같음을 유지해야 하는데, 이러한 한결같음은 선험적으로 주어진 것이 아닌, 경험을 통해서만 그 참ㆍ거짓 여부를 알 수 있는 것이며, 그렇다면 한결같음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경험들을 개별 사례로 활용하는 귀납법이 존재하지 않을 수 없다. 즉, 귀납법의 유효함을 증명하는 방법은 궁극적으로 귀납법이므로, 순환 논증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외에 칼 포퍼는 귀납법이 어떤 명제의 개연성을 높여줄 수는 있지만 개별적인 사례들을 모두 조사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가능하므로, 귀납법은 어떤 명제의 참ㆍ거짓 여부를 궁극적으로 증명하지 못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는 반증주의를 주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