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 경제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3번째 줄: 13번째 줄:
 
==현대의 마르크스 경제학==
 
==현대의 마르크스 경제학==
  
현대의 마르크스 경제학은 흔한 오해와는 달리, 적지 않게 수학적인 도구들을 도입하였다. 대표적으로 산업 연관 분석에서 쓰이는 여러 행렬 등이 있다. 또한 케인즈 계열의 학파나 행동경제학 등의 여러 경제학파들이 등장하며, 마르크스 경제학은 주류경제학의 축으로 여겨지는 신고전학파와 오히려 여러 공통점[* 이성적 인간의 전제, 수학적 분석에서의 균형 체계의 전제 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확실해졌다.  
+
현대의 마르크스 경제학은 흔한 오해와는 달리, 적지 않게 수학적인 도구들을 도입[* 다만, 오히려 주류경제학의 수학적 도구들은 마르크스 경제학과 괴리가 있으므로 그것이 현대 마르크스 경제학의 논리적 한계로 되었다는 지적 또한 존재한다. ]하였다. 대표적으로 산업 연관 분석에서 쓰이는 여러 행렬 등이 있다. 또한 케인즈 계열의 학파나 행동경제학 등의 여러 경제학파들이 등장하며, 마르크스 경제학은 주류경제학의 축으로 여겨지는 신고전학파와 오히려 여러 공통점[* 이성적 인간의 전제, 수학적 분석에서의 균형 체계의 전제 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확실해졌다.  
  
 
현대의 마르크스 경제학은 흔히 몇가지 문제들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중 대표적인 것에는 소위 '전형 문제'가 있다. 전형 문제란, 가치 체계에서 생산가격 체계간의 괴리에 대하여, 전자에서 후자로 이행하는 매커니즘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음을 지적하며 가치 개념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한 견해에서 시작된 것이다.
 
현대의 마르크스 경제학은 흔히 몇가지 문제들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중 대표적인 것에는 소위 '전형 문제'가 있다. 전형 문제란, 가치 체계에서 생산가격 체계간의 괴리에 대하여, 전자에서 후자로 이행하는 매커니즘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음을 지적하며 가치 개념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한 견해에서 시작된 것이다.

2024년 3월 19일 (화) 13:42 판

개요

정치경제학이라고도 알려진 마르크스 경제학은 원론적으로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변증법과 이에 기초한 노동가치론을 기반으로 한 철저한 분석으로 자본제적 생산 양식의 내적 모순과 그것의 운동을 규명하려는 학문이다.

마르크스 생전의 마르크스 경제학

생전에 마르크스는 자본론을 중심으로 마르크스 경제학을 제시하였다. 마르크스는 대체로 이전의 고전학파에서 제안한 여러 개념들을 그의 개념들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그 작동 원리를 밝혔다. 이때 분석의 도구는 상품, 화폐, 자본에 관한 고찰을 기초로 얻어낸 그의 특유의 노동가치론과 잉여가치 개념이라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자본이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수행하는 노동일 연장,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잉여가치율ㆍ자본의 유기적 구성의 상승, 상대적 과잉 인구와의 상호작용, 회전 기간 단축, 잉여가치의 분할 등의 경향을 제시하는 동시에 이러한 경향이 이윤율의 경향적 저하, 부문간 불균형[1], 과소소비 및 과잉생산 등을 초래함으로써 내적 모순을 생성함을 밝혔다. 또한 마르크스는 이러한 내적 모순들의 누적은 자본제적 생산 양식에서 자연적인 것으로, 호황기에 주로 누적되며, 불황기에 이 내적 모순이 부분적으로 해소되는 동시에 내적 모순이 더 큰 규모로 재생산될 토대가 구축된다고 주장하였다.

마르크스 사망 이후 마르크스 경제학의 경향

마르크스 사망 이후 마르크스 경제학의 확장적인 논의는 자본제적 생산 양식의 내적 모순의 더 큰 규모의 재생산이 정확히 어떠한 것이고 그것이 일어나는 구체적인 매커니즘이 밝히려는 학자들과 불황 및 공황이 일어나는 요인 및 그 구체적인 매커니즘을 밝히고자 하는 학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전자의 대표적인 학설은 자본주의가 제국주의로 발전한다는 것으로, 블라디미르 레닌의 『제국주의: 자본주의의 최고 단계』[2][3]과 로자 룩셈부르크의 『자본축적론』[4][5]이 그중에서도 대표적이다. 후자의 경우에는 공황이 끝내 자본주의를 영구적으로 중지한다는 붕괴론과 다만 내적 모순이 커지는 한편으로 경제 내적으로는 호황과 불황ㆍ공황이 반복될뿐이라는 순환론으로 나뉘는 것에서 시작해, 불황ㆍ공황의 원인에 대해서는 이윤율의 저하 경향이 불황ㆍ공황의 원인이라는 이윤율 저하 경향설, 재생산 표식에 대한 해석을 통해 부문간 불균형이 불황ㆍ공황의 원인이라는 불비례설[6], 상대적 과잉 인구의 축적 및 생산의 무정부성 등으로 인한 과잉 생산 경향이 불황ㆍ공황의 원인이라는 과소소비설 등이 기존의 마르크스 경제학을 적절히 따른다고 평가받는 학설들로서 존재한다.

현대의 마르크스 경제학

현대의 마르크스 경제학은 흔한 오해와는 달리, 적지 않게 수학적인 도구들을 도입[7]하였다. 대표적으로 산업 연관 분석에서 쓰이는 여러 행렬 등이 있다. 또한 케인즈 계열의 학파나 행동경제학 등의 여러 경제학파들이 등장하며, 마르크스 경제학은 주류경제학의 축으로 여겨지는 신고전학파와 오히려 여러 공통점[8]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확실해졌다.

현대의 마르크스 경제학은 흔히 몇가지 문제들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그중 대표적인 것에는 소위 '전형 문제'가 있다. 전형 문제란, 가치 체계에서 생산가격 체계간의 괴리에 대하여, 전자에서 후자로 이행하는 매커니즘이 명확히 제시되지 않았음을 지적하며 가치 개념의 필요성에 의문을 제기한 견해에서 시작된 것이다.

  1. 다만, 이는 재생산 표식으로부터 비롯된 것인데, 그 해석에 있어 상당한 견해 차이가 있다. 본래 재생산 표식은 마르크스가 자본제적 생산 양식의 균형 상태를 밝히기 위해 이상적인 자본제적 생산 양식을 가정하고 작성한 것인데, 후대(대표적으로 힐퍼딩, 룩셈부르크 등)에서 이 가정들이 비현실적이라 하여 현실적으로 변형해 부문간 불균형이 초래되지 않을 수 없다고 주장하게 되었다. 현재에는 이러한 변형이 적절하다는 견해와 그렇지 않다는 견해가 대립하고 있다.
  2. 힐퍼딩이 제안한 금융자본(독점적 산업자본과 독점적 은행자본이 유착된 것)을 중심으로 자본주의가 제국주의로 발전한 것을 서술한 서적이다. 여기서 선진적인 제국주의 국가에서는 다량의 잉여가치의 유입으로 인해 자본의 풀림이 일어나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핵심 세력을 매수하므로 혁명의 첫번째 목표물로 적절하지 않게 되었다는 것은 러시아 혁명을 정당화하는 논리들 중 하나가 되었다.
  3. 다만, 독점자본의 형성 및 금융자본을 중심으로 자본주의가 제국주의로 발전하는 과정을 설명하는데에 있어, 당시의 독일 제국이라는 특수한 대상을 모델로 분석하였기에 한계가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4. 마르크스가 자본론 2권에서 제시한 확대재생산 표식에서 문제점을 찾았다고 주장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표식의 조건을 변형한 뒤 연구한 서적이다. 결론적으로, 자본주의 국가들은 마르크스의 재생산 표식과는 다르게 부문간 불균형 상태에 빠져들게 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비자본주의적 영역으로 진출하는 제국주의 체제를 밟지 않을 수 없게 된다는 것이 대표적인 주장이다.
  5. 다만, 그녀가 자신의 새로운 재생산 표식을 작성하던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으므로 이 부분에서는 비판을 받는다.
  6. 대표적으로 힐퍼딩과 룩셈부르크, 부분적으로는 레닌
  7. 다만, 오히려 주류경제학의 수학적 도구들은 마르크스 경제학과 괴리가 있으므로 그것이 현대 마르크스 경제학의 논리적 한계로 되었다는 지적 또한 존재한다.
  8. 이성적 인간의 전제, 수학적 분석에서의 균형 체계의 전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