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패

생물학적 용어

腐敗 / Putrefaction, Decomposition

유기물공기 속의 산소, , , 그리고 이나 효소 따위의 작용에 의하여 분해되는 현상. 썩는다고도 한다.

음식이 부패되는 것은 상한다고 한다. 썩어서 내용이 줄어드는 경우와 악취가 나는 경우로 나뉜다. 악취는 주로 단백질에 포함된 질소화합물이나 황화합물이 분해될때 생기는 분자들 때문에 난다. 이 생성되는 경우를 산패라고 한다.

시체 역시 자연스럽게 부패하게 된다.

사실 '부패, 썩는다, 상한다'는 유독성 물질이 나올 때 하는 말로 통용된다. 그러므로 산소에 의한 변질(화학적 변화)은 부패라고 하면 안 되고 그냥 '변질'이라고 표현해야 한다.

발효와는 오로지 그 결과에 의해서만 구분되는 관계다. 목적한 부산물이 생성되면 발효 아니면 부패라고 한다. 즉, 종이 한 장 차이다. 부산물이 인간에게 유용한 물질이더라도 목적한 부산물이 아니면 부패가 되며, 반대로 인간에게 유해한 부산물이 생성되더라도 산업 등의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만들고자 한 물질이었다면 발효가 된다. 가령, 알콜 발효를 이용해 술을 만들고자 했으나 산이 생성되어 식초가 되었다면 식초 자체도 인간에게 유용한 것이지만 원래 만들고자 했던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는 부패로 간주된다. 많은 경우 발효는 탄수화물이, 부패는 단백질이 분해될 때에 일어나는데 당연히 예외도 있으며 단백질을 발효하여 된장 등을 만들기도 한다. 현 시점에는 부패라고 불리는 어떠한 현상이 있는데, 가까운 또는 먼 미래에 그 부패의 과정이나 최종 산물이 인간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여지가 발견된다면 그 부패는 발효로 다시 정의될 수도 있다.

부정부패

위키스 상세 내용 로고.svg 자세한 내용은 부정부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