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러시아 비상 정부
-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통합 러시아당)
무르만스크를 수도로 삼은 러시아 군벌세력. 지도자는 블라디미르 푸틴.
푸틴은 대선에 직접 나가는 대신 미슈스틴을 대선에 내보내고 그후 실권은 푸틴이 잡게 된다. 그러나 러시아 에세 쿠데타 가 일어나 미슈스틴이 살해되면 푸틴 과 그의 측근들이 크렘린을 빠져나와 무르만스크로 가게 된다.
쿠데타 직후 부터 모스크바 의 샤마노프 와 전쟁을 벌이며 전쟁에서 이기면 푸틴이 암살 당할수도 있다.
푸틴이 암살 당한다면 그의 측근들이 권력투쟁 을 벌여 국가의 주도권을 잡게 된다.
1.1.블라디미르 푸틴
-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
1.2.람잔 카디로프
- 집권이념:전제주의
현실에선 러시아 연방 체첸 공화국의 대통령인 사람이다. 그의 언행들만 보아도 정상적인 사람은 아닌데 여기 세계관 에도 그것이 구현되어있다.
1.3.나탈리야 포클론스카야
- 집권이념:권위민주주의
1.4.예브게니 프리고진
- 집권이념:국가사회주의
2.러시아 재건 정부
집권이념:전제주의 러시아 쿠데타의 주범이자 처음 부터 러시아 비상 정부 와 싸움을 벌이는 국가
샤마노프 는 권력에 목말라 하는 사람 이었으나 쿠데타로 권력을 챙기려는 사람을 아니였다. 그러나 [편집됨] 단체의 의뢰 와 지원으로 기회를 얻은 샤마노프 가 쿠데타를 일으킨다.
2.1.블라디미르 샤마노프
집권이념:파시즘 러시아 통일시 국명은 "러시아국"
3.러시아 인민 정부
집권이념:현대사회주의(러시아 연방 공산당)
3.1.겐나디 주가노프
- 집권이념:현대사회주의
러시아 통일시 국명은 "소비에트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3.2.파벨 그루디닌
- 집권이념:자유 지상적 사회주의
러시아 통일시 국명은 "러시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3.3.바딤 바카틴
- 집권이념:국가사회주의
러시아 통일시 국명은 "러시아 국가 소비에트 공화국"
3.4.세르게이 우달초프
- 집권이념:자유 지상적 사회주의(AKM)
러시아 인민 정부 에서 활동중인 극좌 무장단체 의 지도자 로 바딤 바카딘 이나 주가노프 가 당선 되면 반란을 일으킨다. 우달초프 가 인민 정부 를 이기면 "서시베리아 자유 공화국" 으로 독립 한다.
4,자유 연합 정부
- 집권이념:파시즘(자유민주당)
4.1블라디미르 지리놉스키
러시아 통일시 국명은 "러시아 국민 연방"
4.2.알렉산드르 두긴
- 집권이념:국수주의(유라시아당)
러시아 통일시 국명은 "유라시아국"
5.국민 민주 운동
- 집권이념:사회민주주의(미래 러시아당)
5.1.알렉세이 나발니
- 집권이념:사회민주주의
러시아 통일시 국명은 "러시아 연방"
5.2.레오니드 볼코프
- 집권이념:자유민주주의
러시아 통일시 국명은 "러시아 합중국"
5.3.예브게니 로이즈만
- 집권이념:자유민주주의
현실에선 예카테린부르크 시장을 역임 했던 사람으로 부패 와 범죄 근절에 힘썼다. 나발니 가 총격으로 암살 당하고 레오니드 볼코프 가 점령지를 통제 하지 못하고 사망한다면 로이즈만 이 "우랄 공화국" 을 세워 독립 하게 된다.
6.극동 제국 섭정
- 집권이념:전제주의(군주당)
안톤 바코프 가 이끄는 군벌 바코프 는 러시아 가 니콜라이 2세 의 사망이후 끊긴 로마노프 왕가 의 국가를 이어가야 한다고 주장중 하고 있다. 그래서 인지 바코프는 섭정으로써 잠시만 자리에 앉아 있고 러시아 안정화 되면 입헌군주제 를 토대 로 하는 러시아 제국 을 부활시킬것 이다.
6.1.레이닝겐 왕자 칼 에미치
- 집권이념:자유민주주의(입헌민주당)
러시아 통일시 국명은 "러시아 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