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크릿 경호실

개요

백악관.png
시크릿 서비스 국장
스위트 정부 (2014 ~ 2021) 에도가와 정부 (2021 ~ )
제3대
쵸노 아미 (대통령경호국장, 시크릿 경호실장)
제4대
아무로 토우로
현직
미합중국 시크릿 서비스
United States Secret Service
시크릿 서비스.png
처훈하나된 단결, 영원한 충성, 죽어도 명예
약칭USSS
설립일2017년 10월 17일
국장아무로 토오루
경호실장공석
경호차장공석
소재지BS 오리시티특별광역시 마스미구 전 중로구 백악관로1
정원경호실937 명
소속기관108 명
상급기관미합중국 대통령


개요

정부조직법 제16조(시크릿경호실) ① 대통령 등의 경호를 담당하기 위하여 시크릿경호실을 둔다.
② 시크릿경호실에 실장 1명을 두되, 국장은 장관급으로 대우하며, 정무직으로 한다.
③ 시크릿경호실의 조직·직무범위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따로 법률로 정한다.

마미국 경찰력 중에 최대 강한기관과 경호처랑 연관되어 있는 대통령경호국

마미국 경찰과 마미국 국방부가 경호를 담당하는 조직이 있지만 경찰과 경호처랑 손잡고 경호국이 되었다. 마미국 내에서 경호담당서비스들이 많지만 공무원경호원중에서는 경호국이 유일하다. 예전에는 경호처였지만 경찰과 손잡으면서 경호국으로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테러위험이랑 신변위험이 커서 2019년 5월 24일 경호국을 폐지해서 역사 속으로 사라지고 시크릿 경호실로 개편되 위상 승격이 되었다. 하지만 경호담당하는 경찰관들은 일부는 남아있게 된다.

역사

이 문단의 본문은 시크릿경호실/역사 문서입니다.

명칭은 2014년 이후 계속해서 대통령경호실이었으나, 2018년~2019년까지 대통령 경호국으로 쓰다가 안전위협으로 시크릿경호실로 명칭을 바꿨다.

2014년 7월 26일 공포된 개정 정부조직법에서 경호실을 설립을 하였고 2014년부터 2018년까지 대통령 경호실을 쓰다가 소통을 위해서 대통령 경호국으로 바꿨으나 최근 위협으로 경호실로 승격을 하였다.

경호공무원은 특정직 공무원으로 1급 관리관 내부승진하여 경호실장이나 경호처장이 되더라도 차관급부터는 특정직이 아닌 정무직으로 옮겨탄다.부터 9급 경호서기보까지 있는데, 이들을 11계급 체계 경찰은 차관급인 치안총감도 특정직을 유지한다.인 경찰관으로 바꾸는 데 경호공무원들의 불만이 있을 수 있고, 경찰관들도 위화감을 느낄 수 있다.

역활

미합중국 내 대통령 보호와 부통령 보호와 국무총리까지 경호를 한다. 부통령과 국무총리는 일부 경호를 지원받고 그 외에 대통령이 지정한 인물은 경호대상을 한다.

24시간 밀착경호를 하며, 대통령이 이동하는 동선에 따라다니며 항상 경호를 한다. 이 경우에는 유사시 총기를 사용이 가능하며, 체포권도 가지고 있다.

대통령이 재임중에 생존하는 경우에는 100% 갑호경호급으로 지원받으며, 퇴임을 할 경우에는 원할경우 사망할때까지 시크릿 서비스에 경호를 받게된다. 거부하는 경우에는 경찰들이 경호를 하게된다.

만일 대통령이 사망을 할 경우에는 장례식에서 경호를 하고 화장할때부터 안장할때까지 일부 경호실 인력들이 묘지에 안장되거나 연화장에 안장될때까지 마지막 경호를 할 수 있다. 이후에는 경호는 법적으로 끝이 나게된다. 단 탄핵이나 범죄로 인해 예우박탈이 되면 예외를 한다.

구조와 권력

경호실장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장관급이었고, 2018년부터 2019년까지 잠깐 대통령경호국장의 경우는 차관급 인사다. 2019년부터 현재까지 장관급이다. 시크릿경호실장은 경호 임무를 총괄하고 소속 공무원을 지휘·감독하는데 여기서 소속 공무원이라 함은 경호공무원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시크릿경호실에 파견된 경찰공무원이나 군인, 일반직 등을 모두 포함한다. 주로 예비역 장성, 경찰공무원 출신, 현역 장성, 경호실 차장 출신 등으로 임명된다.

장관급 실장 시절에는 밑에 차장 1명을 두었다. 차관급/1급 상당에 해당하며 실장 유고 시 직무를 대행한다. 군사정권 시절에는 현역 장성을 차장으로 임명하는 일이 많았지만 2010년대에는 공무원을 차장으로 임명하고 있으며 보통 경호실에서 경력을 쌓은 1급 경호공무원 출신이 맡는다.

처장과 차장 이외의 경호공무원은 보안 관계상 신상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다. 유관기관인 국가정보원도 최고위직 5명만 신원을 공개한다.

자세한 내용은 시크릿서비스 국장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