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경왕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2번째 줄: 12번째 줄: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여동생 토별 ||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여동생 토별 ||
 
||<-3><#972000> {{{#ffffff 배우자}}} || [[대조선국 성종|성종]] ||
 
||<-3><#972000> {{{#ffffff 배우자}}} || [[대조선국 성종|성종]] ||
||<-3><#972000> {{{#ffffff 자녀}}} || 장남 이호 ||
+
||<-3><#972000> {{{#ffffff 자녀}}} || 장남 [[대조선국 명종|명종]] ||
 
||<-3><#972000> {{{#ffffff 종교}}} || 유교 ||
 
||<-3><#972000> {{{#ffffff 종교}}} || 유교 ||
 
||<-3><#972000> {{{#ffffff 시호}}} || '''원경왕후(元敬王后)''' ||
 
||<-3><#972000> {{{#ffffff 시호}}} || '''원경왕후(元敬王后)''' ||
47번째 줄: 47번째 줄:
 
----
 
----
 
||<tablebordercolor=#972000; width=600px; table align=center><#972000><:> {{{#ffffff '''자녀'''}}} ||<#972000><:> {{{#ffffff '''이름'''}}} ||<#972000><:> {{{#ffffff '''출생'''}}} ||<#972000><:> {{{#ffffff '''배우자/자녀'''}}} ||
 
||<tablebordercolor=#972000; width=600px; table align=center><#972000><:> {{{#ffffff '''자녀'''}}} ||<#972000><:> {{{#ffffff '''이름'''}}} ||<#972000><:> {{{#ffffff '''출생'''}}} ||<#972000><:> {{{#ffffff '''배우자/자녀'''}}} ||
||<#E6FFFF> 1남 ||<#E6FFFF> 주상 이호 ||<#E6FFFF> 2023년 2월 10일 ||<#E6FFFF> [[의정왕후]] <br> [[정순 공주]], [[효문 세자]], 경원대군 ||
+
||<#E6FFFF> 1남 ||<#E6FFFF> [[대조선국 명종|명종]] ||<#E6FFFF> 2023년 2월 10일 ||<#E6FFFF> [[의정왕후]] <br> [[정순 공주]], [[효문 세자]], 경원대군 ||
  
 
==[[파일:현재2.png|width=30]] '''평가'''==
 
==[[파일:현재2.png|width=30]] '''평가'''==
  
 
・원경왕후는 스포츠에 관심이 많았으며, 실패로 돌아갔지만 스포츠업의 원동력을 일으킨 왕후이다. 또한 안정스럽게 내명부를 다스려 궁중은 매우 평화로웠다.
 
・원경왕후는 스포츠에 관심이 많았으며, 실패로 돌아갔지만 스포츠업의 원동력을 일으킨 왕후이다. 또한 안정스럽게 내명부를 다스려 궁중은 매우 평화로웠다.

2023년 8월 18일 (금) 01:06 기준 최신판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왕비
[ 펼치기 · 접기 ]
태조비
신의왕후
태조비
신덕왕후
인종비
정안왕후
인종비
현덕왕후
성종비
원경왕후
명종비
의정왕후
문종비
의성왕후
영조비
소헌왕후
영조비
정순왕후
헌종비
효순왕후
이향비
폐비 김씨
이향비
왕후 홍씨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왕세자빈
[ 펼치기 · 접기 ]
조선 성종의 왕비
원경왕후 | 元敬王后
어기.png
출생2022년 12월 30일
대조선국 한양 사저
사망2023년 4월 19일 (향년 67세)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교태전
헌릉(獻陵)
재위기간2023년 3월 10일 ~ 2023년 4월 19일 (41일)
본관한양 토씨
부모부 토그, 모 디보
형제자매여동생 토별
배우자성종
자녀장남 명종
종교유교
시호원경왕후(元敬王后)

현재2.png 개요

조선 제3대 국왕 성종의 왕비이며 본관은 한양 토씨.

현재2.png 어린 생애와 간택 후의 삶

2022년 12월 30일, 한양 토씨 가문에서 부친 도그와 모친 디보 사이에서 태어나 부유하게 자랐다. 아버지는 당하관이였으며 어머니는 잘 나가는 어부였기 때문이다. 며칠 후 여동생 토별이 태어났으나 별 관심을 가지진 않았다. 10대가 되기전에 아버지와 어머니로부터 부유하게 자란 원경왕후는 자신도 농사, 어업, 동물 등 다양한 사업을 벌였으며 재산이 매우 많아졌다. 소유 재산이 3000문이라 기록되어있는데당시 이 정도 돈은 초가집 수십개를 살 수 있는 정도의 돈이였다. 원경왕후는 실제로 본가에서 나와 기와집 여러개를 한양에 샀으며 동물 또한 많이 샀다.

그러다 아버지 토그가 도박으로 인해 재산을 탕진하는 가문의 참사가 일어나, 원경왕후는 사실상 가문과 연을 끊고 독립하여 살기 시작하였다. 그러던 1월 16일, 막 조선의 왕세손으로 책봉된 성종의 부인인 세손빈 간택이 열리고 있었고 원경왕후는 간택에 도전하였다. 세손빈 간택에 나선 원경왕후는 삼간택에서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지원한 이유는 세손(世孫) 각하를 보필(輔弼)하고 세손빈(世孫嬪)으로써 책무(責務)를 다하기 위해서입니다. 되면 해보고싶은건 딱히 없습니다. 장차 왕비(王妃)에 오름으로써 소임(所任)은 성품(性品)과 인품(人品)을 다스려서 세손(世孫) 각하가 주상전하가 되시면 왕비(王妃)로써의 책무(責務)를 다할것입니다.

1월 16일, 왕비던 신덕왕후는 원경왕후를 조선의 왕세손빈으로 책봉한다. 그때 그의 나이는 불과 11세였다. 왕가의 법칙에 따라 개인 재산을 보유할 수 없었기에 원경왕후는 11년간 일해 얻은 여러 기와집, 동물, 농장등을 부친 도그에게 넘겼다. 그로 인해 한양 토씨 가문은 위기를 극복한다.

합궁(合宮)이 자정(子正)에 진행될려 했으나 세손각하가 혼자 주무시며 세손빈마마를 모욕(侮辱)하였고, 세손빈마마는 기구를 구입해 차마 말할수없는 행위 (行爲)를 하셨다. 이에 백내관과 박제조상궁이 말렸다.
—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3권

혼례식이 근정전에서 치루어졌고 원칙에 따라 합궁할 시간이 되었는데 세손이던 성종이 합궁을 거부하고 먼저 자러가는 바람에 원경왕후는 처참한 모욕을 당하였다. 이에 원경왕후는 자기위로를 하였으며, 이 사건을 계기로 왕비가 되기 전까지 음란하고 방탕한 생활을 하였다고 한다.

가문이던 한양 토씨는 또 한번 위기를 맞는데, 모친인 디보가 적국이던 텍사스를 지지하고 세손빈의 어머니로써 본분을 다하지 못한 것이다. 이에 왕비던 신덕왕후가 디보를 노비로 만들거나, 재산과 품계를 빼앗는 등 여러 제재를 내렸다. 한양 토씨 가문은 부친과 모친의 트롤로 무너지다가 여동생 토별이 후사가 없어 훗날 멸족하고 만다.

2023년 2월 10일, 시할아버지 태조가 훙서하고 조선의 왕세자빈으로 책봉된다. 왕세자빈이 된 이후에는 매우 조용하게 살았다. 2월 20일에는 아들 이호를 얻게 된다.

현재2.png 왕비 시절

세자빈으로 재위한지 30일이 다 될때 쯤이던 2023년 3월 10일, 시아버지 인종이 훙서하고 왕비가 되었다. 대왕대비가 된 신덕왕후와 왕대비가 된 현덕왕후가 자경전에서 조용히 물러나며 내외명부의 최고 수장이 되었다. 4월 9일에는 손녀 정순 공주를 보았으며 왕비로 재위하는 동안 스포츠업에 열렬한 관심을 보이고 지원을 하였다. 그 결과 조선에서 여러 문화 컨텐츠가 씨앗을 뿌리는데 도움이 되었다.

왕대비던 현덕왕후가 훙서한 뒤 얼마 안가 4월 19일, 교태전에서 뇌출혈로 인하여 향년 67세로 훙서하였다.

현재2.png 가족 관계


자녀이름출생배우자/자녀
1남명종2023년 2월 10일의정왕후
정순 공주, 효문 세자, 경원대군

현재2.png 평가

・원경왕후는 스포츠에 관심이 많았으며, 실패로 돌아갔지만 스포츠업의 원동력을 일으킨 왕후이다. 또한 안정스럽게 내명부를 다스려 궁중은 매우 평화로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