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지동물

절지동물
節肢動物 | Arthropod
100%
학명 Arthropoda
(Gravenhorst, 1843)
분류
동물계Animalia
아계 진정후생동물아계Eumetazoa
계통군 좌우대칭동물군Bilateria
계통군 선구동물군Protostomia
상문 탈피동물상문Ecdysozoa
계통군 범절지동물군Panarthropoda
계통군 서족동물군Tactopoda
절지동물문Arthropoda

개요

절지동물이란 외골격으로 둘러싸여 있고 체절화된 몸에, 관절로 되어 있는 부속지들을 가진 무척추동물들을 지칭한다. 다리(肢)가 마디(節)로 이루어져 있다고 해서 절지(肢節)이다. 전 세계의 육해공 모든 곳에 퍼져 살고 있으며 다양한 환경과 지형에 적응해 있다. 또한 현재까지 알려진 동물 종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그 수도 많아 생태계에서 빠져서는 안 될 중요한 위치에 머무르고 있다.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곤충이나 , 거미 같은 동물들이 여기에 속한다.

특히 절지동물은 최초로 산소 호흡을 한 육상 동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절지동물이 최초로 육상에 진출한 시기는 오르도비스기 후기~실루리아기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다시 말해, 육상 척추동물들의 조상인 초기 양서류가 허파를 진화시켜 가면서 겨우겨우 육지로 기어올라와 한 발자국 대본 시기, 이미 땅 위에는 지네들이 굴러다니고 있었다. 하지만 지질 시대에서는 척추 동물의 진화사에 밀려 삼엽충, 바다전갈, 아노말로카리스, 아르트로플레우라, 메가네우라 정도만 주목받는다. 또한 절지동물은 최초로 동력비행을 한 동물이라는 명예로운 타이틀 역시 가지고 있다.

특징

종류

관련 문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