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 공화국의 교육 관련 문서 | ||||||||||||||||||||||||||||||||||||||||
[ 펼치기 · 접기 ]
|
중등표준교육과정은 타이 공화국 중등교육법에 따라 교육부에서 제정ㆍ고시한 교육과정으로, 중등학교의 교육 목적과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하여 국가 수준에서 편성 및 운영하여야 하는 공통적,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
변천
- 1차 교육과정 (1954년 - 1959년)
- 2차 교육과정 (1960년 - 1977년)
- 3차 교육과정 (1977년 - 1993년)
- 4차 교육과정 (1993년 - 2002년)
- 5차 교육과정 (2003년 - 현행)
4차 교육과정
4차 교육과정은 민주 정부 수립 이후 제정된 첫 표준교육과정으로 1993년 고시되어 1995년부터 전면 시행되었다. 4차 교육과정의 큰 특징은 '탈권위주의'와 '민주적 시민'을 교육 인간상으로 채택하였으며, 기본 이수 과목을 제정하고 대학 입학 제도가 대거 개편되었다.
교육과정 편제
변화 사항
5차 교육과정
5차 교육과정은 타이 공화국의 5번째 전면 개정 교육과정으로 2003년 고시되어 2005년부터 중학교ㆍ고등학교 전 과정에 적용되었다. 5차 교육과정의 큰 특징은 4차 교육과정이 '탈권위주의'와 '민주적 시민'을 중점 인간상으로 채택하여 교육하였다면, 5차 교육과정은 정보화 시대에 발맞춰 창의적인 인간상에 초점을 맞췄다는 것이다.
교육과정 편제
변화 사항
- 기본 이수 과목으로 영어가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