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표준교육과정(타이 공화국)

타이 공화국의 교육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분류 항목
교육 수준 영아교육기관(유치원·영아원·보육원) · 초등교육기관(초등학교·공민학교) · 중등교육기관(중학교·고등학교) · 고등교육기관(대학교·산업대학교·기술대학교·대학원)
교육 평가 정량평가 일반국가교육시험(O-NET) · 상급국가교육시험(A-NET) · 학습수준진단평가 · 성적지표조사(내신)
정성평가 면접 · 실기
시험 유형 능력평가 · 자격고사
성적 산출 방식 상대평가 · 절대평가 · 등급제
대학 입시 일반전형 · 대학 자체 선발 전형
교육 과정 영아표준교육과정(3차)· 초등표준교육과정(5차) · 중등표준교육과정(5차) · 표준학부과정(7차)
관련 기관 교육부 · 국립교육평가원 · 중앙교육위원회 · 영아교육위원회 · 초등교육위원회 · 중등교육위원회 · 고등교육위원회 · 사립교육위원회
관련 법 교육기본법 · 영아교육법 · 초등교육법 · 중등교육법 · 고등교육법
교육 기관 유형 영아교육기관 유치원 · 영아원 · 보육원
초등교육기관 초등학교 · 공민학교
중등교육기관 중학교 · 기술중학교 · 특수중학교(예술중학교 · 체육중학교)
고등학교 · 기술고등학교 · 특수고등학교(외국어고등학교 · 예술고등학교 · 체육고등학교)
고등교육기관 대학교 · 산업대학교 · 기술대학교 · 대학원

중등표준교육과정타이 공화국 중등교육법에 따라 교육부에서 제정ㆍ고시한 교육과정으로, 중등학교의 교육 목적과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하여 국가 수준에서 편성 및 운영하여야 하는 공통적,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한 것이다.

변천

  • 1차 교육과정 (1954년 - 1959년)
  • 2차 교육과정 (1960년 - 1977년)
  • 3차 교육과정 (1977년 - 1993년)
  • 4차 교육과정 (1993년 - 2002년)
  • 5차 교육과정 (2003년 - 현행)

4차 교육과정

4차 교육과정은 민주 정부 수립 이후 제정된 첫 표준교육과정으로 1993년 고시되어 1995년부터 전면 시행되었다. 4차 교육과정의 큰 특징은 '탈권위주의'와 '민주적 시민'을 교육 인간상으로 채택하였으며, 기본 이수 과목을 제정하고 대학 입학 제도가 대거 개편되었다.

교육과정 편제

변화 사항

5차 교육과정

5차 교육과정은 타이 공화국의 5번째 전면 개정 교육과정으로 2003년 고시되어 2005년부터 중학교ㆍ고등학교 전 과정에 적용되었다. 5차 교육과정의 큰 특징은 4차 교육과정이 '탈권위주의'와 '민주적 시민'을 중점 인간상으로 채택하여 교육하였다면, 5차 교육과정은 정보화 시대에 발맞춰 창의적인 인간상에 초점을 맞췄다는 것이다.

교육과정 편제

변화 사항

  • 기본 이수 과목으로 영어가 포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