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처남(妻男, 혹은 妻娚 조선시대에는 이 "오라비 남"자를 썼으나 현대에 와서는 잘 쓰이지 않고 있다. 조선왕조실록도 사내 남을 쓰지 않고 오라비 남을 써 놓았다.)은 아내의 남자 형제를 말하는 호칭이다. 처남의 아내는 처남댁이라고 한다. 처녀의 반대되는 말이 아니다.
정의
아내의 오빠, 남동생 모두 처남이지만, 남에게 소개나 다수가 함께인 장소에서는 배우자를 기준으로 손윗처남 손아래처남이라 구분한다. 그리고 서로 배우자들의 만남에 의해 이루어진 법적 가족이므로 공대하는 것이 예법에 맞다. 형님이란 호칭이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은 나이가 많고 작음을 나누어 형과 동생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처남 매제 관계에서 처남이 나이가 적다고 한들 공경해주어야함이 마땅하다. 그러나 요즘에 처남에게 무조건 부르는 형님의 호칭은 어울리지 않는다. 처남 매제관계에서 나이의 상하가 뒤바뀌지 않는다면 그 손윗처남을 형님이라 부르는 것이 더 정겹게 느껴지고 관계가 부드럽기에 좋다라고 웃어른들 시점에도 거리낌이 없다.
처남이라고 부르는 상대가 있다면, 그 상대는 나 자신을 자형 姉兄. 손윗누이(누나)의 남편. 매형(妹兄)이라고 부르거나 새언니처럼 새형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한자로 여자형제를 나타낼 때 손위 아래 구분 없이 보통 '누이 매'를 사용하기 때문인 듯. 남매는 오빠와 여동생만이 아닌 누나와 남동생도 포함되는 말이다. 또는 매제 妹弟. 손아랫누이(여동생)의 남편.라고 부르게 된다. 처남 자체도 상하를 가리지 않는 표현이니 매부는 처남과 반대되는 말이 된다. 다만 애매한 경우가 있다면 아내의 오빠가 있긴 하지만 아내도 그렇고 아내의 오빠도 그렇고 나이가 자신보다 어릴 경우에는 호칭을 지칭하기 애매한데, 이때는 호칭자체를 잘 부르지 않거나 꼭 호칭이 필요할 때만 '처남'이라고 말하면서 상호 간에 경어를 쓰는 대화를 하게 된다. 다만 처남과 친할 경우에는 웃어른들이 없을 때 서로 형 동생 하면서 친밀함을 표시하는 경우가 많으며, 호형호제 하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