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한국어로 하늘 + 님의 합성어로 무속에서 천신(天神)을 지칭하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일부 교파를 제외한 개신교에서 야훼를 이르는 말로 쓰인다.
유래
'하느님'과 같이 '하늘'의 옛말인 '하□'과 '-님'이 더해져 나타났다. 본디 지역을 가리지 않고 '하□님'이라고 하였으나 아래아가 소멸함에 따라 '하나님'과 '하느님'으로 분화하였다.
한편 20세기 조선의 개신교회에서 천주(天主) 명칭을 사용하는 것을 신성모독으로 여긴 로마교회 신자들이 개신교회에 대한 테러를 감행하는 일 현대 로마교회는 개신교회를 갈라진 형제라고 부르며 마치 돌아와야 할 탕자처럼 여기지만, 2차 바티칸 공의회 이전의 로마교회는 개신교를 열교라고 치부하며 적대하였다. 때문에 교계에서는 명칭 변경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때 개신교에서 평양대부흥으로 교세를 크게 확장하여 평안도 출신 목회자가 매우 많았기 때문에 서북방언인 '하나님'을 정식 용어로 채택한 것이다. 평양대부흥은 1950~60년대의 폭발적인 교세 성장의 기반이 되어서 한국 개신교계에서 매우 의미 깊은 사건이기에 현대 한국 개신교는 수도권 출신 목회자가 과반수임에도 해당 명칭을 고수하고 있다.
유일신 속성에서 따와 '하나[一] + -님'이라고 지었다는 민간어원이 있으나 근거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