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영국 왕실

휘영국 왕실 (輝榮國 王室, 영어: Royal Family of Hwiyoung)은 휘영국군주가 소속된 가문을 통칭하는 말이다. 현재 수장은 금상인 이협으로, 1970년 3월 11일부터 재위를 시작하였다. 2019년 골든 주빌리를 맞았다.

개요

휘영국 왕실의 문장인 태극이화문. 휘영국의 공식 국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萬世一係 위대한 아버지 천명과 그의 위대한 딸 아리희의 후예

휘영국의 왕실은 국왕과 왕족으로 구성된다. 왕족은 직계왕통과 방계로 구성된다.

역사

호칭

국왕 국왕은 남성이던 여성이던 동일하게 폐하(陛下)를 사용한다. 단지 여성일 경우 언론에서 '여왕'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으나 공식적으로는 차이가 없다.

중전(왕후/국서) 중전은 왕의 배우자를 통칭하는 말로, 여성일 때는 왕후(王后), 남성일 때는 국서(國壻)라 칭한다. 경칭은 왕과 같이 폐하(陛下)를 사용한다

왕세자/왕세녀 - 왕세자비/왕세녀부군 ○○위 왕세자(王世子)/왕세녀(王世女)는 왕위를 계승할 왕의 자녀를 이른다. 통상적으로 왕의 장자가 이 자리에 책봉되는데, 세자/세녀에 책봉되기 전인 왕의 장자는 원자(元子)로 불리다가 책봉되면 세자/세녀의 칭호를 받는다. 왕세자/녀의 배우자는 각각 여성일 경우 왕세자비(王世子妃), 남성일 경우 왕세녀부군 ○○위(王世女夫君 ○○尉)에 봉해진다. 왕세녀부군의 경우 공식칭호가 길어 ○○위로 부르는데, 이때 ○○의 자리에는 왕세녀부군의 본관이 들어간다. 이들은 모두 전하(殿下)의 경칭을 사용한다.

왕세손 - 왕세손빈/○○위 왕의 맏손자는 원손(元孫)으로 불리다가 왕의 책봉을 받아 왕세손(王世孫)에 봉해진다. 물론 맏이가 아닌 대군이나 공주 중에서 왕세손으로 책봉되는 경우도 있었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거의 깨지지 않는다. 왕세손의 배우자는 여성일 경우 왕세손빈(王世孫嬪), 남성일 경우 ○○위(○○尉)를 받는다. 이들은 저하(邸下)의 경칭을 받았다.

왕세증손 - 왕세증손빈/○○위 왕세증손(王世增孫)은 왕세손의 맏이로, 왕의 책봉을 받아 임명되고, 배우자는 왕세증손빈(王世增孫嬪), ○○위(○○尉)를 받는다. 이들은 경칭으로 각하(閣下)를 쓰는 것이 원칙이나 이 각하라는 호칭이 고위관료에게도 쓰이면서 왕세증손에게도 저하라는 경칭을 쓰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대군/공주 - 대군부인/○○부위 왕세자/녀가 아닌 왕의 자식이나 왕세손이 아닌 왕세자/녀의 자식의 경우 아들은 대군(大君), 딸은 공주(公主)의 칭호를 받는다. 이들은 왕이 하사하는 봉호를 받아 ○○대군/○○공주라 불리고, 경칭은 마마​​​, 혹은 대군은 대감, 공주는 자가를 사용한다. 하지만 왕의 자식과 왕세자/녀의 자식은 차등이 있어야 한다는 이유로 경칭을 왕세자/녀의 자식인 대군과 공주는 각각 도련님​​​과 아가씨​​​​로 불렀다. 이들의 배우자는 각각 대군부인(大君夫人), ○○부위(○○副尉)라 부른다. 이 역시 마찬가지로 ○○에는 본관이 들어간다.

군/군주 - 군부인/○○도위 군(君)과 군주(君主)는 왕세증손이 아닌 왕증손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대군이나 공주와 마찬가지로 봉호를 받는다. 이들의 배우자는 각각 군부인(君夫人)이나 ○○도위(○○度尉)라 부르고, 이들은 애기씨로 경칭하는 것이 원칙이나 실제로는 대군/공주의 예에 준해 사용된다.

군/옹주 - 군부인/○○첨위 대군/공주의 딸과 아들부터 이하 왕의 8촌까지를 군(君)과 옹주(翁主)라 칭한다. 그 배우자는 군부인(君夫人), ○○첨위 (○○僉尉)라 한다. 이들은 경칭으로 별다른 규정은 없으나 대군/공주의 예에 준해 사용된다.

지위

왕족

국왕

휘영 국기.png 휘영국의 국왕 휘영 왕실.png
파일:이협.jpg
이협

국왕은 휘영국 국왕 항목을 참고할 것.

현임 국왕 기준 직계 왕실 가계도

윤종 - 인순왕후 임씨

2019년 기준 왕위 계승 순위

순위이름국왕과의 관계생년월일
1세자 이진장자1987년 3월 3일
2세손 이연장손2011년 5월 26일
3여영공주 이연혜손녀2014년 8월 21일
4강운대군 이진욱차자1986년 5월 15일
5정의군 이연후손자2012년 3월 15일

자세한 순위는 휘영국 왕위 계승 순위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