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

위키스 축구선수 프로젝트 문서입니다
K리그.svg
정식 명칭 국문 : K리그
영문 : K league
종목 축구
창설 K리그1 1983년 5월 8일
K리그2 2013년 3월 16일
국가 대한민국
운영 주체 한국프로축구연맹
최근 우승 구단 K리그1 울산 HD FC (2024)
K리그2 FC안양 (2024)
최다 우승 구단 K리그1 전북 현대 모터스 (9회)
K리그2 광주 FC
상주 상무 FC
김천 상무 FC (2회)
AFC 랭킹 3위

개요

한국프로축구연맹 산하의 대한민국 최상위 프로축구 리그다. 1983년 슈퍼리그라는 명칭으로 출범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현재까지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한 리그이다. 국내 일부 언론에서는 K리그를 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 리그로 보도하기도 하였지만, AFC에서는 1908년에 출범한 홍콩 퍼스트 디비전을 아시아 최초의 프로축구 리그로 간주하고 있다.

본디 단일 리그였으나, 2012년 승강제를 도입하고 2013년 2부 리그를 창설하면서 1부 리그 K리그1과 2부 리그 K리그2의 2개 디비전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넓은 의미의 K리그는 두 개의 리그를 포괄하여 한국 프로축구 리그 전체를 가리키고 있다. 그리고 더 넓은 의미의 K리그는 K리그가 한국프로축구연맹의 공식 약칭이기 때문에 한국프로축구연맹과 한국 프로축구 리그를 망라한 한국 프로축구 전반을 가리키는 것이기도 하다.

K리그 출범은 1986년부터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FIFA 월드컵에서 10회 연속으로 본선 진출을 기록하게 될 정도로 아시아 최정상급의 전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든 한국 축구의 초석이 되었고, 아시아 최정상급 전력으로 발돋움할 수 있게 되는 본격적인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K리그는 2024년 기준 평균 관중 11,003명으로 쉬페르리그, 인도 슈퍼 리그, 프리메이라 리가에 이어 세계 20위에 위치해 있는 리그이기도 하다. 다른 나라들이 무료 관중도 집계할 때 K리그는 유료 관중만 집계한다는 것을 생각해 보면 실제 입장객 수는 더 높다.

명칭

한국 프로축구 리그가 1983년 처음 출범할 당시의 공식 명칭은 슈퍼리그였다. 그러나 1984년 정부가 명칭에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이 심하다고 지적하며 슈퍼리그라는 명칭 대신 축구대제전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도록 지시하였다. 이로 인해 공식 명칭은 한 해만에 축구대제전으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부명칭으로 슈퍼리그를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다 1987년 대한축구협회에서 프로축구위원회가 발족하여 프로 리그 운영에 관한 사무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고, 이전 해까지 실업 구단과 프로 구단이 함께 참가했던 리그를 이번 해부터 오직 프로 구단만 참가할 수 있도록 규정을 바꾸면서 리그의 공식 명칭을 한국프로축구대회로 변경하였다. 한국프로축구대회라는 공식 명칭은 1987년부터 1993년까지 사용되다가 1994년부터 코리안리그라는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코리안리그라는 명칭은 1994년과 1995년 두 해만 사용되고, 1996년과 1997년 두 해는 다시 한국프로축구대회라는 명칭이 사용되는 등 오락가락한 행보가 이어졌다. 그러다 1998년 공식 명칭을 K-리그로 변경했고, 2010년부터 가운데의 하이픈(-)을 빼고 K리그로 다듬으면서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므로 K리그는 코리안리그라는 공식 명칭의 공식 약칭이 아닌 그 자체로 공식 명칭이다. 특이한 것은 한국프로축구연맹의 공식 약칭도 K리그다. 반면 일본 J리그의 공식 명칭은 일본프로축구리그이며, J리그는 공식 약칭이다. K리그의 공식 표기법은 한글은 K리그, 영문은 K League로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