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미국이 유엔 본부 소재지의 영토를 포기하지는 않았기 때문에 미국의 영토는 맞지만, 외국 대사관보다도 한 단계 높은 완전한 치외법권 지역으로, 미국은 유엔 본부의 영토로서의 법적 행정적 권리를 완전히 포기했다. 사실상 미국이 유엔 본부의 영토를 포기했다고 봐도 된다. 영어 위키백과에도 유엔 본부는 미국 영토라고 명시적으로 서술되어 있지 않고 외국 대사관도 보장받지 못하는 완전한 치외법권 지역이라고 서술되어 있다.뉴욕
공용어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5개국의 공용어 4개에다가 많은 회원국이 공용어로 사용하는 언어 2개가 더해졌다. 다만 많은 국제 기구가 그렇듯이 사실상의 실무 언어는 영어와 프랑스어 2개이다. 이 언어들의 공통점이라면 전세계 화자가 2억명 이상의 언어라는 점이다.
United Nations(영어) Organisation des Nations Unies(프랑스어) Organización de las Naciones Unidas(스페인어) Организация Объединённых Наций(러시아어) 联合国(중국어 간체) UN에서 사용하는 중국어는 간체자로 쓰도록 규정되어 있다. الأمم المتحدة(아랍어)
유엔 직원→한국: 30일 LAISSEZ-PASSER라고 불리는 유엔 직원만이 발급받을 수 있는 여권이 있는데, 한국은 이 여권으로 입국하는 사람에 대해 원래 국적과 상관없이 30일의 무비자 입국 기간을 부여한다. 한국인→유엔: 90일 미국 영토 안에 있기 때문에 미국과 동일한 무비자 기간이 적용된다.
가입국
193개국 현대에 들어서는 미가입국을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우선 가운데 눈에 띄는 회색은 서사하라다. 중화민국(대만)은 탈퇴했기 때문에 미가입국 색상이어야 하나 유엔에서는 대만을 중화인민공화국 영토로 간주해 대만도 색칠해져 있다. 아예 가입 신청 자체를 못하게 해 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