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맹 관련 학자

Admin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0월 26일 (수) 11:42 판 (→‎동맹의 정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상위항목: 국제정치 관련 학자
관련문서: 동맹

동맹의 정의

  • [10/23/22] 로버트 오스굿(Robert Osgood)은 “동맹은 몇 개의 나라가 특정한 한 나라 혹은 복수의 나라에 대항하여 군사력을 사용하리라고 협력을 약속하는 것이며, 동맹조약 조인국의 한 나라 혹은 그 이상의 나라가 특수한 환경에 놓일 때 군사력을 사용한다든가 군사력의 행사를 고려할 수 있다는 의무조항을 기초로 하는 공식적인 합의” 라고 정의했다 Robert Osgood defined two things as the nature of the alliance: (1) An alliance is a commitment to cooperation in which several countries will use military force against a particular one or more countries. (2) with a formal agreement based on the obligation to consider the use of military force or the exercise of military force when one or more countries are in a special environment. Osgood's definition implies that states are likely to resort to the “use of force” rather than the alliance deterring the states from aggression. [1]
  • [10/23/22] 스티븐 월츠(Stephen Walt)에 따르면 동맹 (alliance or alignment)이란 ‘두 개 이상의 자주 국가들 간의 안보 협력을 위한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협정’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Walt, throughout the book. uses the terms alliance and alignment interchangeably. He defined an alliance as "a formal or. informal arrangement of security cooperation between two or more sovereign states.[2]
  • [10/24/22] 부에노 데 메스키타는 동맹을 주로 군사 동맹에 초점을 맞추어서 방위조약(defense pact), 중립 혹은 불가침 조약(neutrality or non-aggression pact), 그리고 협상(entent)의 세 가지로 나누어 보았다. Bueno de Mesquita divided the alliance into three categories: defense pact, neutrality or non-aggression pact, and entent.
  • [10/24/22] ) 멜빈 스몰과 데이빗 싱어의 경험적 연구에 의하면 방위 조약과 같이 자율성이 낮은 동맹관계일수록 동맹의 수명이 길고 자율성이 높은 동맹관계일수록 그 수명이 짧다는 것을 알 수 있다. Empirical studies by Melvin Small and David Singer show that the less autonomous alliances, such as defense treaties, has the longer the life of the alliance than the more autonomous alliances, that has the shorter the life. [3]
  • [10/24/22] 제임스 모로우(James Morrow)의 경우는 동맹의 목적에 따라 동맹을 분류하였는데 국력 집합적(capability aggression)동맹과 자치 ․안보 교환적(autonomy-security trade off)동맹이 그것이다.James Morrow classified the allianc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alliance, including the capability aggression - based alliance and the autonomous-security trade off alliance [4]
  • [10/25/22] . 앨런 자브로스키(Alan Sabrosky)와 같은 학자는 전쟁이 발발하게 되면 동맹관계는 그다지신뢰성이 없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1816년부터 1965년까지의 동맹관계와 전쟁에 관한 경험적 분석을 통해 약 25%정도의 동맹의 서명국들만이 동맹국을 도와 전쟁에 참전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또 그의 주장에 의하면 방위조약과 협상의 경우는 동맹공약을 비교적 이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반해, 중립조약 또는 불가침 조약은 동맹공약이 잘 지켜지지 않고 도리어 동맹을 배신하고 반대편에 협조하는 경우가 많았다 Scholars such as Alan Sabrosky argued that the alliance was not very reliable when war broke out. He showed that only about 25% of the signatories of the alliance helped their allies in the war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the alliance and the war from 1816 to 1965. In addition, according to his argument, defense treaties and negotiations often fulfill alliance pledges, whereas neutral treaties or non-aggression treaties often betrayed alliances and cooperated with the other side [5]
  • [10/25/22] 레비는 선행 조건들과 정치적 긴장, 동맹, 그리고 전쟁사이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국가간 갈등을 유발시키는 모델에서의 유효 변수로서의 동맹에 대한 개념화가 좀더 명확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Levy argues that the conceptualization of alliances as effective variables in models that trigger conflict between countries should be made clearer, taking into account the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priorities and political tensions, alliances, and wars. [6]
  • [10/25/22] 그러나 브렛 애슬리 리드(Brett Ashley Leeds)는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만약 동맹이 신뢰할 수 없는 것이라면 왜 체제 내 국가들이 서로 동맹을 맺어서 안보를 추구하려는지 설명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그는 자브로스키의 주장에 대해서 그의 연구가 동맹의 신뢰성을 측정하는데 부적절했음을 지적한다. 자브로스키는 기본적으로 모든 동맹관계를 전쟁이라는 맥락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취급했다는 것이다. 즉 국가간의 동맹관계에서 실제적으로 요구되고 준수하는 사항들은 동맹에 따라 매우 다양한데 자브로스키는 동맹의 실제적인 내용을 간과했다는 것이다 But Brett Ashley Leeds raises questions about this. If an alliance is unreliable, it is argued that it cannot explain why countries in the regime want to ally with each other to pursue security. He points out that Sabrosky's research was inadequate to measure the credibility of the alliance. Sabrosky basically treated all alliances uniformly regardless of the context of war. In other words, the actual demands and observations of the alliance between countries vary widely depending on the alliance, and Sabrosky overlooked the actual contents of the alliance[7]

레퍼런스

  1. Robert E. Osgood, Alliance and American Foreign Policy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68)
  2. Stephen M. Walt, The Origins of Allianc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87), p. 12.
  3. Melvin Small and J. David Singer, "Formal Alliances, 1816-1965: An Extension of the Basic Data," Journal of Peace Research 3(1969), pp. 257-82.
  4. James D. Morrow, "Alliance and Asymmetry: An Alternative to the Capability Aggression Model of Alliance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5-4(1991), pp. 904-33.
  5. Alan Sabrosky, "Interstate Alliances: Their Reliability and the Expansion of War," in J. David Singer(ed.), The Correlates of War Ⅱ: Testing Some Realpolitik Models (New York: Free Press, 1980).
  6. Jack S. Levy, "Alliance formation and war behavior,"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25(1981), pp. 581-614.53)
  7. Brett Ashley Leeds, Andrew G. Long, Sara Maclaughin Mitchell, "Reevaluating Alliance Reliability,"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44-5(2000), pp. 68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