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1번째 줄: 21번째 줄:
  
 
||<tablewidth=300><tablebordercolor=#004098> [[파일:부산광역시 위치.svg|width=100%]] ||
 
||<tablewidth=300><tablebordercolor=#004098> [[파일:부산광역시 위치.svg|width=100%]] ||
||<bgcolor=#004098><color=#ffffff> '''부산광역시의 위치''' ||
+
||<bgcolor=#004098> {{{#FFFFFF '''부산광역시의 위치'''}}} ||
  
 
[목차]
 
[목차]

2021년 11월 2일 (화) 15:21 판

대한민국 국기.svg 대한국광역시
부산광역시 휘장 White.svg
부산광역시
釜山廣域市
Busan Metropolitan City
부산광역시 지도.png
시청소재지 연제구 중앙대로 1001
하위 행정구역 15구 1군
면적 770.07㎢
인구 3,356,311명
인구밀도 4,361.63명/㎢
시장 자유민주당 글씨.png서기태 (초선)
시의회 자유민주당 글씨.png41석
미래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석
무소속1석
교육감 김석준 (재선)
국회의원 자유민주당 글씨.png18석
구청장·군수 자유민주당 글씨.png12석
미래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석
무소속1석
지역번호 051
IATA 도시 코드 PUS
ISO 3166-2 KR-26
width=100%
부산광역시의 위치

개요

한반도 동남부에 자리한 광역자치단체. 인구는 3,356,311명[1]으로 모든 광역시 중 외국인을 제외해도 유일한 300만명대 도시이다. 모든 광역자치단체를 다 합치면 경기도-서울특별시 다음 3위. 광역자치단체들 중 인구 밀도도 서울에 이어 2위이다.

대한민국 제2의 도시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직할시 · 광역시이고 국내 최대국제무역항이 있는 제1의 항구도시, 경상도 최대도시, 제1의 해양교통과 제2의 항공교통 김해국제공항[2] 타이틀 등을 보유한 도시이기도 하다. 지역 내 문화 컨텐츠로는 대한민국 최대의 영화제인 부산국제영화제를 비롯해 G-STAR, 부산국제모터쇼, 부산불꽃축제, 부산항 불꽃축제, 부산 비엔날레, 부산 원아시아 페스티벌, 자갈치 축제, 부산 해맞이 축제등이 유명하다.[3]

6.25 전쟁 때 부산은 대전, 대구에 이은 임시수도였으며[4] 임시수도 시절부터 부산 경공업의 전성기였던 1970~80년대, 민주항쟁, 1990년대 이후 주변 지방[5]에 산업 시설을 내주며 동남권을 형성해 온 파란만장한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동남쪽 해안에 있다. 동해남해가 모두 접해 있는 지리적 위치로 인해 해양 산업, 해양 교통 등이 발달하였다.

유래

부산([釜山])이란 이름이 처음 등장한 것은 조선 성종 초기이며, 이와 관련된 설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현 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에 소재한 증산(甑山)에서 유래했다는 증산설[6]과, 다른 하나는 현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소재한 자성대에서 유래했다는 자성대설이다.

부산(釜山)이라는 말을 풀이하자면 가마솥을 엎어놓은 모양인 산이라는 뜻인데, 이 산이 당시 둘 중 어떤 산을 가리키는 말이었는지가 주된 논점이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PC)여기(모바일)로. 부산이란 이름이 등장하기 전에는 동래, 독로국, 거칠산국, 갑화양곡 등의 여러 지명으로 불렸는데 몇몇 지명은 부산 안의 세부 지명으로 흔적이 남아 있다. 참고로 부산의 순우리말 이름은 가마뫼로, 일부에서 사용되고 있다.[7]

본래 경상남도 부산시였다가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에 이어 정부 직할시[8]로 승격되었으며, 1981년 4월 4일 정부(내무부) 직할 부산시에서 부산직할시로 개편되었다.[9] 이후 1995년 1월 1일 광역시 제도 도입으로 지방자치제와 함께 종전의 다른 직할시들과 함께 부산광역시로 변경되었다.

  1. 2021년 10월 기준
  2. 위치 상 밤 11시~아침 6시는 커퓨타임(야간운항통제시간)이 된다.
  3. 하지만 부산의 경우 문화재단에서 지역정부가 지원하는 재원은 몇 년째 동결된 상황이다. 수월성 영역에 한정된 지원정책이 펼쳐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4. 어찌보면 당연한게, 당시 대통령 이승만이 내려온 루트다.
  5. 김해시, 양산시 등. 울산광역시는 1962년부터 특정공업지구가 들어섬에 따라, 창원시는 1974년부터 창원국가산업단지가 개발됨에 따라 도시가 성장했다. 즉, 두 도시는 부산에 있던 산업시설이 이전해 성장한 것이 아니라 부산과는 별개로 성장했다.
  6. 현재까지의 정설이자 학계에서 가장 유력한 설이다.
  7. 한 재한 외국인이 한국의 도시 이름을 영어로 풀이해서 번역한 지도를 내놓아서 화제가 된 적이 있었는데 부산은 'Cauldron Mountain(솥산)'으로 번역되었다.
  8. 직할이란 직접 관할한다는 의미이다.
  9. 지방자치법상의 직할시 승격은 1988년에 광역자치단체를 서울시직할시를 추가하면서 성립한 것이 되지만 실질적으로 지방자치법은 지방자치에 관한 임시조치법으로 무력화되어 있었기 때문에 1981년에 명칭이 바뀐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