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대조선국 국왕}} {{분류:대조선국 왕비}}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bf1400; max-width: 400px; min-width: 400px; float: right" ! colspan="3" style="background-color: #972000; color: #ff" | <big><big>조선 왕조</big></big><br>朝鮮王朝 |-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파일:어기.png|800px]]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파일:전기1.png]] | colspan="1" width="34%"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파일:현재2.png]] |-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 #972000; color: #fff" | 어기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 #972000; color: #fff" | 조선 초기의 문장 ! colspan="1" width="34%" style="background: #972000; color: #fff" | 조선 현재의 문장 |- |- ! colspan="2" style="background:#972000; color: #fff" | 국성 | align=left | '''전주 이씨''' |- ! colspan="2" style="background:#972000; color: #fff" | 창립일 | align=left | 2022년 12월 10일 |- ! colspan="2" style="background:#972000; color: #fff" | 창건자 | align=left | [[대조선국 태조|태조]](太祖) |- ! colspan="2" style="background:#972000; color: #fff" | 現 수장 | align=left | 주상 이연 |- ! colspan="2" style="background:#972000; color: #fff" | 경칭 | align=left | 전하 |- ! colspan="2" style="background:#972000; color: #fff" | 통치 국가 | align=left | 대조선국 |- ! colspan="2" style="background:#972000; color: #fff" | 본가 | align=left | [[윈저 왕조]] |- |} ||<width=100><#aec2e5><-999> {{{+2 {{{#FFFFFF '''조선왕조 창건자 [[대조선국 태조|태조]]의 어진'''}}}}}} || ||<table align=left><table width=400><-999> [[파일:태조어진.png]] || ==[[파일:현재2.png|width=30]] '''개요'''== '''조선 왕조'''는 조선 국왕과 그 일을 이른다. ==[[파일:현재2.png|width=30]] '''상세'''== 조선 이전을 포함하여 조선의 정치인들은 대부분 실각되거나 외세에 의하여 많은 개입을 받았지만, '''조선 국왕을 포함한 역대 국왕들'''은 2014년 1월 1일 시초스티브 국왕이 '''왕조를 창건'''한 이후 오랫동안 왕실이 지속되었기 때문에 외부에 의해서도 개입이 거의 없을 정도로 조선 백성들에겐 있어서 '''절대적인 국가의 상징'''이다. 2014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28일까지, 그리고 2020년 2월 3일부터 오늘날까지 왕조가 나라를 통치한 기간은 실질적으로 '''8년''' 이상에 이른다. ==[[파일:현재2.png|width=30]] '''주거'''== * 경복궁 : 조선의 정궁(법궁)이며 가장 먼저 지어진 궁궐이자 가장 큰 궁궐이다. 경복궁은 국왕, 왕비, 대왕대비, 왕대비, 세자, 세자빈, 세손, 세손빈 등 주요 왕실 인사들이 머무르는 궐이며 근정전이 위치하여 '''정치의 중심지'''인 장소이기도 하다. * 창덕궁 : 후원을 포함해 크기가 매우크며 2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창덕궁은 출가한 왕족들이 주로 머물었으며 홍문관, 시강원, 강서원 등 주요 정치기구 및 교육기구가 설치되어있을 정도로 '''경복궁을 다음으로 위상이 높은 궁궐'''이다. * 창경궁 : 창덕궁과 붙어있는 궁궐이며 크기가 아담한 편이고 4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 경운궁 : 경운궁의 크기 또한 아담한 편에 속하며 3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초대 [[대조선국 태조|태조]]부터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까지 '''제2궁 역할'''을 해왔으나 창덕궁의 위상이 커지며 제3궁으로 위치가 밀려났다. * 경희궁 : 경희궁은 크기가 작은편에 속하며 5번째로 지어진 궁궐이다. 경희궁은 '''거처보단 온양'''으로 많이 사용되었고 있으며 이곳에서 [[의정왕후]]가 온양행중 훙서하였다. ==[[파일:현재2.png|width=30]] '''재산'''== 조선 왕실의 궁궐, 보석, 각종 역사적인 문서들은 모두 조선 국왕 재산에 속한다. 조선 왕실은 조정으로부터 일정한 예산을 형식적으로 지급 받지만, 사실상 예산 또한 국왕이 결정하기에 범위를 크게 잡으면 '''국고가 모두 국왕 재산에 속한다고 볼수 있다.''' ==[[파일:현재2.png|width=30]] '''품행'''== 조선 왕족의 품행은 '''내명부가 관장'''한다. 국왕과 왕실가족의 일상생활 거의 모든 것을 일일이 내명부가 간섭하며 왕족들은 품행에 굉장히 조심한다. 특히, 무엇을 하건 간에 일단 내명부로부터 인가(認可)를 받는 형식이 많으며, 이 같은 경우 국왕 또한 예외가 없는편이다. 내명부의 수장은 중전으로 중전의 업무중 하나가 '''왕족의 품행 관리'''라 볼수 있다. 왕실의 품행은 2020년 이전까지 자유로웠지만, 많은 스캔들이 터지자 2021년부터 왕족들의 품행이 교정되기 시작하였다. 2023년 이후에는 국조오례의를 통해 법적으로 품행 의무를 요구하며, 오늘날까지 많은 왕족들이 제한된 생활을 하고 있다. ==[[파일:현재2.png|width=30]] '''교육'''== 조선의 모든 왕족과 그의 배우자, 종친마저도 기본적인 교육을 받는편이고 이것은 성인식 이후에도 받는편이다. 다만 까다롭진 않아 궁 내부에서 조용히 교육이 진행되지만 조선의 왕세자, 왕세손은 다른 케이스이다. 홍문관 관료들을 통하여 창덕궁에서 특별한 수업을 받으며 책봉식때는 '''모든 대신들 앞에서 시험'''을 치루기 때문에 늘 긴장해야한다. 또한 다른 왕족들은 품위 교육 정도만 받지만 세자와 세손은 '''정치, 경제, 문화, 외교, 유교 경전''' 등 다양한 내용을 수업 받고 시험을 치루기 때문에 고달픈 편이다. 왕위에 오르면 경연에 참여해야하지만 1달에 1번 있을까 말까라서 왕위에 오른뒤에는 '''비교적 편한편'''이다. ==[[파일:현재2.png|width=30]] '''기록'''== * 최장기 재위는 3대 [[대조선국 성종|성종]](2023년 3월 10일 ~ 2023년 7월 1일, '''114일''')이다. * 가장 오래 산 국왕은 역시 제일 오래 재위한 3대 [[대조선국 성종|성종]](109)이다. * 최단 재위는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2023년 2월 10일 ~ 2023년 3월 10일, '''29일''')이다. * 최고령 즉위는 4대 현 주상 이연'''(73)'''이다. * 가장 많은 부인(왕후와 빈, 자녀를 두었으나 첩지를 받지 못한 여인까지 모두 포함)을 둔 국왕은 초대 [[대조선국 태조|태조]]와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으로 각각 '''3명'''을 두었다. * 후계자로 가장 오래 있었던 국왕은 4대 현 주상 이연. 2023년 3월 26일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사실상 3월 10일부터 왕세자 생활을 하였기 때문에 '''114일'''간 왕위 후계자로 있었다. * 조선 국경을 넘어 외국에 나갔던 경험이 없는 국왕은 초대 [[대조선국 태조|태조]]뿐이다. * 국왕이 되기 전에 대리청정을 해본 국왕으로는 2대 [[대조선국 인종|인종]] 뿐이다. * 결혼기간이 가장 긴 국왕은 현 주상 이연과 [[의정왕후]]로 '''132일'''이다. * 폐위 당한후 복권된 왕족은 [[신의왕후]]와 [[휘빈이씨]]이다. * 후궁이 왕비가 된 사례는 2번으로 태조비인 [[신덕왕후]]와 인종비인 [[현덕왕후]]이다. * 왕이 되지 못한 세자, 세손, 원자, 원손은 [[이벽]]과 [[효문 세자]]이다. * 왕비가 되지 못한 세자빈은 2명으로 [[현빈심씨]]와 [[휘빈이씨]]이다. ==[[파일:현재2.png|width=30]] '''왕실 구성원'''==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82c87><tablebordercolor=#082c87><rowbgcolor=#082c87> {{{#ffffff '''[[대조선국 태조|태조]]의 왕실구성원''' }}} || || 조선 국왕 [[대조선국 태조|태조]] || || 조선 정비 [[신의왕후]] || || 조선 계비 [[신덕왕후]] || || 조선 왕대비 [[의혜왕후]] || || 조선 왕세자 [[대조선국 인종|이경]] || || 조선 왕세자빈 [[휘빈이씨|세자빈 이씨]] || || 조선 왕세자빈 [[정안왕후|세자빈 서씨]] || || 조선 왕세손 [[대조선국 성종|이제]] || || 조선 왕세손빈 [[원경왕후|세손빈 토씨]]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82c87><tablebordercolor=#082c87><rowbgcolor=#082c87> {{{#ffffff '''[[대조선국 인종|인종]]의 왕실구성원''' }}} || || 조선 국왕 [[대조선국 인종|인종]] || || 조선 정비 [[정안왕후]] || || 조선 계비 [[현덕왕후]] || || 조선 왕대비 [[신덕왕후]] || || 조선 왕세자 [[대조선국 성종|이제]] || || 조선 왕세자빈 [[원경왕후|세자빈 토씨]] || || 조선 왕세손 이연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82c87><tablebordercolor=#082c87><rowbgcolor=#082c87> {{{#ffffff '''[[대조선국 성종|성종]]의 왕실구성원''' }}} || || 조선 국왕 [[대조선국 성종|성종]] || || 조선 왕비 [[원경왕후]] || || 조선 대왕대비 [[신덕왕후]] || || 조선 왕대비 [[현덕왕후]] || || 조선 왕세자 이연 || || 조선 왕세자빈 [[의정왕후|세자빈 송씨]] || || 조선 부마 영양위 이광 || || 조선 군주 [[정순 공주|정순 군주]] || || 조선 군 진평군 || || 조선 군 경원군 || || 조선 군부인 해주군부인 정씨 ||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82c87><tablebordercolor=#082c87><rowbgcolor=#082c87> {{{#ffffff '''주상 이연의 왕실구성원''' }}} || || 조선 국왕 이연 || || 조선 왕비 [[의정왕후]] || || 조선 왕세자 [[효문 세자]] || || 조선 왕세자빈 의빈 심씨 || || 조선 부마 영양위 이광 || || 조선 공주 [[정순 공주]] || || 조선 대군 경원대군 || || 조선 대군부인 해주부부인 정씨 || || 조선 부마 덕흥군 || ==[[파일:현재2.png|width=30]] '''역대 국왕과 왕비'''== {{분류:대조선국 국왕}} {{분류:대조선국 왕비}} ==[[파일:현재2.png|width=30]] '''역대 추존국왕과 추존왕비'''== {{분류:대조선국 추존국왕}} {{분류:대조선국 추존왕비}} ==[[파일:현재2.png|width=30]] '''역대 대비'''== {{분류:대조선국 왕대비}} {{분류:대조선국 대왕대비}} ==[[파일:현재2.png|width=30]] '''역대 세자와 세자빈'''== {{분류:대조선국 왕세자와 왕세손}} {{분류:대조선국 왕세자빈과 왕세손빈}} ==[[파일:현재2.png|width=30]] '''역대 대리청정'''== {{분류:대조선국 국왕 대리청정}}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대조선국 국왕 (원본 보기) 틀:대조선국 국왕 대리청정 (원본 보기) 틀:대조선국 국왕 수렴청정 (원본 보기) 틀:대조선국 대비 (원본 보기) 틀:대조선국 대왕대비 (원본 보기) 틀:대조선국 왕비 (원본 보기) 틀:대조선국 왕세자빈과 왕세손빈 (원본 보기) 틀:대조선국 왕세자와 왕세손 (원본 보기) 틀:정당박스 (원본 보기) 조선 왕조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