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개요== [[모세]]가 [[야훼]]로부터 받은 10가지 계율이기에 '십계명'으로 불린다. [[기독교]]에서는 이 십계명을 위반한 여부를 가지고 대죄이냐 소죄이냐를 판별하기도 한다. 또한, [[아브라함]]이나 [[야곱]] 등이 살았던 족장시대에 [[야훼]]의 말씀을 기록한 성문화된 경전은 존재하지 않았으므로[* 에녹이 에녹서를 썼다고 하나 이는 외경으로 취급받는다.] 십계명은 '말씀'을 담은 최초의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원래 모세가 40일 동안 시내 산에 있으면서 깨끗한 석판에 하느님의 말씀을 적어서, 기쁘게 들고 산에서 내려왔다. 그런데 내려와 보니 자기 형 [[아론]]과 백성들이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숭배하고 있는 모습이 눈에 들어와서 화가 난 모세는 석판을 던져서 깨버렸다. 이후 모세가 자기 형 아론에게 왜 이런 상황이 발생했냐고 따지니 아론은 할 말이 궁색해서 사람들이 인도할 신을 만들어 달라고 조르길래, [[부자|금을 가진 사람들]]에게 청해 [[금]]을 모아서 불에 던졌더니 금송아지가 나오더라고 씨알도 안 먹힐 변명을 했다. 이에 제대로 열받은 모세와 레위인[* 레위 지파가 제사장 지파가 된 이유를 이 일에서 찾는 경우가 있다.]들은 우상을 숭배한 3,000명 가량의 사람들을 숙청해 버린다. 그 후에 모세가 시나이 산에 올라가서 다시 받았다고 한다. 종교적 관점을 제하고 봐도 모세의 행동은 충분히 정당성이 있다. 기껏 고생하면서 하느님의 말씀(=타락하지 않기 위한 행동지침)을 곰곰이 생각하며 새겼건만, 그 사이를 참지 못한 백성들이 그새 금송아지를 만들어서 우상 숭배를 하고 있으니 [[예수의 성전 정화|화가 머리 끝까지 치미는 것도]] 이상한 일은 아니다. 실제 성서에서는 단순히 석판을 깨고 군사를 모아 우상 숭배자들을 몰살했다는 기록만 남아있지만, 영화 십계에선 한 술 더 떠, 십계명이 적힌 석판을 금송아지에 집어 던지자 금송아지 주변에 있던 땅이 갈라지는 것으로 묘사했다. 원래 성경에 나오는 내용이지만 [[개신교]]의 경우 성경을 출판할 때에 따로 발췌하여 부록으로 수록하는 경우가 많으며, [[가톨릭]] 성경에는 부록으로 발췌하진 않고 대신 기도서에 들어있다.[* 이는 기도서의 유무에서 비롯된 차이인데, 가톨릭은 개신교보다 정형화된 기도문이 많기에 따로 기도서를 발행하고 십계명도 여기에 적은 것이다. 즉 개신교 입장에서는 정형화된 기도문이라고 해봐야 어차피 주기도문, 사도신경 정도가 전부이기에, 성경의 부록으로 합쳐서 휴대성을 극대화한것.] 원래 성경 겉표지 안쪽에 십계명을 넣은 이유 자체가 '''예배 때 외우라고''' 있는 것이고, 실제로 미국, 영국, 네덜란드 등의 보수적인 장로교나 개혁 교회에서는 오전 예배 시작 때 이것을 낭독하며, 흔히 생각하는 사도신경은 저녁 예배 때 낭독한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예배 순서에서 십계명을 외우는 개신교는 사실 별로 없다. 가톨릭에서도 가톨릭 기도서 내 주요 기도문으로 십계명이 실려 있다. 타 종교에서 비슷한 개념을 들자면, [[불교]]에서 재가인(평신도)이 지켜야 할 규정인 [[5계|오계]]가 있을 것이다. 음주를 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것도 평신도에게는 완화되어 술에 취하지 마라고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다. 물론 승려들은 술 마시지 마라고 해석한다.] 오계의 내용은 십계명에서도 비슷한 규정을 찾을 수 있다. 오계 이외에도 팔계, 십계 등도 불교에 있으나 너무 빡세서 잘 안 쓰인다. ---- 십계명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