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개요== {{{+1 神聖冒瀆 / sacrilege, blasphemy,<ref>그리스어 βλασφημία(블라스페미아)에서 유래했다. 원래 '불길한 말', '불경한 말'이라는 뜻이었으나, 의미가 확장되어, 모독, 신성모독 등도 의미하게 되었다.</ref> desecration}}} 어떤 [[종교]]의 [[신]]을 [[모독]]하는 모든 종류의 행위를 의미한다. 그 개념상 신을 섬기는 모든 종교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단어의 유래가 중세 [[기독교]] 사회이기 때문에 주로 그리스도교에서 많이 사용한다. [[가톨릭]]에서는 공식적으로는 '독성죄'라고 한다. [[불교]]에서 이와 비슷한 단어를 찾는다면 '불성모독'이라는 단어가 있다. ==개념== 인류와 종교는 먼 옛날부터 함께했듯이 신성모독이라는 개념도 역사적으로는 상당히 오래되었다. 다만 사람마다 기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신성모독은 현대에도 끊임없는 논란에 시달리고 있는 주제이며 각종 예술작품이나 대중매체에서 종교와 관련된 소재를 묘사했을 때 그 표현 방식과 표현 강도를 두고 어디까지가 자유로운 해석이며 어디부터가 신성모독인지에 대해 의견이 갈리는 것이 대표적이다. 신성모독의 개념은 종교마다 다를 수 밖에 없는데 애초에 신성이라는 것 자체에 대한 정의부터가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보편적인 요소들이 발견되는 이유는 종교와 신성을 주장하는 존재가 모두 인간들이기 때문일 것이다. 같은 인간들의 주장이니 당연히 보편적인 요소들이 생길 수 밖에 없다. 대체로 [[신전]], [[사원]], [[경전]], [[성상(조형물)|성상]] 등과 같은 해당 종교의 상징물을 파괴하거나 훼손하는 경우는 설사 그 종교의 신자가 아니더라도 해당 종교의 입장에서 분명한 신성모독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일이라는 것을 쉽게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종교별로 매우 독특한 행위를 신성모독으로 받아들이는 부분들도 있다. 서로 모순되는 주장을 하는 모든 종교들은 기본적으로 서로 신성모독을 한다. [[불교]]의 자력구원은 [[기독교]]에서는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신성모독이며<ref>[[기독교]]에선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고 믿는다.</ref> '[[예수]]=야훼'라는 기독교의 가장 중심이 되는 믿음, 즉 [[삼위일체론]]은 유대교 및 이슬람에서는 중대한 신성모독이 된다.<ref>이슬람에서는 예수는 이미지와는 달리 [[무함마드]] 직전의 예언자로써 나름 존중하지만 예언자일 뿐 하느님과 같은 존재는 아니며, 유대교에서 예수는 [[메시아]]를 참칭하는 사기꾼에 불과하다.</ref> ==역사== ==현황== [[분류:종교]][[분류:금기]]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일반 기타 (원본 보기) 모듈:Check for unknown parameters (원본 보기) 신성모독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