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언어}} ||||<table align=right><:> {{{+3 '''廣東話 / 广东话'''}}} || ||||<:> {{{+1 '''광동어'''}}} || ||<:> 주요사용국 ||<#ffffff> '''[[중국]], [[싱가포르]]''' || ||<:> 원어민 ||<#ffffff> '''약 8,400만 명''' || ||<:> 어족 ||<#ffffff> '''중국티베트어족'''<br/>한어파<br/>중국어<br/>광동어'''|| ||<:> 문자 ||<#ffffff> [[한자]] || ||||<:> '''언어 코드''' || ||<:> ISO-639-3 ||<#ffffff> '''yue''' || ||<-2> '''주요 사용 지역''' || ||<-2> 동아시아(중국 광둥성) || <youtube>HsekaJfmLHU</youtube> 광동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7조[* 이 사람은 광동어 문어체(표준중국어와 동일)를 직독하고 있다.][* [[한국어]] 해석: 만인은 법 앞에 평등하다. 또한 법적으로 평등한 보호를 받으며 어떠한 차별도 받지 아니할 권리가 있다. 인간은 평등한 보호를 받을 권리가 있으며, 본 선언을 위반하거나 그런 차별을 선동하는 행위로부터 보호받을 권리가 있다.] {{목차}} ==개요== [[중국]] [[광둥성]] 중서부 지역, [[홍콩]], [[마카오]]에서 주로 사용하는 [[중국어/방언|중국어의 방언]]이다. 말이 방언이지 [[표준중국어]]와는 말이 통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론언어학]]적으로는 그냥 다른 언어로 본다. 이론언어학 전공 언어학자들이 언어와 방언을 나누는 기준은 [[상호 의사 소통성]]이며 사회정치학적 요인은 배제한다. 따라서 실제 통용되는 구분과 항상 일치하지는 않는다. 사회정치학적 요소로 인해 [[방언연속체]]가 다른 언어로 구분되기도 하며, 다른 언어가 방언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전자의 예시는 크로아티아어-보스니아어-세르비아어를 들 수 있고, 후자의 예가 바로 보통화-광동어의 예이다. 이러한 이유로 광동어는 '[[언어란 육군과 해군을 가진 방언이다]]' 이론의 대표적인 예시로 소개되곤 한다. [[중화권]] 내 대표적인 사용 지역은 [[중국]]의 [[광둥성]] 중서부 지역, [[광시 좡족 자치구]] 일부 지역, [[중국]]의 [[특별행정구]]인 [[홍콩]], [[마카오]]가 있다. 그리고 비중화권 광동어 사용 지역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미국]]의 [[캘리포니아]], [[워싱턴주|워싱턴 주]], [[뉴욕주|뉴욕 주]], [[캐나다]]의 [[브리티시컬럼비아주|브리티시 컬럼비아]] [[밴쿠버]], [[리치먼드(캐나다)|리치먼드]], [[빅토리아(캐나다)|빅토리아]], [[온타리오주|온타리오]] [[토론토]], [[호주]] [[빅토리아주|빅토리아]] [[맬버른]], [[뉴사우스웨일스주|뉴 사우스 웨일스 주]] [[시드니]] 등에 있는 [[광동인]], [[홍콩인]], [[마카오인]]이 많이 사는 차이나 타운 등에 분포한다. 예로부터 [[광둥성]]의 중심이었던 [[광저우시|광저우]] 방언이 가장 보편적이었으나, 지금은 [[광저우시|광저우]]는 [[표준중국어]]가 공용어로 쓰이기 때문에 광동어 중심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홍콩]] 방언이 더 알려져 있다. 물론 [[광저우시|광저우]]와 [[홍콩]]은 120km로 생각보다 가깝기 때문에 언어 차이는 적다. 오히려 [[주강]]을 중간에 두고 떨어진 [[마카오]]와 [[홍콩]]의 광동어의 차이가 생각보다 크다. 그리고 [[선전시|선전]]과 [[주하이시|주하이]]는 외지인의 유입으로 인해 광동어 사용 비율이 낮다. ==각주== {{각주}} [[분류:개별 언어]]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색 (원본 보기) 틀:언어 (원본 보기) 틀:일반 기타 (원본 보기) 모듈:Check for unknown parameters (원본 보기) 광동어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