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wiki style="border-width:3px 1px 1px;border-style:solid;border-color:darkred solid gray;padding:12px" {{{+1 '''이 문서는 아라시아 공화국에 대한 공식문서입니다.'''}}}[br][br]무단 복제 및 수정 시 처벌 될 수 있습니다.}}} '''대일청구권 최종합의를 위한 협의'''는(공식명칭: '''아라시아 공화국의 대일청구권 최종합의를 위한 협의''') 아일협정 때 청구권 관련문제의 최종적인 해결을 유보시켰던 아라시아 공화국 정부와 일본 정부가 아라시아 공화국의 대일청구권에 대해 최종적으로 합의하기 위해 1965년부터 꾸준히 열리는 회담이다. 최초의 회담은 [[아일기본조약|아일협정]]이 체결된 이후 1965년 [[사토 에이사쿠]] 일본 총리의 방아로 [[사사오 토키노리]] 대통령과의 최초의 청구권 회담이 이루어졌다. 그 후 성사와 결렬을 반복하면서 2019년까지 총 23차에 걸쳐 청구권 회담이 성사되었지만 결렬되었다. 최근 2019년 7월 15일 [[제23차 대일청구권 최종합의를 위한 협의|제23차 아라시아 공화국의 대일청구권 최종합의를 위한 협의]]가 도쿄에서 열렸으며 이를 위해 [[아사구치 아키야]] 외무차관을 대표로 하는 대표단이 방일하여 아베 총리와 면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라시아 공화국 대표단은 35억 달러(2019년 7월 환율로 3,769억 엔) 배상을 요구했지만 일본 대표단은 10억 엔 배상을 제안했다. 협의가 도저히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자 협상 도중 [[아사구치 아키야]] 외무차관을 대표로 하는 아라시아 공화국 대표단이 회담장을 박차고 나가버리면서 또 결렬되었다. 아라시아 공화국 공군 소속 F-35A 편대가 일본의 혼슈지방과 규슈지방을 가로질러 비행한 것을 두고 일본이 35억 달러 배상과 대일청구권 협상에 응하라는 요구라고 해석되고 있다. [[분류:아라시아 설정]] 대일청구권 최종합의를 위한 협의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