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대조선국 국왕}} {{분류:대조선국 왕세자와 왕세손}} {{분류:대조선국 상왕}} ||<width=100><#972000><-999> {{{+2 {{{#ffffff '''조선 제6대 국왕''' }}}}}} || ||<width=100><#972000><-999> {{{+1 {{{#ffffff '''영조 | 英祖''' }}}}}}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999> [[파일:영조어진.png]] || ||<-3><#972000> {{{#ffffff 출생}}} || 2023년 8월 26일 [br] {{{-1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교태전 }}} || ||<-3><#972000> {{{#ffffff 즉위}}} || 2023년 8월 28일 [br] {{{-1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근정전 }}} || ||<-3><#972000> {{{#ffffff 사망}}} || 2023년 12월 2일 (향년 57세) [br] {{{-1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흥복전 }}} || ||<-3><#972000> {{{#ffffff 능}}} || '''선릉(宣陵)''' || ||<-3><#972000> {{{#ffffff 재위기간}}} || 2023년 8월 28일 ~ 2023년 11월 30일 (95일) || ||<-3><#972000> {{{#ffffff 본관}}} || 전주 이씨 || ||<-3><#972000> {{{#ffffff 휘}}} || 역(繹) || ||<-3><#972000> {{{#ffffff 부모}}} || 부왕 [[대조선국 문종|문종]], 모후 [[의성왕후]] ||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없음 || ||<-3><#972000> {{{#ffffff 배우자}}} || 소헌왕후, 대왕대비 이씨 || ||<-3><#972000> {{{#ffffff 후궁}}} || 숙의 장씨, 숙원 김씨, 혜빈 고씨 || ||<-3><#972000> {{{#ffffff 자녀}}} || 계성군, [[대조선국 헌종|헌종]], 휘정공주, 인현군 || ||<-3><#972000> {{{#ffffff 종교}}} || 유교 || ||<-3><#972000> {{{#ffffff 신장}}} || 173cm || ||<-3><#972000> {{{#ffffff 묘호}}} || '''영조(英祖)''' || ||<-3><#972000> {{{#ffffff 시호}}} || '''승천경예덕문영헌숙정인순성무장효대왕(承天敬禮德文英憲肅靖仁純成武莊孝大王)''' || ||<-3><#972000> {{{#ffffff 연호}}} || '''후인(厚仁)''' || '''조선의 제6대 국왕.''' 묘호는 영조(英祖), 시호는 승천경예덕문영헌숙정인순성무장효대왕(承天敬禮德文英憲肅靖仁純成武莊孝大王), 휘는 역(繹). 연호는 후인(厚仁). [[대조선국 문종|문종]]과 승은상궁 백씨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태어나자마자 어머니 [[의성왕후]]는 승은상궁에서 왕후로, 자신은 왕세자(王世子)에 책봉되었다. 당시 국왕인 [[대조선국 문종|문종]]은 병세가 날이 갈수록 안 좋아져 선위를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빠르게 중궁전과 동궁전을 채웠다. 결국 예상대로 부왕 [[대조선국 문종|문종]]의 선위로 '''5세'''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역사상 가장 최연소'''로 즉위한 국왕이다. 할머니 [[인현왕후]]의 보호 및 제2차 수렴청정으로 성년이 될때까지 왕권을 안정되었다. 친정을 시작한 이후에는 선왕인 [[대조선국 명종|명종]]과 [[대조선국 문종|문종]]이 쌓은 기반을 토대로 조선을 엄청나게 회복시키며 '''중흥기(中興期)'''를 이끌었다. 이후 강력한 왕권을 토대로 조선의 내정을 안정시켰다. 하지만 재위 말, 강력한 왕권과 오랜 재위기간임에도 불구하고 [[폐세자 모의 사건]]와 [[이산반정|헌종반정]]으로 인해 ''' 재위 95일차, 최초로 반정으로 인해 왕위에서 쫒겨나고''' 상왕으로 물러나 화병으로 '''급사'''해버렸다. '''영조는 조선 역사상 2번째로 오래 재위하였다. 또한 역사상 가장 많은 부인과 자녀를 둔 국왕이다.''' --왕비 2명, 후궁 3명, 자녀 4명-- ==[[파일:조선왕조.png|width=30]] '''업적'''== '''〈 정치 〉''' ・ 의정부서사제 도입 ・ 경국대전 개정 ・ 효율적이며 실용적인 관직 정리 ・ 내시부 설치 ・ 경복궁과 종묘 중수 '''〈 경제 〉''' ・ 경제서책 편찬 ・ 경제와 토지 개혁 '''〈 문화 〉''' ・ 인생서버 재오픈 ・ 마인크래프트 문명 재오픈 ・ 다채로운 예술 이벤트 개최 ・ 조선문화축전 개최 ・ 종묘사직대제 부활 '''〈 교육 〉''' ・ 경연 도입 '''〈 종교 〉''' ・ 후인 박해 ・ 종교의 자유 보장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대조선국 국왕 (원본 보기) 틀:대조선국 왕세자와 왕세손 (원본 보기) 분류:대조선국 국왕 (원본 보기) 분류:대조선국 상왕 (원본 보기) 분류:대조선국 왕세자와 왕세손 (원본 보기) 대조선국 영조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