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작성중}} {{월본/주요도시}} <span style="font-size:1.5rem; font-weight:600;">선전부</span><span style="margin-left:10px; font-size:1rem; font-weight:600;">深圳府<br>Shenzhen Metropolitan City </span> == 개요 == '''선전부'''는 [[월본]] 동북부(도후)지방의 광역시급 도시이다. 월본어로는 '선젼'으로 읽는다. 월본 국내에서 4번째<ref>첫번째는 [[도유수도시]], 두번째는 [[와가사부]], 세번째는 [[미소노부]]</ref>로 큰 도시이며 인구는 [[만칸특별행정구|만칸]] 보다 적지만 동북지방의 최대도시로 꼽힌다. 월본 동북부 지방은 산이 많은 지형으로, 이 도시 역시 산과 산 사이로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관본도 동부해안에 위치해 있지만 해협을 마주보고 동쪽에 마카이섬이 가로 막고 있어 쓰나미로부터 피해가 덜한 지역이다.<ref>다만 쓰나미 높이에 따른 피해는 논외</ref> == 역사 == 선전부가 위치한 지역은 동북부지방 중에서도 그나마 평지가 많은 곳이다. 고대 아카사 원주민들의 부락이 발견되고 남북국 시대에 이곳에서부터 군사가 지휘되었다는 문서가 발견되면서 선전이 원주민의 수도로서 역할을 했다고 알 수 있다. 전국시대에 접어들며 이곳에서 교도성이 크게 번성하였고 막부와도 크게 대립하지 않고 교류를 이어왔다. 남해세력과 멀리 떨어져 있어 비교적 온건한 정치가 이뤄졌다. 태평양 전쟁 중에는 미군의 주요 침략지 중 하나였다. 때문에 마카이섬과 북부지방에서 이곳으로 피난을 왔다가 발이 묶인 피난민들이 많다. 피난민이 정착하며 복잡한 도시가 형성된다. 군부가 정권을 장악했지만 변방에 불과했던 선전은 큰 영향이 없었다. 오히려 구로다 시기에 경제개발과 함께 서부공업단지, 지하철 건설, 아파트 단지 보급 등 생활문화 여건이 크게 개선되었다. 반면 서민층과 판자촌 지역 사람들은 개발에 밀려 길거리에 나앉을 상황에 놓이면서 크고 작은 봉기가 일어났다. 공업지구에서는 열악한 노동여건에 반발하며 시위가 일어났고 이를 진압하던 [[월본 경찰|전투경찰]]간의 마찰이 빚어졌다. 그러나 [[구로다 암살사건|구로다가 암살]]로 정부가 혼란에 빠지자 분위기는 잦아들었다. 국내에서 여러 사건이 발생하자 선전시민들은 군부의 철폐를 강력히 주장하며 대규모 시위에 나섰다. [[선전 민주화 항쟁|선전에서 일어난 민주화 항쟁]]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위기에 빠지자 모시는 도시를 봉쇄하여 모든 연락수단을 차단한다. 이로인해 이듬해 [[수도 항쟁]]의 발판이 되었고 결국 군부가 종식되었다. 선전이 흘린 피와 눈물로 민주화를 쟁취해냈고 노동계와 재야의 진보정치계가 세를 확장하고 굳히는데 성공했다. == 선전부의 주요 지역 == * 남구(구도심) ** 모량 **: 해안가 암반산, 절벽등지에 복잡하게 형성된 피난민 이주지역이다. ** 판락 **: 암반산과 바다 사이 좁은 대로 연선으로 형성된 번화가이다. 선전역 북쪽 가까이에 있어 역전거리로 유명하다. * 중구 ** 성정 **: 선전 최대 번화가이다. 고층빌딩이 오거리를 중심으로 경쟁하고 있으며 유흥가와 문화시설이 모여있다. ** 구전 **: 세계평화유지군 평화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 북구 ** 소윤 **: 서북쪽 주거지역이다. ** 산탄 **: 서쪽에 위치한 공업지역이다. * 교도구 ** 동산 **: 북쪽의 번화가이다. 고(古)성인 교도성이 위치해 있고 대규모의 시장과 관청이 위치해있다. ** 수천지 **: 온천지역으로 유명하다. * 수천구 ** 관마 **: 미군부대 철수 이후 조성된 주거단지이며 관동도청이 위치해있다. * 동여구 ** 암산 **: 북쪽의 수생천 삼각주에 세워진 신도시이다. ** 산와 **: 암산과 마찬가지로 수생천 삼각주에 세워진 신도시이다. ** 수지 **: 삼각주 하류에 매립된 지역으로 선전국제금융지구가 위치해있다. * 수생구 ** 에어포트시티 **: 미공군 비행장이었던 지역을 문화시설과 고층 주거시설로 탈바꿈한 지역이다. * 부조대구 ** 부조대 **: 선전 동쪽에 마련된 신도시이다. ** 공항신도시 **: 공항섬 매립 개발과 함께 마련된 신도시이다. == 교통 == === 항공교통 === * [[선전국제공항]] *: 선전국제공항은 국내에서 3번째로 규모가 큰 공항이다. 미주에서 오는 항공기가 이곳에서 경유하는 경우가 많고 월본 동북부 거점 공항으로 꼽힌다. 4000m급 활주로 2면이 있다. === 철도교통 === {{선전부 도시철도 노선}} 1970년대 경제개발과 도시개발에 더불어 좁고 굽이치는 시가지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하철을 계획한다. [[선전메트로 1호선|1호선]]은 선전역에서 교도성을 이었고 양끝으로 신도시와 구도심으로 추가연장했다. [[선전메트로 2호선|2호선]]은 도시를 동서로 가로지르며 신도시들을 이어주고 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한다. == 교육 == === 대학 === * 동북대학 * 한설대학 * 선전대학 * 신설교육대학 == 각주 == [[분류:월본]]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선전부 도시철도 노선 (원본 보기) 틀:월본/주요도시 (원본 보기) 틀:작성중 (원본 보기) 선전부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