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개요== [[본처]]([[정실부인]]) 외에 데리고 사는, 통상적으로 정실부인보다 신분이 낮은 여자다. 소실(小室), 측실(側室), '작은집'으로도 불리는데 [[동양]]에서 [[황제]]나 [[왕]]의 첩인 경우는 대체로 [[후궁]]이라고 칭한다. 본부인의 입장에서 남편의 첩은 [[순우리말]]인 '''시앗'''이라 부른다. 이런 오래된 표현이 잘 남아있는 속담 중에는 '시앗 싸움에 요강장수'나 "시앗을 보면 길가의 돌부처도 돌아앉는다" 같은 표현이 있다. 본부인의 자식 입장에서는 '서모(庶母)' 혹은 작은어머니라고 부른다. 반대로 측실 소생의 자식은 본부인을 [[적모]] 혹은 큰어머니, 그렇게 부르는 것을 허락받지 못하면 그냥 '마님'으로 불렀다. 정식 부인과 달리 첩은 '혼인한다'기보다는 '들인다', '데려온다'는 확연히 급이 낮은 표현을 쓰고, 첩을 들이는 것을 '축첩'(蓄妾)이라 하며, 처와 첩을 합쳐서 [[처첩]]이라고 부른다.[* 속칭 '[[세컨드]]'라고도 부르지만, 사실 영어로 second wife는 어디까지나 [[이혼]]이나 [[사별]] 후 두 번째로 맞이한 정식 아내로서, 말 그대로 '후처(後妻)'를 뜻하기에 첩과는 다르다. 그러나 현재는 사회통념적으로 애인이나 부인 이외의 [[외도]] 상대를 이르는 외래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래 첩은 신분사회에서 계급간의 계승권 구분을 위해 존재한다. 첩 소실의 자식은 적자에 비해 한 단계 낮은 대우를 받는다. 이를테면 * 첩이 낳은 자식은 본처 자식보다 낮은 신분으로 분류해서 가문을 상속받지 못한다. 대개 첩은 여자의 신분이 낮은 경우이다.[* 평민 신분인 첩이 낳은 자식을 '[[서자]]', [[노비]] 신분인 첩이 낳은 자식을 '얼자'라고 하며 이 둘을 뭉뚱그려 [[서얼]]이라고 한다.] 조선은 왕의 후궁을 제외하면 평민 이하의 신분이었고, 옆나라 일본은 귀족 출신 여성들도 많았다.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도 못했던 [[홍길동]]이 이런 경우다. * (신분사회가 아니더라도) [[정략결혼]] 등의 이유가 있을 때 처의 신분에 따른 우대 방법의 하나다. 가령 남편이 신분이 낮은 여성을 사랑하게 되어 결혼하고 싶은데, 정략결혼한 본처가 무시할 수 없는 정치적 입지를 가지고 있다면 [[이혼]]이 힘들어지니 사랑하는 여자에게는 첩의 지위를 주어 격차를 명확히 해두는 것. 조선 [[정조(조선)|정조]]의 경우 후궁 [[의빈 성씨]]와의 로맨스가 유명하지만 어디까지나 정실은 [[효의왕후]]였다.[* 덧붙여 아무리 대외적으로 정실을 존중해준다고 해도 현실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은 만큼 정실과 첩 사이에 감정의 골이 생기는 경우가 많았는데, 의빈 성씨는 항상 효의왕후에게 깍듯했고 효의왕후도 그런 의빈을 많이 배려해주어 둘의 남편인 정조도 신기해했다고 한다.][* 다만 이런 것도 본처의 신분이 남편보다 낮거나 최소한 동등할 때 얘기지 남편보다 신분이 높으면 첩을 들이는 것 자체가 어림도 없는 소리였다. 조선시대 [[공주]]의 남편인 [[부마]] 같은 경우는 축첩은 물론이고 재혼까지 법으로 금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하지 말라는 건 꼭 하는 인간이 어디에나 있는만큼, [[효정옹주]]의 남편 조의정은 간도 크게 첩을 두었다가 들키는 바람에 첩은 매를 맞아 죽고 조의정은 옹주의 아버지 중종, 오라비들인 인종과 명종의 눈 밖에도 나게 된다. 그나마 부마가 아내를 사별한 뒤에 정실부인이 아닌 첩을 두는 것은 적당히 눈감아줬다고 하는데, [[영혜옹주]]의 남편이었던 [[박영효]]가 이런 사례. 고작 12살에 결혼한 지 겨우 몇 달 만에 영혜옹주가 죽는 바람에 평생 첩만 둘 수밖에 없었고, 이 때문에 자식들도 모두 [[서자]]로 호적에 올랐다.] 시대와 국가에 따라서 첩의 자식의 대우는 상당한 격차를 보인다. 이를테면 [[중국]]에서는 한국보다 적서차별이 상당히 느슨했다. 또한 고려시대에는 서자의 차별이 훨씬 더 적었다. 자녀가 없는 [[적모]]가 서자를 친자식처럼 돌봐주기도 했다. 선조의 정실 왕후였던 [[의인왕후]]가 [[임해군]], [[광해군]] 두 형제를 그렇게 대했다.[* 삼국지에서 [[정부인]]-[[조앙]]이 그러하였고, 영조의 정실 왕후인 [[정성왕후]]도 서자인 [[사도세자]]를 친자식처럼 대했다.] [[분류:가족]][[분류:한자어]]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목차 (원본 보기) 첩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