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언어}} ||||<table align=right><:> {{{+3 '''עברית'''}}} || ||||<:> {{{+1 '''히브리어'''}}} || ||<:> 주요사용국 ||<#ffffff> '''[[이스라엘]]''' || ||<:> 원어민 ||<#ffffff> ''' 약 500만 명''' || ||<:> 어족 ||<#ffffff> '''아프리카아시아어족[br]셈어파[br]서셈어군[br]중부셈어[br]북서셈어[br]가나안어[br]히브리어'''|| ||<:> 문자 ||<#ffffff> [[히브리 문자]] || ||||<:> '''언어 코드''' || ||<:> ISO-639-1 ||<#ffffff> '''he''' || ||<-2> '''주요 사용 지역''' || ||<-2> 중동(이스라엘) || {{목차}} ==개요== '''히브리어'''는 [[유대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에 속한다. 문자는 [[히브리 문자]]를 사용한다. [[이스라엘]]의 공용어이다. 2000여 년 이상 [[유대교]]의 언어로서 [[히브리 성경]]([[타나크]])이나 미슈나 등의 연구, 종교의식, 기도, 또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서로 떨어진 유대인 공동체 사이의 소통 수단에서나 사용하던 과거 [[유대인]]들의 언어를 근대에 와서 '엘리에제르 벤예후다(אֱלִיעֶזֶר בֶּן־יְהוּדָה, Eliezer Ben-Yehuda, 1858–1922)'가 부활시킨 언어이다. 이 언어의 이름인 '히브리(עִבְרִי / ʿivrí)'는, 기원전 [[유프라테스 강]]을 넘어 [[팔레스타인]] 지방으로 이주해온 사람들을 '[[히브리인]]'이라 불렀던 것에서 유래한다. 기원전 2000년경, [[가나안]](현재의 팔레스타인 및 이스라엘 지역) 지역으로 이주했다고 하는 아브라함 일족과, 그 자손들을 일러 '히브리인'이라 한 것에서,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히브리어'로 부르게 된 것이다. 히브리어는 [[아랍어]]와 비슷하게 문장을 쓸 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쓴다. [[모음]]을 나타내는 부호가 있지만 실생활에선 성경, 어린이들과 초급자의 교육용 서적, 혹은 읽기 힘든 [[외래어]]나 상품명 등의 [[고유명사]]를 표기하는 때 외에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때문에 히브리어를 읽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익숙해질 필요성이 있다. 그런 이유는 사실 히브리어의 문자 체계는 애초에 모음을 표기하지 않았고 언어의 특성 상 그래도 가독성에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다.[* 사실 [[우횡서]], [[아브자드]]는 전부 [[셈어파]] 언어들의 특징이다. 문자들의 뿌리도 같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방언이 갈라지고, 표준화된 독음의 필요성이 부각되자 학자들이 성경에 새로 다 붙였는데, 이 성경 버전을 마소라라고 부른다. 이는 티베리아스 방언을 기준으로 삼았으며, 이는 이후 부활한 현대 히브리어 모음체계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사멸했던 언어를 다시 부활시킨 격이기 때문에 현대 문물을 지칭하는 단어가 없다시피 하여 [[아랍어]]에서 따온 차용어가 많다. 굳이 아랍어인 이유는 아랍어가 셈어파 언어로서 비교언어학적으로 히브리어와 가깝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단어를 빌려온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한국어]]를 배운 사람이 [[일본어]]나 [[중국어]]를 배울 때나 다른 경우들처럼, 한자의 비슷한 발음 덕택에 배우는 데에 조금 편했다고 말할 수 있는 수준까지는 아니므로, 아랍어를 배웠다고 해서 히브리어를 배우는 데에 큰 도움이 된다고 보기에는 힘들 수 있다. 게다가 현대 히브리어 문법은 아랍어와는 다르다. ==각주== [각주] [[분류:개별 언어]]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목차 (원본 보기) 틀:색 (원본 보기) 틀:언어 (원본 보기) 히브리어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