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람어

LEGO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5월 17일 (금) 02:00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ארמיא / ܐܪܡܝܐ
아람어
주요사용국시리아, 이라크, 튀르키예
원어민 약 100만 명
어족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부셈어
북서셈어
아람어
문자아람 문자, 시리아 문자
언어 코드
ISO-639-1-
ISO-639-2arc
ISO-639-3arc

목차

개요

중동 지방에서 쓰이는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고대에는 아람 문자로 표기하였고, 기원후부터는 아람 문자에서 파생된 시리아 문자로 표기하였다.

고대 중동 세계의 공용어였으며 아시리아인유대인을 비롯한 근동인들이 이 언어를 사용하였다. 예수가 활동했을 당시 유대인들이 쓰던 모어(mother tongue)는 아람어의 히브리 방언(내지는 아람어화된 히브리어)이며 구약 일부 구절[1] 역시도 아람어로 되어있다. 때문에 기독교 문화권에서 꽤 중요하게 여겨지는 언어다.

오늘날에는 시리아 정교회, 마론파, 아시리아 동방교회, 칼데아 가톨릭 등 동·서시리아 전례를 따르는 동방교회의 전례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1. 에즈 4,8-6,18; 7,12-16; 다니 2,4-7,28; 예레 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