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영제국 국왕의 배우자: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3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영국 국왕}}
{{분류:영국왕비}}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table bordercolor=#002B7F><#002B7F><div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02359 0%, #292C5B 20%, #292C5B 80%, #202359)"> [[파일:Ukprimeministerlogo.png|60px]][br]'''{{{+1 {{{#white 영국 국왕}}}}}}'''[br]{{{#white King of the United Kingdom}}} ||
{{분류:영국 국서}}
||||<:><bgcolor=#white> <center><div style="margin: -4px -9px">[[파일:어니스트.png|width=100%]]</div><div style="margin: -4px -9px"></center>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table bordercolor=#000139><#000139><div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02359 0%, #292C5B 20%, #292C5B 80%, #202359)"> [[파일: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svg|60px]][br]'''{{{+1 {{{#white 영국 국왕의 배우자}}}}}}'''[br]{{{#white Royal Consort of the United Kingdom}}} ||
||<width=25%><bgcolor=#002B7F> {{{#white '''현직'''}}} ||<bgcolor=#ffffff> '''[[어니스트 1세]]''' ||
||||<:><bgcolor=#white> <center><div style="margin: -4px -9px">[[파일:에리카3.png|width=100%]]</div><div style="margin: -4px -9px"></center> ||
||<width=25%><bgcolor=#002B7F> {{{#white '''즉위'''}}} ||<bgcolor=#ffffff> '''2023년 03월 10일''' ||
||<width=25%><bgcolor=#000139> {{{#white '''현직'''}}} || '''[[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 ||
||<width=25%><bgcolor=#002B7F> {{{#white '''경칭'''}}} ||<bgcolor=#ffffff> '''His Majesty (폐하)''' ||
||<width=25%><bgcolor=#000139> {{{#white '''즉위'''}}} || 2023년 7월 1일 ||
||<width=25%><bgcolor=#002B7F> {{{#white '''지위'''}}} ||<bgcolor=#ffffff> '''영국 및 해외영토의 국가원수''' ||
||<width=25%><bgcolor=#000139> {{{#white '''경칭'''}}} || Her Majesty (폐하) ||
||<width=25%><bgcolor=#002B7F> {{{#white '''창립'''}}} ||<bgcolor=#ffffff> '''2020년 2월 3일 (3주년)''' ||
||<width=25%><bgcolor=#000139> {{{#white '''지위'''}}} || 영국과 해외영토의 왕비 ||
||<width=25%><bgcolor=#002B7F> {{{#white '''관저'''}}} || '''버킹엄 궁전''' ||
||<width=25%><bgcolor=#000139> {{{#white '''관저'''}}} || [[버킹엄 궁전]] ||


|| '''영국왕실 문장''' || [[파일: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svg]] ||
|| '''문장''' || [[파일:왕비문장3.png]] ||
|| '''스코틀랜드 문장''' || [[파일:왕비문장4.png]] ||
|| '''영국 표준 왕비기''' || [[파일:웨일스공비기.png]] ||
|| '''스코틀랜드 표준 왕비기''' || [[파일:웨일스공비기3.png]]] ||
|| '''영국 왕비 가터배너''' || [[파일:웨일스공비가터배너.png]] ||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개요==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개요==


'''대영제국 국왕은 영국의 군주로, 현 영국의 국가원수이다. 현임 국왕은 윈저 왕조의 [[어니스트 1세]]'''
[[대영제국 국왕]]의 배우자. 현재 영국 국왕의 배우자는 [[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


영국 국왕은 맨 섬의 군주(영주)이기도 하다. 맨 섬은 영국령이 아니라 '''영국 왕실령'''으로써 영국이 군주제를 폐지해도 '''맨 섬의 영주로 존재할 수 있다.'''
국왕인 배우자가 여성일 경우 왕비로 불리며, 남성일 경우 국서로 지칭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역사적으로 영국 국왕의 배우자들은 정치적인 지위나 권력은 없지만, 국왕의 배우자로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국왕의 배우자들은 영국 국왕의 섭정 자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국왕의 부재시 국왕의 역할을 대리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자녀가 미성년자로 왕위에 오를 경우 성인이 되기 전까지 후견인으로서 국왕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있는 위치에 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위상==
2020년 2월 3일 왕정 복고 이후 지금까지 총 33명의 국왕의 배우자(왕비 21명, 국서 12명)가 존재했다. 또한 역대 최장기 배우자는 엘리자베스 5세의 남편인 필립 공이며, 80일 국서의 자리에 있었다.  


2020년 2월 핫바 국왕의 '''왕정 복고''' 이후 많은 시선과 견제를 받는 탓에 제한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그러나 자유 월드 세계관의 부상과 빅토리아 시대를 거쳐서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는 데 성공'''하고, 국력이 강해질 뿐만 아니라 식민지 개척과 경제 발전을 선도하는 나라가 되면서 '''영국 국왕의 위상도 급격히 상승'''하게 되었다. 이후 여러 전쟁을 거치면서 대영제국은 식민지와 영연방은 다 독립시키고 해체되었으나, 현재도 '''영국 국왕은 영국과 해외영토의 군주로써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작위==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대권==
남성 국왕의 배우자는 일반적으로 "'Her Majesty The Queen(왕비 폐하)"' 작위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선왕이 여성이고 이제 막 왕위를 이어받은 국왕이 남성일 경우 선왕인 여왕과 새 왕비를 구분하기 위해 새 왕비의 대관식전까지는 '"The Queen Consort"를 칭호로 사용한다.  


영국은 헌법과 여러 법률을 통해 '''국왕이 소유하는 대권의 범위를 확정'''한다. 영국 국왕의 권한은 왕정복고 이후 제한없이 '''무제한''' 적이였으며 왕이 정부의 업무 또한 보았다. 하지만 윈저 1세 국왕이 공무에 관심이 크게 없었는데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입헌군주제'''가 관습적으로 유지되어왔으며 '''윌리엄 1세''' 때 성문화 되었다. 현재는 '''국왕의 권한을 정부와 의회가 대신 행사중'''이라고 볼수 있다.
여왕의 국서는 작위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지 않으며, 결혼할 때 받았거나 결혼하기 전에 부여받은 작위에 따라 칭호가 결정된다. 왕비와는 다르게 'His Majesty(폐하)'의 경칭도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대관식에서 남편과 함께 왕비로 즉위하고, 레갈리아를 수여받는 왕비들과는 달리 여왕에게 '''신하로서 무릎을 꿇고 충성맹세를 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역대 국서들은 에든버러 공작 작위를 주로 받았다.


영국 국왕은 영국의 사법과 입법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헌법에 따라 국왕은 어떠한 '''사법적 심사도 받지 않는 특권'''을 가지고 있으며 '''납세와 국방의 의무에서도 면책특권을 가진다.''' 국왕은 추밀원을 열어 주요 안건을 심의할 수 있으며 공공 질서 유지 목적 혹은 긴급한 안보위기에 대한 대처가 필요할 경우 '''헌법에 준하는''' '''칙령을 선포할 수 있다.'''
날이 갈수록 왕비의 위상이 '''매우 커지고 있다.''' 21년 [[빅토리아 3세]] 여왕이 통치하던 시기만 해도 왕비는 국서보다도 '''취급 못받는 지위'''였는데 조지 7세의 왕비인 메리 왕비때 메리 왕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러다 윈저 2세의 왕비인 스티아나 왕비때부터 왕비의 대관식이 생겼으며 왕비 전하가 '''왕비 폐하'''로 호칭 또한 격상되었고 에드워드 5세와 헨리 3세 시기를 거치며 왕비가 궁중 내조를 다질 권한 또한 생기게 되었다. 왕비는 국왕급으로 위상이 커지고 있지만 국서는 모든게 제자리이다.


또한 '''의회가 입법한 법안과 조약을 재가 혹은 거부하거나 무효화''' 시킬 수 있으며 '''사면권과 감형권을 행사'''할 수 있다. 모든 영국법은 '''국왕의 이름으로 행사'''되기에 영국 '''국왕은 재위 기간 동안 영국 법의 심판'''도 받지 않는다. 그 외 '''외교권과 훈장/작위 수여권, 고등법원장 임명권, 영국 국교회 대주교와 성직자 임명권 등이 있다.''' 국왕은 모든 영국의 '''명예와 존엄의 원천(Fount of honour)'''으로 취급되며 '''훈장과 작위를 수여할 원천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다. 또한 영국의 '''공직자들과 영국 국교회의 성직자들은 국왕에게 충성의 맹세'''를 한다. 대표적인 맹세가 의회 개원식때 치루어지는 의원들의 맹세식이다. 국왕의 권한은 '''헌법상 막강'''하며, 현대 영국 국왕은 '''대헌장으로 제한된 몇가지'''를 제외하면 '''절대군주적 권한을 포기한 것이 아니라 자발적으로 행사하지 않고 내각에 맡겨놓았을 뿐이다.''' '''군대 지휘권/해산권, 장교 임명권/해임권, 선전포고권, 군수품 판매권, 왕족의 자손에 대한 친권, 의회 해산 권한, 총리 임면 권한, 총리 지명 권한, 내각 해산 권한''' 등등도 가지고 있다. 국왕은 '''실정법 위에 군림하고 있어 사법적 제재를 받지 않는다.''' 즉 '''살인이나 뇌물을 포함한 어떠한 범죄를 저질러도 형사처벌을 받지 않는 완전 면책 특권을 가지고 있다.''' 국왕을 상대로 소송을 낼 수는 없다. 또한 영국 시민권은 '''국왕의 이름으로 발행'''되고 '''국왕 본인은 여권이나 인증서를 소지하지 않는다. '''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예외==


다만 영국 국왕은 명목상으로 가지고 있는 '''권한을 남용하지 않으며 입헌군주제의 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오늘날은 '''형식적인 재가'''를 하는 형태가 많다.  2023년 일부 내용이 바뀐 영국 형법에 따르면 '''국왕에게 반역을 하거나, 찬탈을 시도하거나 또는 외국인과 협잡해 국왕과 영국을 침공 혹은 그러자고 선동하거나, 혹은 그런 의도로 음모를 꾸미거나 고안, 상상(imagine)하면 중범죄로 기소되어 최대 무기징역형에 처할 수 있다.''' 또한 영국 국왕은 '''영국군의 통수권자'''이기도 하지만 실질적으로 영국군을 통수하는건 '''[[대영제국 총리]]''' 이다.
군주의 모든 배우자가 국왕의 배우자가 된 것은 아니다. 배우자가 즉위하기 전에 이미 사망하거나, 왕위를 잇지못할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영국 국왕은 '''잉글랜드 국교회의 최고통치자(Supreme Governor of the Church of England)'''직을 겸한다. 이렇게 국왕이 교회의 최고직위를 겸하기 때문에 영국 국왕은 '''신앙의 수호자(Defender of the Faith/Fidei Defensor)'''라는 칭호도 가진다.  
・엘리자베스 1세의 며느리인 누군가 왕세자비는 왕위가 남편인 에카 왕세자가 아니라 '''엘리자베스 2세'''에게 가면서 왕비가 되지 못했다.
 
・엘리자베스 2세의 며느리인 케이트미들턴 왕세자비는 이른나이로 '''요절'''하며 왕비가 되지 못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재산==
・엘리자베스 2세의 두번째 며느리인 누군가2세 왕세자비는 왕위가 남편인 윌리엄 왕세자가 아니라 '''엘리자베스 3세'''에게 가며 왕비가 되지 못했다.
 
・SEOB 왕세자비는 첫번째 남편 엑스 1세, 세번째 남편 누군가 3세가 모두 왕세자였으나 '''왕위가 증손자 윈저1세에게''' 가며 왕비가 되지못했다.
'''영국 국왕은 사유 재산과 공공 예산을 가지고 있다.''' 사유 재산은 국왕이 관리하는 왕실 재산을 의미하며 공공 예산은 의회와 내각이 지급해주는 예산을 뜻한다. 또한 국왕이 얼마를 벌든 '''세금을 낼 의무는 없다.'''
  ・에드워드 5세 국왕의 공비이자 헨리 3세의 모친인 루이즈 웨일스 공비가 향년 36세로 '''요절'''하며 왕비가 되지 못했다.
 
・헨리 3세 국왕의 공비이자 [[어니스트 1세]]의 모친인 [[앤 하이드]] 웨일스 공비가 폐위된 후 향년 34세로 '''요절'''하며 왕비가 되지 못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왕위 계승==
 
현재 영국의 왕위 계승의 법칙은 2023년 제정된 2023 왕실법을 따른다. '''영국 국왕은 영국 성공회의 수장이기 때문에, 다른 종교로 개종하거나 배우자가 신자라면 계승권을 박탈당하며, 계승권을 개인이 포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성별과 무관'''하게 태어나는 순서대로 왕위 계승 순위가 지정된다즉, 여성이라도 자신보다 순위가 높은 사람이 자식을 낳지 않는 한 밀릴 일이 없다. 재위 중이었던 국왕이 사망하는 바로 그 순간부터 '''상속인이 왕좌에 오르며,''' 왕위에 오르기 위한 '''대관식같은 절차는 나중에 한다.''' 대관식은 준비와 선대 국왕에 대한 애도기간을 위해 몇주 정도 시간을 둔 후 한다. '''현재 계승서열 1위의 확정 상속인은 웨일스 공 찰스 필립 아서 조지이다.''' 확정 상속인(국왕의 장남)은 무지개 3세 여왕때부터 프린스 오브 웨일스(웨일스 공) 작위와 기타 작위를 받는 관례가 지금까지 유지되어왔다.
 
섭정을 지정하는 게 가능하다. '''국왕이 미성년자이거나 정신적으로 무능력한 경우''' 섭정 지정을 허용하는데, 21세인 왕족 중, 군주의 배우자와 확정 상속인과 그 배우자 등을 포함해 4명이 섭정인으로 지정되며 그중 가장 높은 섭정인이 섭정을 하게된다. 섭정을 할려면 다음과 같은 선서를 해야한다.
 
{{인용문|'''''나는 엄숙히 선서합니다.영국의 대 헌장과 법률, 규율에 따라 왕관의 책무를 임시로 물려받아 섭정이 시작되고 끝날때까지 법을 준수하고 연합왕국을 수호할 것입니다. 그러니 하느님은 절 도와주소서''''' }}
 
국왕의 배우자와 차기 왕위 계승자는 성년이 지나면 별도의 절차없이 섭정인으로 지정되지만, '''섭정인이 없거나 섭정인 또한 직무수행이 불가능 할 경우 의회에서 따로 재정해 왕실의 허가를 거쳐 섭정으로 임명해야 한다.''' 현재 섭정인은 '''웨일스 공 찰스, 웨일스 공비 에리카이다.'''
 
왕족들은 성공회를 믿어야하는 것이 '''의무'''이며, 결혼은 국왕의 '''승인'''이 필요하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왕관==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왕관==


[[파일:성에드워드.png|width=100%]] [[파일:영국제국관.png|width=100%]]  
[[파일:퀸메리왕관.png]]  
{{인용문|'''성 에드워드 왕관(St Edward's Crown)과 영국 제국관(Imperial State Crown)이다.''' }}
{{인용문|'''퀸 메리의 왕관(The Crown of Queen Mary)이다.''' }}
 
'''성 에드워드 왕관'''은 대관식때만 착용하며 '''영국 제국관'''은 공식 행사나 개원식 등때 자주 쓴다. 런던탑에 보관되어있었으나 샌드링엄 하우스로 보관 장소가 변경되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대관식==
'''퀸 메리의 왕관'''은 대관식때만 거의 착용한다. 영국 왕비가 대관식에서 큰 역할을 맡기 시작한 2021년 10월, 조지 7세의 왕비인 메리 왕비때 제작되었다. 국서의 왕관은 공식적으로 제작된 적은 없다.


선왕이 승하하고 2주 이내로 대관식이 거행된다. 2020년 6월 13일 즉위한 '''에드워드 1세 국왕이 처음으로 대관식을 치루었다.''' 대관식은 이후 오늘날까지 진행되고 있으며 가장 성스럽고 전통적인 행사이다. 대관식은 영국 주요 공직자들과 가문, 귀족들 성직자들과 외국 귀빈들이 초청된다. 왕이 남성일 경우 왕과 왕비가 '''같이 대관식'''을 치루며 왕이 여성일 경우 여왕만 치루며 남편인 국서는 다른 왕실 가족들처럼 충성맹세를 해야한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여담==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역대 영국 국왕 목록==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한 왕비는 조지 7세의 왕비인 메리 왕비로 '''66일간 재위하였다.'''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한 국서는 엘리자베스 5세의 국서인 에든버러 공작 필립공으로 '''80일간 재위하였다.'''
・영국 국왕의 배우자들은 모두 영국 출신 평민이였다. 평민이 아닌 배우자는 현재까지 없으나 [[웨일스 공비]]던 [[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영국 왕비로 즉위하며 '''최초로 귀족 출신 배우자 겸 외국인 출신 배우자'''가 되었다.


{{분류:영국 국왕}}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역대 영국 국왕의 배우자==
{{분류:영국왕비}}
{{분류:영국 국서}}


[[분류:대영제국]]
[[분류:대영제국]]

2023년 7월 8일 (토) 02:35 기준 최신판

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svg
대영제국 왕비
[ 펼치기 · 접기 ]
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svg
대영제국 국서
[ 펼치기 · 접기 ]
스티브 왕조
초대
스티브38892
핫바 왕조
초대
MOR_GOOM
제2대
XCVBWN
제3대
XCVBWN2
제4대
미스
제5대
조한
제6대
무비
제7대
필립
윈저 왕조
초대
잔치국수
제2대
앨버트
제3대
필립
제4대
알베르트
제5대
제임스
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svg
영국 국왕의 배우자
Royal Consort of the United Kingdom
width=100%
현직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
즉위2023년 7월 1일
경칭Her Majesty (폐하)
지위영국과 해외영토의 왕비
관저버킹엄 궁전
문장왕비문장3.png
스코틀랜드 문장왕비문장4.png
영국 표준 왕비기웨일스공비기.png
스코틀랜드 표준 왕비기웨일스공비기3.png]
영국 왕비 가터배너웨일스공비가터배너.png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개요

대영제국 국왕의 배우자. 현재 영국 국왕의 배우자는 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

국왕인 배우자가 여성일 경우 왕비로 불리며, 남성일 경우 국서로 지칭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역사적으로 영국 국왕의 배우자들은 정치적인 지위나 권력은 없지만, 국왕의 배우자로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국왕의 배우자들은 영국 국왕의 섭정 자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국왕의 부재시 국왕의 역할을 대리로 수행할 수 있으며, 자녀가 미성년자로 왕위에 오를 경우 성인이 되기 전까지 후견인으로서 국왕의 역할을 대신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2020년 2월 3일 왕정 복고 이후 지금까지 총 33명의 국왕의 배우자(왕비 21명, 국서 12명)가 존재했다. 또한 역대 최장기 배우자는 엘리자베스 5세의 남편인 필립 공이며, 80일 국서의 자리에 있었다.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작위

남성 국왕의 배우자는 일반적으로 "'Her Majesty The Queen(왕비 폐하)"' 작위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약 선왕이 여성이고 이제 막 왕위를 이어받은 국왕이 남성일 경우 선왕인 여왕과 새 왕비를 구분하기 위해 새 왕비의 대관식전까지는 '"The Queen Consort"를 칭호로 사용한다.

여왕의 국서는 작위가 일정하게 정해져 있지 않으며, 결혼할 때 받았거나 결혼하기 전에 부여받은 작위에 따라 칭호가 결정된다. 왕비와는 다르게 'His Majesty(폐하)'의 경칭도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대관식에서 남편과 함께 왕비로 즉위하고, 레갈리아를 수여받는 왕비들과는 달리 여왕에게 신하로서 무릎을 꿇고 충성맹세를 해야 하는 위치에 있다. 역대 국서들은 에든버러 공작 작위를 주로 받았다.

날이 갈수록 왕비의 위상이 매우 커지고 있다. 21년 빅토리아 3세 여왕이 통치하던 시기만 해도 왕비는 국서보다도 취급 못받는 지위였는데 조지 7세의 왕비인 메리 왕비때 메리 왕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러다 윈저 2세의 왕비인 스티아나 왕비때부터 왕비의 대관식이 생겼으며 왕비 전하가 왕비 폐하로 호칭 또한 격상되었고 에드워드 5세와 헨리 3세 시기를 거치며 왕비가 궁중 내조를 다질 권한 또한 생기게 되었다. 왕비는 국왕급으로 위상이 커지고 있지만 국서는 모든게 제자리이다.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예외

군주의 모든 배우자가 국왕의 배우자가 된 것은 아니다. 배우자가 즉위하기 전에 이미 사망하거나, 왕위를 잇지못할경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엘리자베스 1세의 며느리인 누군가 왕세자비는 왕위가 남편인 에카 왕세자가 아니라 엘리자베스 2세에게 가면서 왕비가 되지 못했다.・엘리자베스 2세의 며느리인 케이트미들턴 왕세자비는 이른나이로 요절하며 왕비가 되지 못했다.・엘리자베스 2세의 두번째 며느리인 누군가2세 왕세자비는 왕위가 남편인 윌리엄 왕세자가 아니라 엘리자베스 3세에게 가며 왕비가 되지 못했다.・SEOB 왕세자비는 첫번째 남편 엑스 1세, 세번째 남편 누군가 3세가 모두 왕세자였으나 왕위가 증손자 윈저1세에게 가며 왕비가 되지못했다.・에드워드 5세 국왕의 공비이자 헨리 3세의 모친인 루이즈 웨일스 공비가 향년 36세로 요절하며 왕비가 되지 못했다.・헨리 3세 국왕의 공비이자 어니스트 1세의 모친인 앤 하이드 웨일스 공비가 폐위된 후 향년 34세로 요절하며 왕비가 되지 못했다.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왕관

퀸메리왕관.png

퀸 메리의 왕관(The Crown of Queen Mary)이다.

퀸 메리의 왕관은 대관식때만 거의 착용한다. 영국 왕비가 대관식에서 큰 역할을 맡기 시작한 2021년 10월, 조지 7세의 왕비인 메리 왕비때 제작되었다. 국서의 왕관은 공식적으로 제작된 적은 없다.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여담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한 왕비는 조지 7세의 왕비인 메리 왕비로 66일간 재위하였다.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한 국서는 엘리자베스 5세의 국서인 에든버러 공작 필립공으로 80일간 재위하였다. ・영국 국왕의 배우자들은 모두 영국 출신 평민이였다. 평민이 아닌 배우자는 현재까지 없으나 웨일스 공비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가 영국 왕비로 즉위하며 최초로 귀족 출신 배우자 겸 외국인 출신 배우자가 되었다.

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 역대 영국 국왕의 배우자

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svg
대영제국 왕비
[ 펼치기 · 접기 ]
Royal Coat of Arms of the United Kingdom.svg
대영제국 국서
[ 펼치기 · 접기 ]
스티브 왕조
초대
스티브38892
핫바 왕조
초대
MOR_GOOM
제2대
XCVBWN
제3대
XCVBWN2
제4대
미스
제5대
조한
제6대
무비
제7대
필립
윈저 왕조
초대
잔치국수
제2대
앨버트
제3대
필립
제4대
알베르트
제5대
제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