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주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14번째 줄: 14번째 줄:
  
 
결론적으로, [[탈가국 반동 행위]]를 계승한 [[반정치적 의제 현상]]이 현상학적으로 [[카카오톡 가상국가]]의 고립주의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결론적으로, [[탈가국 반동 행위]]를 계승한 [[반정치적 의제 현상]]이 현상학적으로 [[카카오톡 가상국가]]의 고립주의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
 +
= 각주 =

2023년 11월 5일 (일) 04:31 판

개요

타국과 외교 관계를 맺지 않으며 개입주의를 꺼려하는 외교 정책 및 사상.

가상 국가에서의 고립주의

캎국에서의 고립주의

밴국에서의 고립주의

카국에서의 고립주의

세르히 카르야킨은 카국에서의 고립주의가 자주카국론가상국가론을 유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의 주장을 따르면, 대부분의 카카오톡 가상국가자주카국론에서 설명하는 탈가국 반동행위에 침식돼 가상국가로서의 임계점(한계점)에 도달했으며,[1] 그로 인해 탈가국 반동행위가 자연적으로 소멸했다. 허나 탈가국 반동행위 세력은 가상국가의 본질을 모르거나, 알려고 하지 않기에[2] 반정치적 의제 현상이 발생한다고 귀결하였고 이는 사회실험체론가상국가론에 반대되어 카카오톡 가상국가의 대다수가 유사가국론에 부합한다고 설명했다.

결론적으로, 탈가국 반동 행위를 계승한 반정치적 의제 현상이 현상학적으로 카카오톡 가상국가의 고립주의로 이어진다고 보았다.

각주

  1. 세르히 카르야킨은 이에 대해 탈가국 반동행위가 국제성을 잃고 사회성을 얻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였다.
  2. 이는 도이치 역설과 연계된다.